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적운

위키원
(積雲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적운

적운(積雲, cumulus)은 수직운의 하나다.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상승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기호는 Cu이다.

개요[편집]

적운은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으로 쌘구름 또는 뭉게구름(문화어: 더미구름)이라고도 한다. 즉,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자,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이다. 수증기가 상승기류에 의해 솟구치면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구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쌘구름이라고 한다. 물론 이 이름의 뜻은 "쌓여 있는 구름"이라는 뜻이다. 한자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나 다 똑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뭉게구름이라고 한다.

수증기와 웬만큼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이라면 전 세계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매우 흔한 구름이다. 넓은 평원이나 산간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바다 위에서도 볼 수 있다. 온대저기압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적란운의 전조이다. 햇빛에 비친 부분은 하얗게 빛나며, 구름 밑면은 어둡고 편평하다. 구름의 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500m에서 2km에 달하며, 구름 꼭대기까지는 종종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구름의 입자는 대부분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으나, 눈송이가 포함되기도 한다. 만약 빙정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적운이 적란운으로 변하기 쉽다.

비를 내리지 않는 것이 보통이며, 내리더라도 그 양이 극히 적고, 색깔은 전반적으로 희지만 밑바닥은 검다. 대부분 여름철에 지면이 가열되어 상승기류에 의해 생긴다.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며 기온가 낮아지는데, 건조 단열 감률에 의해 100m당 1°C씩 기온이 낮아지고, 이슬점은 이슬점 감률에 의해 100m당 0.2°C 낮아진다. 이슬점과 기온이 같아지면 응결이 일어나 적운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비가 오지 않으나, 비가 오더라도 그 양은 매우 적은 편이다. 하지만 웅대적운이 되면 소나기를 내리게 되며 간헐적인 천둥번개(뇌우), 적란운까지 가면 용오름도 발달시킬 수 있다.

적운형 구름은 크기에 따라서 편평적운(Cumulus humilis) < 중간적운(Cumulus mediocris) < 웅대적운(Cumulus congestus) < 적란운(Cumulonimbus)으로 분류할 수 있다.[1][2][3]

생성과 특징[편집]

대류권 구름의 종류

대부분 상승기류에 의해 수증기가 응결하며 발생한다. 적운의 사이즈는 수증기의 양 및 상승기류의 강도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상승기류가 강하면 강할수록 더욱 크고 아름다운 적운이 만들어지게 되며, 충분히 강한 상승기류는 적란운까지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전체적인 모양새는 다양하지만, 일단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희고 복슬복슬한 색깔과 질감을 갖고 있으며, 충분히 사이즈가 큰 적운은 아랫부분이 어두컴컴한 회색빛을 띤다. 또한, 일반적으로 작을 때에는 솜사탕, 클 때에는 탑처럼 생긴 모양이다. 그리고 아랫부분은 평평하고 매끈한 반면, 윗부분은 도톰한 돔(dome) 모양 내지는 양배추 모양으로 생겼다. 적운과 적란운 사이에는 특정한 기준을 찾기 힘들 정도로 연속적인 관계가 있다. 아니, 어떻게 보면 사실상 적운과 적란운은 마치 "어린이와 어른" 을 나누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실제로 이 두 구름은 환절기에 자주 나타나는데, 오전에는 적운이었다가 오후에는 적란운이 되는 식인 경우가 많다.

다른 변수가 없는 환경에서, 굳이 적운의 일생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햇빛이 지표를 가열하면서 상승기류가 최초로 발생하게 된다. 이제 막 이슬점에 도달한 수증기는, 아주 작은, 마치 털뭉치처럼 보이는 손톱만한 구름을 만들어낸다. 그러다가 공기가 계속 상승하면서, 수증기는 그 공기를 타고 따라올라가 희고 작은 돔 모양의 솜사탕 같은 구름을 만든다. 이것이 바로 편평적운("Cumulus humilis")이다. 만일 여기서 상승기류가 더 강하다면, 이 구름은 시간이 지나며 더욱 상승하여, 이내 밑바닥이 어둡고 꽤 높이 뭉게뭉게 솟아오른 구름이 된다. 이것은 중간적운("Cumulus mediocris")라고 불린다. 상승기류가 이 이상으로 계속 상승한다면, 곧 하나의 거대한 탑을 이루며 고도 4~5km 이상까지 치솟아오르는 "웅대적운"이 되며, 다른 이름은 "Cumulus Congestus"이다. 여기서부터는 적운으로 분류될 수 없긴 하지만, 이 이상으로 강력한 상승기류를 지니고 솟아오른 적운은 이내 적란운이 되어, 더욱 크고 아름다운 탑 모양의 "Cumulonimbus calvus", 대류권 계면 근처까지 솟아올라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Cumulonimbus capillatus"가 된다.

