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시러큐스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러큐스
시러큐스 위치

시러큐스(Syracuse)는 미국 동북부 뉴욕주 오논다가군의 도시이자 군청 소재지이다. 도시 인구는 14만 명이고 도시권 인구는 66만 명으로 뉴욕주에서 다섯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자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자치단체이다.[1]

개요[편집]

시러큐스는 미국 뉴욕주 중부, 온타리오호의 남쪽, 올버니버펄로의 중간에 위치한다. 온타리오호 남쪽에 위치하는 지형적 조건으로 인하여 이 도시는 눈이 많이 오는 것으로 유명한데, 연평균 강설량이 약 293cm에 달하여 미국의 인구 10만 이상 도시 중에서는 강설량이 가장 많아 종종 폭설로 인한 피해를 입기도 한다. 지명은 지중해시칠리아섬에 있었던 고대 그리스 시대의 도시 시라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16세기 인디언의 이로코이족이 결성한 ‘5개 종족의 나라’의 수도였으나 1786년 E.웰스터에 의해서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1825년 뉴욕과 버펄로를 잇는 이리 운하가 개통되면서 크게 발전하였다. 제염이 성행하여 1870년까지 국내 소비량의 대부분을 공급했다. 뉴욕시부터 버펄로의 이리 운하와 주요철도, 도로 연변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기계, 금속제품, 식료품, 신문용지, 도기 등의 공업이 성하다. 또한 이 지역 도산매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며 온타리오호 연안의 비옥한 평야를 끼고 있는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유니버시티 힐 구역에 대표적으로 중국관계 연구로 유명한 시러큐스 대학교(1870년 창립) 및 리버럴 아츠 칼리지인 르모인 칼리지가 있으며 외곽에 오논다가 커뮤니티 칼리지가 있다. 시러큐스대학교 바로 인근에는 뉴욕 주립대학교 환경 및 삼림 과학 칼리지, 뉴욕 주립대학교 업스테이트 의과대학 시러큐스 캠퍼스 등이 단체로 몰려있다. 또한 도심에 SUNY계열 엠파이어 주립대학교 시러큐스 캠퍼스와 브라이언트 & 스트라턴 대학의 시러큐스 캠퍼스가 들어서 있다. 이외에도 10개 이상 무수히 많은 대학들이 위치해 있다. 박물관, 주립공원 등이 있으며 남쪽에 있는 핑거레이크스는 피서지로 널리 알려졌다.[2]

지리 및 기후[편집]

시라큐스는 버팔로에서 동쪽으로 약 240km, 올버니에서 서쪽으로 약 230km 떨어져 있다. 또한 뉴욕과 토론토의 중간 지점이기도 하며 각각 북서쪽으로는 토론토, 남동쪽으로는 뉴욕에서 약 390km 떨어져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이 도시의 총면적은 66km²이며, 이 중 65km²가 육지이고 1.6km²(2.15%)가 물이다.

시러큐스는 덥고 습한 대륙성 기후(Dfa)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7월 평균 기온이 더운 여름 기후에 필요한 22.0°C 임계값 바로 위에 있기 때문이다. 도시는 평균 2.94m의 높은 강설량으로 유명하다. 시러큐스는 미국 대도시 지역 중 연평균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 시러큐스는 보통 북부 도시들 중에서 골든 스노우볼 상(Golden Snowball Award)을 수상한다. 지금까지 기록적인 계절적 강설량(다음 해 7월 1일~6월 30일)은 1992~93년 겨울 동안 4.88m고, 가장 눈이 많이 내린 달은 2004년 1월로 1.98m 쌓였다. 높은 강설량은 도시가 인근 온타리오호(오대호)의 호수 효과로 인한 폭설과 대서양에서 발생한 폭풍으로 인한 북동쪽 눈을 모두 받은 결과이다. 눈은 며칠에 걸쳐 거의 매일 조금씩(2.5~7.6cm)으로 내리는 경우가 가장 많다. 때때로 더 큰 눈이 내리기도 하며, 북부 교외 지역에서는 더욱 그렇다.[3]

역사[편집]

프랑스 선교사들은 17세기 중반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함께 일하고 개종하기 위해 이 지역에 온 최초의 유럽인들이었다. 이로쿼이 연맹의 5개 국가 중 하나인 오논다가 민족(Onondaga Nation)의 초청으로 사이먼 르 모인(Simon Le Moyne)이라는 예수회 신부가 피에르 에스프리 래디슨(Pierre Esprit Radisson)을 포함한 군인 및 관리들을 동반하여 스테(Ste)라는 사명을 설립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 역사적 부족을 기리기 위해 오늘날 오논다가 호수로 알려진 소금 호수라고 부르는 남단 주변에 소금물 샘이 있다고 보고했다. 프랑스 모피 무역업자들은 이로쿼이족 사이의 뉴욕 전역에 무역을 설립했다. 네덜란드영국의 식민지 주민들도 무역업자였고, 영국인들은 명목상 뉴욕의 올버니에 있는 그들의 북부 기지로부터 그 지역을 주장했다. 미국 독립 전쟁 동안, 고도로 분권화된 이로쿼이족은 영국을 지지하는 그룹과 무리, 그리고 미국 태생의 반란군 즉 애국자들을 지지하는 두 부족으로 나누어졌다.

