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平均)은 여러 수나 같은 종류의 양의 중간값을 갖는 수를 의미한다.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따위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평균'이라고 하면, 산술평균을 뜻한다.
평균은 대푯값의 일종이다.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등이 있다. 또 통계학에서 두 가지 서로 연관된 뜻이 있다. 일상에서 평균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산술평균이라고도 하며 표본평균과 관련 있다. 기하평균이나 조화평균과는 구별된다. 또한, 확률변수의 기댓값으로 모평균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역수의 산술평균의 역수를 조화평균이라 한다. 평균은 통계학뿐만 아니라 기하학이나 해석학에서도 쓰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계학에서는 그 목적에 맞는 다양한 평균들이 고안되었다. 표본평균은 모평균 같은 중심경향치(center tendency)에 대한 추정량으로 자주 쓰인다. 그러나 중심경향치(center tendency)의 다른 추정량이 쓰이기도 한다. 실수값을 갖는 확률 변수 X에 대해서, 평균은 X의 기댓값이 된다. 기댓값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확률변수에는 평균이 없다.
자료 집합에 대한 평균은 단순히 모든 관측값을 더해서 관측값 개수로 나눈 것이다. 일단 자료 집합의 공통성을 이렇게 설명하기로 하면, 관측값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는 데는 보통 표준편차를 쓴다. 표준편차는 편차들(deviations)의 제곱합(SS)을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평균은 편차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유일한 값이다. 중심경향치(center tendency)을 평균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 편차 제곱의 합을 구해 보면, 평균을 썼을 때 구한 값보다 크다. 이는 왜 통계 보고서에서 보통 평균과 표준편차를 인용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퍼진 정도에 대한 다른 측도로는 평균 편차가 있다. 이것은 (평균에 대한) 절대 편차를 평균한 것과 같다. 평균 편차는 바깥 값에 덜 민감하지만, 자료 집합을 합칠 때 다루기 어렵다. 모든 확률 분포가 평균이나 분산으로만 정의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주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시 분포 같은 것이 있다. 데이터에 대한 n개의 집합에서 평균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기호는 수학 기호표를 참고할 수 있다.[1][2]
모든 변량이 양수라는 전제하에 산술평균 ≥ 기하평균 ≥ 조화평균이 성립한다.
산술평균[편집]
산술평균(算術平均, Arithmetic mean)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평균으로 다 합쳐서 개수만큼 나눠서 얻을 수 있다. 교육과정상에서 가장 먼저 배우게 되는 평균이기도 하다. 독립변수가 연속일 때 확률변수를 확률 측에도 대해 적분한 것으로 정의한다. 각각의 관찰 값들의 총합을 n으로 나눈 값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어찌 보면 당연한 사실이겠지만 모든 관찰 값들에 같게 임의의 값을 더하거나, 뺀 뒤 다시 평균을 내면 평균에도 같은 값이 계산된 결과가 나온다.
산술평균은 아래와 같은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극단적인 값에 민감하다. 보통 평균과 비교되는 중간값, 최빈값과 비교하면 극단적인 값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1,2,3}에서 평균은 2이고 중간값도 2이다. 하지만 3을 96으로 바꾼 {1,2,96}의 경우에 중간값은 2로 변함없지만 평균은 33으로 매우 크게 변한다.
- 편차의 합이 0이 된다. 분산 참고.
- 분산이 가장 작다. 이 개념은 회귀분석을 배울 때에도 쓰인다. 최빈값 같은 다른 기준으로 분산을 구했을 때보다 항상 분산이 작게 나온다.
- 표본 값의 평균이 모집단과 크게 다르지 않다. 표본을 어떻게 뽑느냐에 따라 평균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어쩌면 모집단의 평균과 한참 거리가 먼 값이 나올 수도 있다. 이것은 중간값, 최빈값 등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산술평균은 중간값, 최빈값과 비교해서 표본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다른 값들에 비해 모집단의 참값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모평균
모평균(母平均, population mean)은 모집단의 데이터를 모두 더한 후 모집단의 데이터 갯수 N으로 나눈 것이다.