작은 규모의 적운이라도 의외로 강력한 난기류(turbulence)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비행기가 그 속에 들어가면 상당히 흔들릴 수 있다. 시정이 제로가 되는 것은 덤. 그리고 적운에서도 간혹 강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종류는 따로 "Cumulus praecipitatio"라고 부른다. 물론 적란운의 그것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말이다. 여담으로 여름철 하늘에 적운이 많아지면 야간에 복사냉각이 이뤄지지 않아서 열대야가 나타난다. 적운 뿐만 아니라 층적운 등 하층운 자체가 복사냉각이 적어서 기온 하강 속도가 작다. 태풍이 한 바탕 지나간 뒤에도 이런 적운 내지 적란운 비슷히 생긴 구름들이 남는데, 사실상 크기와 높이만 클 뿐 힘은 없다. 이런 구름들은 태풍 끝자락 또는 태풍 소멸 후의 잔여물이며, 태풍이 지나간 뒤에는 고기압 전선이 다가오기 때문에 힘없이 태풍 쪽 저기압 지대로 밀려난다.[3]

바리에이션[편집]

상술했듯이 적운에서도 간혹 비가 오거나 하는 일이 있는데, 아무래도 그 기세가 좀 약하다 보니 비가 땅에 닿지 못하고 도로 증발하는 일이 있다. 이렇게 되면 지상의 관찰자가 보기에는 마치 구름의 운저(밑바닥)에서 지상을 향해 부드러운 털 같은 꼬리가 드리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현상 자체는 "미류운"(virga)이라고 불린다. 이것이 적운과 결합했을 때에는 (억지로 말을 조합하자면) "미류적운"(Cumulus virga)이 되겠다.

만일 탑처럼 솟아오르는 적운의 꼭대기에 삿갓 모양의 구름이 씌워진다면, 그 구름은 거의 반드시 강력한 적란운이 될 징조이다. 상승기류가 굉장히 강하면서도 거칠고 빠르다는 뜻이기 때문. 이 경우는 "Cumulus pileus"가 된다. 적란운은 강수 도중에나 강수 후에 조각조각 부서지며 사라지는데, 이런 경우는 "Cumulus pannus" 또는 "SCUD(Scattered Cumulus Under Deck)"라고 불린다. 이와 생김새가 비슷하기도 한, 하늘에 떠가는 흔한 조각구름의 경우는 "Cumulus fractus"라고 한다. 이런 구름은 다른 적운의 생명이 다하며 붕괴할 때 떨어져 나오거나, 적란운의 강수가 끝나고 수명이 다할 무렵 측면 등에서 부서져 떨어진 경우이다.[3]

구름의 종류[편집]

일반형[편집]

상층운

  • 권운(새털구름, 卷雲, Cirrus, Cirrus fib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고 푸른 맑은 하늘에 나타나는 새털 같은 구름이다. 어디서나 볼 수 있으며,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원은 cirro- 인데, 그 뜻은 대략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것으로, 권운의 모양이 새털이나 명주실 모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럴싸한 이름이다. 한국어 이름의 권(卷) 역시도 '(둥글게) 말다'라는 의미가 있는데 마치 길게 늘어져 끝이 갈고리처럼 말려 있는 외형상의 특징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새털구름이 있고, 실제로 민간에서도 많이 쓰이는 이름이기도 하다.[4]
  • 권적운(조개구름, 卷積雲, Cirr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희고 작은 비늘 같은 모습으로 찬란하게 피어오르는 구름. 대부분은 빙정(얼음 알갱이), 나머지는 과냉각된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 다소 엉뚱하지만 그 이름의 권(卷)은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 단어다. 영어에서 cirro- 는 곱슬곱슬한 털 같다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뒷부분의 -cumulus 부분은 쌓여 있다는 뜻을 갖고 있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털쌘구름 또는 조개구름이라고도 한다.[5]
  • 권층운(베일구름, 卷層雲, Cirrostratus, Cirrostratus Nebulos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높은 하늘에서 흰색 내지는 옅은 회색의 빛으로 얇게 덮이는 베일 같은 구름. 주로 빙정, 즉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찌 보면 약간 복슬복슬한 털 같은 느낌도 있다. 쉽게 말하면, 높은 하늘에 끼는 안개(층운)라고 보면 된다. 그 이름에서 권(卷)은 보통 책 또는 종이를 뜻하는데 어째서 이런 단어가 붙었는지는 옛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썼는데 그 죽편들을 엮어서 책을 만들었고 그 책을 둘둘 말아서 보관했다. 영어에서 stratus는 넓게 퍼진 층을 뜻하며, 이는 권층운의 모습과도 상통한다. 한편 cirro- 접두사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는데, 영어로 직역하면 곱슬곱슬한 것(curl)이라고 한다. 마치 털과도 같은 구름의 질감에서 붙은 이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햇무리구름이라고 한다. 태양이 이 구름에 가려지게 되면 햇무리(halo)가 나타나기 때문이다.[6]