정착민들은 미국 독립 전쟁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에 의한 다양한 조약들과 토지 매매들 후에 주의 동부와 뉴잉글랜드에서 뉴욕의 중서부로 들어왔다. 이후 뉴욕주는 이 지역을 오논다가 염천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상업적인 소금 생산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생산은 170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이루어졌다. 도시에서 남쪽으로 15마일 떨어진 뉴욕주 툴리(Tully) 근처의 살리나 셰일에서 암염(일반 소금)층을 끌어온 우물에서 나온 소금물은 19세기에 개발되었다. 오논다가 호수 해안선을 따라 발견되는 "염천"의 소금 공급원은 툴리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염수이다. 18세기와 19세기에 이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 지역은 "소금 도시"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시러큐스의 원래 정착지는 몇몇 작은 마을들의 집합체였고 미국 정부에 의해 우체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정착지에 이름이 없어 우체국 설립이 늦어졌다. 조슈아 포만(Joshua Forman)은 마을의 이름을 코린토스(Corinth)라고 짓고 싶었다. 존 윌킨슨(John Wilkinson)이 1820년에 그 이름으로 우체국을 신청했을 때, 같은 이름이 이미 뉴욕주 사라토가 카운티에서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거부되었다. 시칠리아(Siracusa)의 시라쿠사(Syracuse)에 대한 시적 설명을 읽은 후 윌킨슨은 이 지역의 호수와 소금 샘이 "소금과 민물이 함께 섞이는" 것과 유사함을 보았다. 1820년 2월 4일, 윌킨슨은 동료 마을 사람들에게 "시러큐스"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그것은 마을과 새로운 우체국의 이름이 되었다.

1884년 미국 최초의 솔베이공정회사(Solvay Process Company) 공장이 오논다가 호수 남서쪽 해안에 세워졌다. 그 마을은 발명가 어니스트 솔베이(Ernest Solvay)를 기념하기 위해 솔베이라고 불렸다. 1861년, 그는 툴리 계곡의 남쪽 끝에 파여진 염수 우물(염화나트륨의 공급원)과 탄산칼슘의 공급원인 석회석으로부터 탄산나트륨 회분(무수 탄산나트륨)을 제조하기 위한 암모니아-소다 공정을 개발했다. 이 프로세스는 이전의 르블랑 프로세스보다 개선되었다. 시러큐스 솔베이 공장은 시러큐스에 있는 얼라이드 시그널(Allied Signal)이 소유한 대규모 화학 산업 단지의 인큐베이터였다. 이 산업은 시라쿠사의 발전을 촉진하고 많은 일자리를 제공했지만 오논다가 호수는 전국에서 가장 오염된 호수로 남겨졌다.

남북전쟁 이후 소금 산업은 쇠퇴했지만, 그 자리에 새로운 제조업이 탄생했다. 180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세계 최초의 공랭식 엔진을 생산한 프랭클린 자동차 회사(Franklin Automobile Company), 센추리 자동차 회사(Century Motor Vehicle Company), 스미스 코로나(Smith Corona) 회사, 구스타프 스티클리(Gustav Stickley)의 수제 가구 제국의 중심지인 장인 워크샵 등 수많은 사업과 매장이 설립되었다.

1870년 3월 24일, 시러큐스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뉴욕주는 전년도에 시러큐스로 이전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한 제네시 대학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대학에 자체적인 헌장을 부여했다. 그 대학은 남녀공학으로 설립되었다. 문과대학에서는 19세기 동안 남녀 학생의 비율이 거의 균등했다. 미술대학은 주로 여성이었고, 의과대학과 법학대학에 등록한 여성의 비율이 낮았다.

최초의 뉴욕주 박람회는 1841년에 시러큐스에서 열렸다. 1842년부터 1889년 사이에 이 박람회는 시러큐스에 정착지를 찾기 전까지 뉴욕의 11개 도시에서 열렸다. 이후 1942년부터 1947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사기지로 사용되었던 기간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열리는 행사이다.

1919년 레드 서머(Red Summer) 동안 전국에서 일어난 인종 사건의 일환으로 1919년 7월 31일 시러큐스 글로브 가단성 제철소(Syracuse Globe Malleable Iron Works)의 백인 노동자와 흑인 노동자 사이에 폭력적인 폭동이 일어났다.

시러큐스는 유일한 "상단 녹색" 신호등이 있는 곳이다. "상단 녹색" 신호등은 원래 상단에 있던 "영국식 빨간색" 신호등에 지역 청소년들이 돌을 던진 결과로 1928년에 설치되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돌을 던지는 사람들"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 지역에는 현재 이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톰킨스 스트리트와 밀턴 애비뉴 모퉁이에 티퍼러리 힐 문화유산 기념관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특수강, 고정장치, 맞춤형 기계가공 등의 분야에서 산업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후 빅3 자동차 제조업체 중 두 곳(제너럴 모터스크라이슬러)이 이 지역에 주요 사업장을 두고 있었다.

시라큐스의 제조업은 1970년대에 전국적으로 산업이 재편되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중소기업들이 실패했고, 이것은 이미 증가하고 있는 실업률의 원인이 되었다. 록웰 인터내셔널(Rockwell International)은 공장을 뉴욕주 밖으로 이전했다. 도시 인구는 1950년 이후 감소했지만 시러큐스 대도시 지역 인구는 1970년 이후 2.5% 증가하여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성장률은 뉴욕 업스테이트의 많은 부분보다 크지만, 그 기간 동안의 전국 평균에는 훨씬 낮다.

시러큐스 커뮤니티 그리드(Syracuse Community Grid) 프로젝트는 도시 개선을 목표로 시러큐스 다운타운에서 진행되는 2023년 고속도로 해체 프로젝트이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시러큐스 (뉴욕주)〉, 《위키백과》
  2. 시러큐스(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Syracuse, New York", Wikipedia
  4. 뉴욕 시러큐스〉, 《요다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북아메리카 같이 보기[편집]

북아메리카 국가
카리브제도 국가
북아메리카 도시 1
북아메리카 도시 2
북아메리카 지리
북아메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시러큐스 문서는 북아메리카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