표본평균
표본평균(標本平均, sample mean)은 표본의 데이터를 모두 더한 후 표본의 데이터 개수 n으로 나눈 것이다. 표본평균은 확률변수이다. 즉, 어떤 표본을 추출했냐에 따라서 표본평균의 값이 변하는 변수이다. 그렇기 때문에 표본평균은 분포를 가지게 되고, 또 우리는 표본평균의 평균 또는 표본평균의 분산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표본 분산이나 표본 표준편차와 달리 n-1로 나누는 것이 아닌 것에 주의해야 한다. (표본분산 관련된 설명은 링크를 참고. 표본분산 계산)
가중평균
가중평균(加重平均, weighted mean)은 개별 값에 각각 가중값을 곱하고 계산한 산술평균의 변형. 당신이 국어 40점 수학 50점일 때 학과에 따라 한쪽에 10%의 가산점을 주고 평균하는 경우가 여기 속한다. 참고로 성격차지수나 여론조사 때도 가중평균을 쓴다.
절사평균
절사평균(切捨平均, trimmed mean)은 평균을 구할때 극단값(이상값이라고도 불린다.)을 빼고 계산한 산술평균의 변형이다. 평균을 낼 때 최고점/최저점이나 양극단의 10% 정도를 잘라내는 것이 여기 속한다. 피겨 스케이팅,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리듬체조 등 예술적 가치가 높은 스포츠 종목[1]에서 판정단이 점수를 내릴 때 최상위, 최하위 판정자 1명의 점수를 삭제하고 나머지 판정단의 점수로 평균을 내는 것이 이것이다. 보통 판정자 두 명 이상이 동시에 최상위 또는 최하위 점수를 부여할 경우 해당 판정자 모두의 성적을 다 삭제하지 않고 그중 한 명의 점수만을 삭제한다. 물론 최상위 최하위 점수자가 빠지기 때문에 모집단 수는 2를 뺀다.
기하평균[편집]
기하평균(幾何平均, Geometric mean)은 변량을 모두 곱해서 거듭제곱근을 취해서 얻는 평균을 말한다. 연속변수의 경우 확률변수에 p제곱을 한 뒤에 적분한 것을 다시 p제곱근을 취하고 나서 독립변수의 측도로 나눠준 뒤 p를 0으로 보내면 된다. 기하평균은 예를 들어 연간 경제성장률, 물가인상률, 연간 이자율, 감쇠율, 증폭률, 백분비, 크기 확대 비율 같이 표본들이 비율이나 배수이고 각 표본값이 연속성/연계성이 있어서 표본들을 곱한 값이 의미가 있는 경우에 주로 쓰인다. 예를 들어 한국의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경제성장률 등이 포함된다. 맹점이 하나 있는데, 곱하는 성분 중 하나라도 0이 있으면 기하 평균이 0이 되어버린다는 점이다. 그래서 표본 중 0이 있는 경우 이를 제외시켜야 한다. 모든 성분의 곱이 0보다 작을 경우 역시 주의해야 한다.
조화평균[편집]
조화평균(調和平均, harmonic mean)은 변량들의 역수의 산술평균을 구한 후 그것을 역수로 취한 평균을 말한다. 연속변수의 경우 확률변수에 역수를 취한 것을 확률측도에 대해 적분한 뒤 다시 역수를 취한 후 독립변수의 측도로 나눠주면 된다. 역수를 취해야 하므로 변량 중에 0이 끼어있으면 계산할 수 없다. 또한 각 변량이 모두 양수여야만 의미있는 값이 얻어진다.
조화평균은 기하평균과 같이 표본들이 비율이나 배수이지만 각 표본값은 독립적이고 표본끼리 곱한 값이 의미가 없을 때, 효율이나 속도 처럼 역수가 의미가 있을 때, 각 표본들이 비중이 같을 때 주로 쓰인다. 이런 표본값은 그냥 산술평균을 하면 값이 큰 쪽이 작은 쪽보다 부당하게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시정하고 공정한 평균을 낼 수 있다. 성능이나 효율 속도 시간당 진도 통계 등에 그런 통계가 유효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여러 은행의 평균 이자율 이라든지 주식의 평균 주가수익률 이라든지 같은 것을 계산할 때 쓰는 게 좋다. 각 표본값들이 비중이 다를 때는 가중조화평균을 사용해야 한다. 과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화평균으로는 병렬 연결된 등가 저항이다. 대한민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조화평균으로는 한국 영화 평점 서비스 왓챠피디아의 평점이 있다. 평점이 50개를 넘어가면 조화평균으로 영화 평점을 구한다.