중층운

  • 고층운(회색차일구름, 高層雲, Alt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흔히 보는 흐린 날씨의 주범. 하늘 전체를 덮는 옅은 회색의 장막이나 베일 같은 구름. 중간 정도 높이의 하늘에서 발생한다. 때로는 온대저기압의 온난전선의 접근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순우리말 이름은 높층구름 또는 차일구름. 영어 이름에서 Alto-는 높다는 뜻이며, stratus는 층 형태를 의미한다. 한자어 이름인 "고층운" 과 그대로 통하는 뜻이다.[7]
  • 고적운(양떼구름, 高積雲, Al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중간 정도의 높은 하늘에서 웅장하게 나타나는, 다수의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름이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높쌘구름" 이라고 하는데, 한자어 "고적운" 이나 영어 "Altocumulus" 셋 다 모두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쌓여 있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외에도 그 모양을 따서 "양떼구름" 이라고도 하고, 영어에서는 고등어의 비늘 같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8]

하층운

  • 층운(안개구름, 層雲, 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 근처 또는 낮은 고도에서 응결하여, 무정형의 흐릿한 형태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름. 짐작하듯이 안개와 딱 잘라 나눌 만한 차이점은 없다. 그냥 높이 떠 있는 안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층구름 또는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영어 이름인 Stratus와 마찬가지로, 지표와 수평 방향의 층의 형태로 만들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간혹 안개구름이라고 하기도 한다.[9]
  • 층적운(두루마리구름, 層積雲, Strato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적운과 함께 하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름이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형성된다. 외견상 낮은 고도에서 회색빛의 두터운 구름이 담요처럼 둘둘 말리면서 헝클어진 모양을 하고 있다. "층쌘구름" 이라는 이름도 있는데,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두루마리구름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층 형태이며 이와 동시에 쌓인 형태를 가졌다는 뜻을 지녔다.[10]
  • 난층운(비구름, 亂層雲, Nimbostrat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다. 쉽게 말해서 흔한 비구름이다. 단, 소나기를 내리는 그런 구름이 아니라는 점에서 웅대적운과 적란운과는 구별된다. 외견상 하늘을 가득 채운 짙은 회색빛 먹구름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비층구름" 이라고도 한다. 영어에서 "Nimbo-" 역시 비를 뿌리는 구름이라는 뜻. 당연히 대한민국에서는 적란운만큼이나 여름에 자주 볼 수 있다.[11]

수직형

  • 적운(뭉게구름, 積雲, Cumulus) :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자, 일상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이다. 수증기가 상승기류에 의해 솟구치면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쌘구름이라고 한다. 물론 이 이름의 뜻은 "쌓여 있는 구름"이라는 뜻이다. 한자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나 다 똑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뭉게구름이라고 한다. 수증기와 웬만큼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이라면 전 세계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매우 흔한 구름이다. 넓은 평원이나 산간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바다 위에서도 볼 수 있다. 온대저기압의 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적란운의 전조이다.[3]
  • 적란운(소나기구름, 積亂雲, Cumulonimbus) : 적란운은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이다. 적란운은 권운의 높이까지 치솟는 크기가 엄청나게 큰 구름이다.[1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적운〉, 《위키백과》
  2. 적운〉, 《두산백과》
  3. 3.0 3.1 3.2 3.3 적운(구름)〉, 《나무위키》
  4. 권운〉, 《나무위키》
  5. 권적운〉, 《나무위키》
  6. 권층운〉, 《나무위키》
  7. 고층운〉, 《나무위키》
  8. 고적운〉, 《나무위키》
  9. 층운〉, 《나무위키》
  10. 층적운〉, 《나무위키》
  11. 난층운〉, 《나무위키》
  12. 적란운〉,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적운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