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남서풍

위키원
(南西風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서풍(南西風)은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부는 바람을 가리킨다. 서남풍(西南風)이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계절풍은 겨울여름풍향이 거의 반대가 된다. '몬순(monsoon)'이라고도 하는데, 몬순이란 아라비아어의 계절을 뜻하는 마우짐(mausim)에서 유래되었다. 아라비아인들은 일찍이 인도양에서 대략 6개월을 주기로 부는 겨울의 북동풍과 여름의 남서풍을 이용하여 항해를 하였다. 계절풍은 대륙과 해양의 열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흙과 물의 비열(比熱) 차이 때문에 겨울에는 바다보다 대륙이 더 냉각되어 고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륙에서 바다로, 여름에는 반대로 대륙이 더 가열되어 저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다에서 대륙으로 바람이 부는 것이다. 그러나 계절풍의 성인(成因)은 열의 차이로만 설명할 만큼 간단하지 않다. 오늘날에는 상층 대기의 흐름(편서풍), 특히 제트기류의 계절적인 변화와 지형적인 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계절풍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계절풍은 세계 곳곳에 나타나지만, 아시아는 세계 최대의 계절풍 지역이다. 아시아 계절풍의 특징은 여름에는 남풍계의 바람이, 겨울에는 북풍계의 바람이 부는 것이나 지역의 위치와 지형에 따라 계절풍의 방향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남부 아시아의 인도에서는 여름에는 남서풍, 겨울에는 북동풍이 불지만 동부 아시아에서는 여름에는 남동풍, 겨울에는 북서풍이 분다. 대한민국 각 지점의 풍향을 보면 겨울(12∼2월)에는 서북서·북서·북북서 등 북서풍계의 비율이, 여름(6∼8월)에는 남서·남동 등 남풍계의 비율이 높다. 이와 같이 계절에 따라 탁월풍(卓越風)의 방향이 바뀌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 계절풍이 시작되는 시기와 빈도에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대한민국은 여름에는 남서·남동풍, 겨울에는 북서풍이 분다. 이 두 계절풍이 발달할 때 대한민국 주변의 기압배치는 여름에는 남고북저형, 겨울에는 서고동저형이 전형적이다.[1]

여기서 남풍은 남쪽에서 오는 바람을 말한다. 즉, 바람의 방향은 북쪽으로 향한다. 남쪽으로 '가는' 바람은 북풍이라 부른다. 한국에 오는 대표적인 남풍은 여름에 북태평양에서 오는 덥고 습한 바람인 남동풍이 있으며, 이 시기 남서쪽에서는 태풍이 종종 올라온다. 대중에게 잘 알려진 남풍이라면 삼국지연의에서 제갈량이 적벽대전 때 말한 동남풍이 유명할 것이다. 동남풍이라고는 말하지만 적벽대전이 있었던 11월 겨울에 부는 서북풍과 대비된다는 점, 북쪽에 위치한 조조와 남쪽에 위치한 손권·유비 연합군의 대치를 생각해보면 동풍보다는 남풍을 의미하는 바람이라고 할 수 있다. 연의에서는 제갈량이 직접 동남풍을 비는 제사를 지내고 작전 실행일에 진짜로 겨울에 동남풍이 부는 기적을 주유에게 보여주었다는 식으로 극적으로 묘사하지만, 정사 삼국지에서는 직접 동남풍이 언급되지는 않는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남풍의 신은 아네모이다. 서풍은 서쪽에서 오는 바람을 말한다. 즉, 바람의 방향은 동쪽으로 향한다. 서쪽으로 '가는' 바람은 동풍이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서풍이라고 하면 보통 편서풍을 가리킨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서풍의 신은 제피로스다.[2][3]

바람의 종류[편집]

​지금은 순우리말의 바람 이름이 우리 머리에서 많이 멀어져 갔지만, 우리 조상들은 새파람, 갈바람 등 토속의 정이 담긴 바람 이름들을 많이 썼다. 새파람(샛바람)은 동풍이다. 새가 동쪽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제주도에서 이를 샛바름(새파름)이라고 하고, 농가에서는 동부새라 한다. 하늬바람이나 칼바람은 서풍이다. 전라도나 충청도에선 이 바람을 늦바람이라 하고, 강원도나 경북, 또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북새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가수알바람이라고 한다. 또 서풍은 연을 위쪽으로 잘 떠올리게 한다고 해서 연날리기에선 윗바람으로 통한다.

​남풍은 마파람이나 앞바람이라 하고, 북풍은 된바람이나 뒷바람이라 한다. 동남풍은 된마바람, 또는 새마바람, 서남풍은 갈마바람, 동북풍은 높새바람, 또는 된새바람, 서북풍은 높하늬바람이다. 북한에서는 북풍을 북새바람이라고 하고, 서남풍을 세바람이라고 한다. 바람은 그 세기에 따라서도 이름이 달리 붙는다. 약하게 솔솔 부는 바람은 가는바람, 솔바람이고, 아주 약하게 부는 바람은 실바람이다. 요란한 소리를 내며 부는 날바람, 눈꽃을 날리며 잔잔히 부는 눈꽃바람, 보드랍고 화창한 명지바람이 있다. 하늬바람이나 칼바람은 서풍이다. 전라도나 충청도에선 이 바람을 늦바람이라 하고, 강원도나 경북, 또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북새라고 하며, 뱃사람들은 가수알바람이라고 한다. 또 서풍은 연을 위쪽으로 잘 떠올리게 한다고 해서 연날리기에선 윗바람으로 통한다.