멱평균[편집]
멱평균(冪平均, power mean, Generalized mean)은 위 세 가지 평균을 일반화한 것으로, 산술평균은 k=1인 1차평균, 기하평균은 k=0인 0차평균, 조화평균은 k=-1인 –1차평균이 된다. 2차평균은 제곱평균제곱근이 된다. 대표적으로 표준 편차는 편차의 2차평균이다. 또한, 변량이 모두 양수인 경우 lim M(k)는 최댓값, lim M(k)는 최솟값이 된다.
대수평균[편집]
여기서 x, y는 양수이고 x = y인 경우 대수평균은 x가 된다.
대수평균(對數平均, Logarithmic mean)은 로그평균(logarithmic mean)이라고도 하며 두 수의 차를 두 수의 각 자연로그값의 차로 나누어준 값이다. 따라서 다른 평균과는 달리 변수가 오직 두 개일 때만 쓰인다. 또한, 로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 수는 양수여야 한다. 주로 공학에서 많이 쓰이며 원통형 벽에서의 열전도, 이중 열교환기에서의 평균 온도차 또는 원통형 콘덴서의 평균 축전량을 구할 때 쓰인다. 다만 대수평균을 써야 할 경우에도 큰 수가 작은 수의 두 배 미만인 경우 대수평균 대신 산술 평균을 쓰기도 한다.
두 수의 크기 차이가 커질수록, 특히 작은 수의 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대수평균은 작아지는 특성이 있다. 다만 기하평균 값보다는 크게 유지된다. 예를 들면
자료값
|
큰값/작은값
|
산술평균
|
대수평균
|
기하평균
|
1001 & 999
|
1.002
|
1000
|
1000.00
|
1000.00
|
1100 & 900
|
1.222
|
1000
|
996.66
|
994.99
|
1200 & 800
|
1.5
|
1000
|
986.52
|
979.80
|
1250 & 750
|
1.667(=5/3)
|
1000
|
978.81
|
968.25
|
1333(=4000/3) & 667(=2000/3)
|
2
|
1000
|
961.80
|
942.81
|
1500 & 500
|
3
|
1000
|
910.24
|
866.02
|
1600 & 400
|
4
|
1000
|
865.62
|
800.00
|
1800 & 200
|
9
|
1000
|
728.19
|
600.00
|
1900 & 100
|
19
|
1000
|
611.32
|
435.89
|
1990 & 10
|
199
|
1000
|
374.06
|
141.07
|
1999 & 1
|
1999
|
1000
|
262.88
|
44.71
|
산술평균은 모두 1000인 데 비해 대수평균과 기하평균은 줄어듦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큰 수가 작은 수의 20배가 넘어갈 경우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2]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평균〉, 《나무위키》
- 〈평균〉, 《위키백과》
- 〈평균〉, 《네이버 국어사전》
같이 보기[편집]
이 평균 문서는 수학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일반 : 자연, 생물, 동물, 식물, 정치, 군사,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예술, 스포츠, 역사, 역사인물, 인간, 인체, 건강, 정신, 성격, 행동, 언어, 수학 □■⊕, 위키 도움말
|
|
수학
|
IMO • KMO • 공리 • 그래프이론 • 기하학 • 대수기하학 • 대수학 • 산수 • 산학 • 선형대수학 • 수식 • 수학 • 수학경시대회 • 수학자 • 양 • 위상수학 • 응용수학 • 이산수학 • 조합론 • 집합론 • 필즈상 • 해석학 • 도움말:수학
|
|
수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경(1016) • 공배수 • 공약수 • 구(1032) • 구골(10100) • 구골뱅 • 구골플렉스 • 구골플렉시안 • 그레이엄수(G64(4)) • 기수 • 로마숫자 • 만 • 무량대수(1068) • 무리수 • 무한대(∞) • 무한소 • 배수 • 백 • 벡터 • 복소수 • 부동소수점 • 분모 • 분수 • 분자 • 사원수 • 서수 • 소수 (decimal) • 소수 (prime number) • 소수점 • 수 • 숫자 • 스칼라 • 승수 • 실수 • 십진수 • 아라비아숫자 • 약수 • 양(1028) • 양수 • 억 • 원주율(π) • 유리수 • 음수 • 이진수 • 자(1024) • 자연로그의 밑(e) • 자연수 • 정수 • 조(1012) • 지수 • 천 • 합성수 • 해(1020) • 허수(i) • 황금비(φ)
|
|
계산
|
! • ↑ • cos • f(x) • lim • log • sin • tan • ∑ • ∫ • 가감승제 • 값 • 결합법칙 • 계산 • 곱 • 곱셈 • 곱하기 • 공식 • 교환법칙 • 구간 • 구구단 • 극한 • 근 • 근사값 • 나누기 • 나눗셈 • 나머지 • 난이도 • 내림 • 다항식 • 답 • 더하기 • 덧셈 • 도함수 • 독립변수 • 등식 • 라마누잔합 • 로그 • 루트(√) • 리만가설 • 몫 • 무한급수 • 미분 • 미적분 • 미지수 • 반올림 • 발산 • 방정식 • 백분율 • 변수 • 부등식 • 분배법칙 • 비례식 • 비율 • 빼기 • 뺄셈 • 사칙연산 • 산수 • 삼각함수 • 삼차방정식 • 상수 • 상용로그 • 셈 • 수렴 • 수열 • 시그모이드 함수 • 식 • 약분 • 역수 • 역함수 • 역행렬 • 연산 • 오일러 공식 • 오일러 등식 • 올림 • 이차방정식 • 인수 (수학) • 인수분해 • 자연로그 • 적분 • 전개 • 정답 • 정리 • 정의역 • 제곱 • 제곱근 • 종속변수 • 증명 • 지수 • 차수 • 천분율 • 치역 • 퍼센트(%) • 풀이 • 피타고라스 정리 • 함수 • 합 • 항 • 항등식 • 해 • 행렬
|
|
도형
|
각도 • 각뿔 • 곡면 • 곡선 • 구 • 그래프 • 길이 • 내심 • 넓이 • 높이 • 다각형 • 다면체 • 도형 • 둔각 • 둘레 • 마름모 • 면 • 면적 • 무게중심 • 반경 • 반구 • 반원 • 반지름 • 방심 • 변 • 부피 • 빗변 • 사각뿔 • 사각형 • 사다리꼴 • 삼각뿔 • 삼각형 • 선 • 선분 • 수심 • 쌍곡선 • 예각 • 오각형 • 외심 • 원 • 원기둥(원통) • 원뿔 • 원환체(도넛모양) • 육각형 • 이등변삼각형 • 입체 • 점 • 점선 • 정사각형 • 정사면체 • 정삼각형 • 정오각형 • 정육각형 • 정육면체 • 정팔각형 • 정팔면체 • 좌표 • 좌표계 • 좌표축 • 좌표평면 • 중첩 • 지름 • 직각 • 직경 • 직사각형 • 직선 • 직육면체 • 차원 • 초입방체(하이퍼큐브) • 축 • 타원 • 테서랙트 • 텐서 • 팔각형 • 평면 • 평행사변형 • 포물선 • 호
|
|
집합
|
공집합(Ø) • 교집합(∩) • 무한집합 • 벤 다이어그램 • 부분집합(⊂) • 알레프수(ℵ) • 여집합 • 원소 • 유한집합 • 전체집합 • 집합 • 차집합 • 합집합(∪)
|
|
통계
|
경우의 수 • 기댓값 • 기하평균 • 모분산 • 모집단 • 모평균 • 분산 • 분포 • 사건 • 산술평균 • 산포도 • 상관관계 • 순열 • 신뢰구간 • 신뢰도 • 유의수준 • 전수조사 • 정규분포 • 조합 • 조화평균 • 중앙값 • 통계 • 통계학 • 편차 • 평균 • 표본 • 표본분산 • 표본조사 • 표본평균 • 표준편차(σ) • 최빈값 • 합계 • 확률 • 확률밀도함수 • 회귀분석
|
|