첫가을에 동쪽에서 불어오는 센 강쇠바람, 살을 엘 듯한 겨울의 센 매운바람, 모진바람,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면서 거세고 세찬 거친바람, 맵고 독하게 부는 고추바람, 채칙질을 하듯 간간이 세차게 후려치며 부는 채칙바람도 있다. 좁은 틈으로 세게 불어오는 황소바람은 짐승의 크기와 성격에 비겨서 붙인 재미있는 바람 이름이다. 큰 나무가 온통 움직이고 사람이 걷기 어려울 정도의 바람은 센바람이고, ​가는 나뭇가지가 부러지고 사람이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의 바람은 큰바람이며, 좀 굵은 나뭇가지도 부러지고 건물에 피해를 조금 주는 바람은 큰센바람이다. 건물에 큰 피해를 주는 바람은 왕바람, 간간이 나무뿌리가 송두리째 뽑히는 정도의 센 바람은 노대바람, 육지의 모든 것을 삭 쓸 정도의 바람은 싹쓸바람이다.

기상청에서는 바람의 종류를 그 세기에 따라 12가지로 나누어 이름을 붙이고 있는데, 풍향계가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가장 약한 바람은 실바람이고, ​깃발이 휘날릴 정도의 바람은 산들바람, 길거리의 종이조각이 날릴 정도는 건들바람이다. 초속 17m가 넘으면 큰바람인데, 이 바람을 포함해 노대바람, 싹쓸바람 등이 태풍권이다. 북한에선 곧추 들어오는 바람을 직통바람이라고 한다. 원뿔형으로 세차게 돌아 오르는 바람은 회오리바람, 또는 돌개바람이라 한다. 그 세기가 좀 약하다면 용수바람이 된다. 또, 움직이는 모양(의태어)을 따서 붙인 남실바람, 건들바람, 산들바람, 솔솔바람도 있다. 솔바람은 솔(松) 사이를 불어오는 바람이 아니라, 아주 느낌이 작게 올 정도로 가는 바람을 뜻한다. 솔은 '가늘다(細)'의 뜻이다. 살바람은 살살 부는 바람이 아니라, 봄철에 부는 아주 찬 바람이다. 철에 따라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부는 철바람은 한자말로는 계절풍이라 한다.

바람은 그 무엇을 동반하기도 하면서 또 다른 이름들을 얻는다. 눈을 흩날리며 부는 눈바람, 비와 함께 불어치는 비바람, 먼지를 안고 오는 먼지바람, 먼지보다 더 규모가 큰 것이 모래바람인데, 중국 대륙에서 날아오는 황사바람도 그 중의 하나다. 서릿바람은 서리와 함께 내리는 바람이 아니라 서리 내린 아침의 찬 바람을 뜻한다. 바다에서 소금기를 머금고 불어오는 바람은 짠바람이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열을 안고 오는 바람을 열바람이라고 한다. 뭍바람, 산바람, 골바람 등은 산을 찾는 이들이 많이 쓰는 말이고, 바닷바람, 강바람, 무파람은 바다나 강을 찾는 이들이 많이 쓰는 말이다. 바람이란 말은 그 앞에 놓이는 소리마다에 따라 마파람, 날파람처럼 파람이 되기도 한다. 진짜 바람이 아닌 휘파람은 입으로 바람을 내며 휘이 소리를 낸다고 해서 나온 이름이다.[4]

풍향[편집]

풍향(wind direction, 風向)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하며, 보통 동·서·남·북 등의 기본 방위 또는 방위각의 정도로 풍향을 표시한다. 풍향은 풍향계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풍향계의 모양에 따라 풍향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각각이다. 전기와 컴퓨터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풍향계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풍향을 측정하였으나, 오늘날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자동으로 풍향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나타내며 보통 16방위를 사용한다. 16방위는 360도의 원판을 22.5도 간격으로 16등분한 것이다. 풍향은 동풍(E), 서풍(W), 남풍(S), 북풍(N)과 같이 알파벳 기호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때 남동풍은 SE가 되고 북서풍은 NW가 된다. 16방위를 읽을 때는 북(N)이나 남(S)을 먼저 읽는다. 즉, 서남풍이라 읽지 않고, 남서풍이라 읽는다.

전선에서의 풍향의 변화

온대저기압온대지방에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 형성된 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다. 온대저기압주변의 풍향을 살펴보면 온난전선의 앞쪽에는 동풍계열의 바람(남동풍, 동풍, 북동풍)이,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의 사이는 남서풍이, 한랭전선의 뒤쪽은 북서풍이 주로 분다. 따라서 관측자가 있는 곳으로 온대저기압이 접근하여 지나간다면 남동풍이 불고, 온난전선이 지나간 후 남서풍이 불고, 한랭전선이 지나간 후 차가운 북서풍이 불게 된다. 결과적으로 온난전선이 지나간 후 풍향의 변화는 남동에서 남서이고 한랭전선이 지나간 후 풍향의 변화는 남서에서 북서이다.

풍향의 표기

  • E(East) : 동풍
  • W(West) : 서풍
  • S(South) : 남풍
  • N(North) : 북풍
  • SE(South-East) : 남동풍
  • NW(North-West) : 북서풍

일기도에서의 풍향

풍향의 측정은 풍향계로 한다(화살 끝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풍향을 결정할 때에는 10분 동안 지침이 흔들리는 방향을 평균하여 결정한다.[5][6]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계절풍(季節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남풍〉, 《나무위키》
  3. 서풍〉, 《나무위키》
  4. 조은사람, 〈재미있는 바람 이름들〉, 《네이버 블로그》, 2014-05-16
  5. 풍향〉, 《위키백과》
  6. 풍향〉,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남서풍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