수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게오르크 칸토어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니콜로 폰타나(타르탈리아) • 다비트 힐베르트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레온하르트 오일러 • 로널드 그레이엄 • 르네 데카르트 • 버트런드 러셀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베른하르트 리만 • 브룩 테일러 • 블레즈 파스칼 • 스리니바사 라마누잔 • 아르키메데스 • 아이작 뉴턴 • 알콰리즈미 • 앙리 푸앵카레 •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 요하네스 케플러 • 요한 베르누이 • 유클리드(에우클레이데스) • 유휘 • 이순지 • 이임학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조지 불 • 존 내시 • 존 네이피어 • 존 월리스 • 존 폰 노이만 • 지롤라모 카르다노 • 최석정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토머스 베이즈 • 피에르 드 페르마 • 피타고라스 • 헤론 • 홍정하 • 히파르코스
|
|
기타
|
IMO • KMO • 국제수학연맹 • 세계수학자대회 • 올림피아드 • 필즈상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토지
|
|
부동산 시장
|
가격 • 가격거품 • 가수요 • 강남불패 • 거래 • 거래량 • 거래사이클 • 거래절벽 • 거주목적 • 거주요건 • 경착륙 • 고가 • 공급 • 공급자 • 공포수요 • 과열 • 관망 • 관망세 • 구매 • 구매자 • 급등 • 급락 • 기하평균 • 대기수요 • 리츠 • 리츠사 • 물가 • 반등 • 배후수요 • 보합 • 보합세 • 부동산 버블 • 부동산 사이클 • 부동산 시장 • 부동산 커뮤니티 • 부동산 투기 • 부동산 투자 • 빌라공급 • 빌라수요 • 빌라시장 • 빚투 • 산술평균 • 상가 • 상가가격 • 상승 • 상승세 • 상승장 • 수요 • 수요자 • 수익 • 수익률 • 시가 • 시가인정액 • 시가표준액 • 시세 • 시세차익 • 신고가 (거래) • 신고가 (행정) • 신저가 • 실거주 • 실거주자 • 실수요 • 실수요자 • 심리 • 아파트가격 • 아파트공급 • 아파트수요 • 아파트시장 • 악재 • 연착륙 • 영끌 • 영끌족 • 영털 • 영털족 • 외지인 • 원정투기 • 이부망천 • 이자 • 이자율 • 이자지옥 • 인구감소 • 인구증가 • 재료 • 저가 • 정상화 • 조정 • 조정장 • 조화평균 • 주택가격 • 주택공급 • 주택수요 • 주택시장 • 지방소멸 • 집값 • 최고가 • 최저가 • 추세 • 추세선 • 추세전환 • 투기 • 투기수요 • 투자 • 투자목적 • 투자수요 • 패닉바잉(공황구매) • 평균 • 폭등 • 폭락 • 하락 • 하락세 • 하락장 • 하우스푸어 • 호가 • 호재 • 혼조 • 혼조세
|
|
부동산 매매
|
가액 • 갭 • 갭투자 • 거치 • 공시가격 • 공시지가 • 구분소유 • 구분소유자 • 급매 • 급매물 • 담보 • 담보대출 • 대출 • 대출심사 • 매각 • 매도 • 매도물량 • 매도세 • 매도우위지수 • 매도자 • 매도자 우위 • 매매 • 매매가 • 매매사례 • 매매사례가액 • 매물 • 매물실종 • 매수 • 매수물량 • 매수세 • 매수우위지수 • 매수자 • 매수자 우위 • 무담보대출 • 물량 • 미등기전매 • 변제 • 부동산 거래 • 부동산 매매 • 분할상환 • 빌라매매 • 상속 • 상투 • 상환 • 소유 • 소유자 • 소유주 • 실거래 • 실거래가 • 아파트매매 • 양도 • 양도차익 • 양여 • 원금 • 원금상환 • 원소유자 • 원시취득 • 유상취득 • 임장 • 잔금 • 잔금일 • 재개발 • 재건축 • 재산 • 전매 • 조합 • 조합원 • 주택담보대출(주담대) • 주택매매 • 중도금 • 증여 • 지가 • 차익 • 청산 • 초급매 • 초급매물 • 취득 • 취득가액 • 취득일 • 현금청산 • 현금화 • 현소유자 • 환매 • 환매권 • 환산취득가액
|
|
경매
|
가처분 • 감정가액 • 감정평가 • 감정평가사 • 감정평가액 • 감정평가업자 • 개찰 • 경공매 • 경락자 • 경매 • 경매물건 • 경매배당 • 경매처분 • 경쟁 • 경쟁률 • 경쟁입찰 • 경쟁자 • 공매 • 공매가격 • 국유자산 • 낙찰 • 낙찰가 • 낙찰예정자 • 낙찰자 • 단독응찰 • 무응찰 • 부동산 경매 • 비크리 경매 • 수의계약 • 수탁자산 • 승자의 저주 • 압류 • 압류자산 • 유입자산 • 유찰 • 응찰 • 입찰 • 입찰가 • 입찰참가 • 입찰참가자 • 재입찰 • 재재입찰 • 처분 • 처분금지 • 체납 • 체납액 • 체납자 • 투찰 • 투찰가 • 패찰 • 포기 • 행정처분
|
|
분양
|
가점 • 고분양가 • 공공분양 • 공공분양주택 • 낙약자 • 당첨 • 당첨자 • 딱지 • 마이너스피(마피) • 모델하우스 • 무입주금 • 물딱지 • 미달 • 미분양 • 미분양아파트 • 미분양주택 • 민간분양 • 부정청약 • 분양 • 분양가 • 분양권 • 분양권 전매 • 분양대행사 • 분양률 • 분양시장 • 분양자 • 선분양 • 선분양자 • 선분양제도 • 수분양자 • 수익자 • 시공사 • 시행사 • 신탁사 • 실입주금 • 요약자 • 원매자 • 융자 • 융자금 • 입주 • 입주권 • 입주금 • 입주자 • 전매금지 • 전매제한 • 청약 • 청약금 • 청약자 • 청약자격제한 • 청약통장 • 추첨 • 특별공급(특공) • 프리미엄(피) • 후분양 • 후분양자 • 후분양제도
|
|
임대
|
거주 • 거주자 • 건물주 • 공공임대아파트 • 공공임대주택 • 공공주택 • 관리비 • 국민임대아파트 • 국민임대주택 • 깡통전세 • 등록임대사업자 • 만기 • 만기일 • 매입임대주택 • 명도 • 명도소송 • 반전세 • 방세 • 보증금 • 빌라왕 • 사용 • 사용권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 상가임대 • 상가임대사업 • 상가임대사업자 • 세입자 • 연세 • 연체 • 영구임대아파트 • 영구임대주택 • 월세 • 월세가 • 월세보증금 • 월세집 • 위장전입 • 의무임대기간 • 이사 • 이주 • 임대 • 임대기간 • 임대물 • 임대사업 • 임대사업자 • 임대수익 • 임대아파트 • 임대인 • 임대주택 • 임대차 • 임대차 3법 • 임대차보호법 • 임차 • 임차권 • 임차권 등기명령 • 임차인 • 장기임대 • 장기임대주택 • 장기전세주택 • 재임대(전대) • 전대인 • 전대차 • 전대차계약 • 전세 • 전세가 • 전세가율 • 전세권 • 전세보증금 • 전세사기 • 전세임대주택 • 전세자금대출 • 전세집 • 전월세 • 전월세가 • 전월세전환 • 전월세전환율 • 전입 • 전입신고 • 전전세 • 전차인 • 전출 • 전출신고 • 점유 • 점유자 • 주거 • 주거권 • 주거안정 • 주택임대 • 주택임대사업 • 주택임대사업자 • 주택임대차 • 주택임대차보호법 • 집세 • 집주인 • 차임 • 통임대 • 하숙집 • 행복주택 • 확정일자
|
|
부동산 계약
|
가등기 • 갑구 • 건축물대장 • 경정등기 • 계약 • 계약금 • 계약당사자 • 계약률 • 계약서 • 계약일 • 공인중개사 • 구분소유권 • 권리질권 • 근저당 • 기명 • 다운계약 • 다운계약서 • 담보 가등기 • 대지권 미등기 • 등기 • 등기공무원 • 등기권리자 • 등기권리증 • 등기부 • 등기부등본 • 등기소 • 등기신청서 • 등기용지 • 등기의무자 • 등기인 • 등기일 • 등본 • 떴다방 • 말소 • 말소등기 • 말소회복등기 • 매매계약 • 매매계약서 • 멸실등기 • 명의등기인 • 물권 • 미계약 • 미등기 • 미등기부동산 • 법무사 • 법원 • 법원공무원 • 변경등기 • 복덕방 • 본등기 • 부동산등기 • 부동산등기법 • 부동산중개업 • 분양계약 • 불법계약 • 소멸 • 소유권 • 소유권 이전등기 • 소유권 이전청구권 가등기 • 소재지 • 신고 • 신분증 • 업계약 • 업계약서 • 예고등기 • 예비등기 • 월세계약 • 유치권 • 을구 • 일체성 • 임대차계약 • 임대차계약서 • 재계약 • 저당권 • 저당권자 • 전세계약 • 전세권 • 전유 • 전유면적 • 전유물 • 전유부분 • 제한물권 • 중개 • 중개수수료 • 중개업 • 중개업소 • 중개업자 • 중개인 • 지상권 • 지상권자 • 지역권 • 직거래 • 직권등기 • 질권 • 집주름 • 체결 • 특수관계자 • 표제부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