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국
방송국(放送局, Broadcasting Station)은 방송을 하는 무선국 또는 사업체를 말한다.[1]
목차
개요[편집]
방송국(放送局)은 전파법의 규정에 의하여 방송국의 면허를 받은 무선국을 말한다. 라디오 방송국,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나뉜다. 한국의 주요 방송사에는 KBS, SBS, MBC, TV조선, MBN, tvN 등이 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조선중앙텔레비죤, 만수대텔레비죤, 룡남산텔레비죤이 있다.[2]
한국 최초의 방송국은 1927년에 세워진 라디오 방송국인 경성방송국(JODK)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식민지 통치를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세운 것이기 때문에 우리말과 일본어 방송의 비율이 1:3이였고, 이때까지는 일본의 명의으로 세워진 방송국이였다. 1947년이 돼서야 한국은 국제무선통신회의에서 독립국가로서 한국 호출부호 에이치엘(HL)을 부여받게 되었고, 처음 부여된 날인 9월 3일은 전파주권 회복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방송의 날로 정해졌다.
한국 최초의 TV 방송국은 대한방송(HLKZ-TV)이고, 이후 화재로 망하면서 한국방송공사(KBS)가 그 뒤를 잇는다. [3]
어원[편집]
원래 방송국이라는 단어에서의 '국'은 정부 내 부서 단위 중의 하나인 국(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예전에는 한국 정부 내 공보처에 방송을 스스로 제작해서 송출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있었는데, 현재 한국방송공사의 전신 정도 되는 해당 부서의 명칭이 방송국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후 이 단어가 방송사(또는 방송시설)라는 단어와 혼동되어 사용되면서, 현재는 거의 동의어처럼 쓰이고 있다. 하지만 현대 언론 기관의 성격 및 운영 형태를 볼 때, 방송국보다는 '방송사'가 적합한 표현이다.
언론에서의 사용 자제[편집]
특히, 언론에서는 '방송국'이란 표현을 특정 권력 기관에 순치된 언론기관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언론사 입사 준비생들에게 '방송국'은 절대 사용해선 안 되는 낱말로 통한다. 실제로, 면접 시험 때 '방송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경우 상당히 감점을 받을 수 있고, 방송국의 경우에는 낙방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언론 학계에서도 '방송사'라는 표현이 정립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 전공자들은 의식적으로라도 '방송국'이라는 낱말을 사용하지 않으려 한다. 실제로, 토론이나 대담 프로그램에서 언론인, 언론학자 출신 패널들은 의식적으로라도 '방송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일반 정치 평론가나 타 분야 전문가들은 '방송국', '방송사'를 혼용해 사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3]
내부구성[편집]
나름 보안시설이고 설계 자체가 은근히 복잡한데, 이유는 방송국이라는 시설 자체가 전시에는 전략적 요충지 0순위 중에서도 0순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적이나 거수자에게 점령당할 경우, 순식간에 프로파간다, 그러니까 선전, 선동용도로 쓰이면서 적군의 사기 진작과 아군 혼란 초래를 일으킬 수도 있다. 당장 6.25 전쟁 초반에 정부가 뭐라고 방송을 때렸으며 그 결과 국민들이 어떤 운명에 처했는지 상기해 봐도... 궁성사건 당시에도 하타나카 등 반란군이 최후로 점거하려 했던 곳도 NHK 도쿄 스튜디오였으며, 박정희 소장이 5.16 쿠데타 당시 맨 먼저 점령한 곳도 남산연주소(HLKA)였다. 그리고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은 취임 이후 예고도 없이 불쑥 KBS 본관을 찾아 주조정실까지 한달음에 들어오면서 '국가기간시설 보안이 뭐 이따위냐'라며 관계자들조인트를 깠고을 문책했고, 이후 KBS 본관에는 현재와 같은 게이트가 추가되었다.
한편 1999년에는 PD수첩의 보도에 불만을 품은 만민교회 신도들의 점거로 인해 만민중앙교회 MBC 습격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당시 '외부인들에게 너무 쉽게 뚫려버린 게 아니냐', '혹시 내부인의 협조가 있었던 것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그래서 결국 내부 구조와 방송 중요장비가 위치한 공간은 마치 미로를 연상되게 할 정도로 상당히 복잡하게 바꾸었다. 물론 현대에는 각종 예능 프로에서부터 연예인들이 방송국 곳곳을 누비는 장면도 심심찮게 나오지만 대부분은 다른 외부인도 견학 등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 수준이고 핵심 구역들은 절대 비공개다. 사실 일반인은 방송국에 출입하는 것도 제한되어 있다. 방청객 등으로 출입이 허가되더라도 정해진 루트로만 다닐 수 있게 제한되어 있다. 물론 보안담당 직원도 막 아무렇게나 뽑지 않는다.
tvN같이 보도채널이 없는 순수한 오락채널이면 몰라도, 보도전문채널을 포함해 종합편성채널급 이상이 되는 방송국의 경우 주조정실은 국가보안시설로 경찰의 관리를 받는다. 특히 지상파 방송국의 주조정실은 외부인의 무단 침투시 경찰은 물론이고 국정원, 대통령실에도 보고를 올려야 하는 매우 중요한 장소다. 언론의 자유에 대한 침탈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안에 매우 중요한 시설이기에 방송국 출입문 근처에는 1년 365일 24시간 보안직원이 상주해있으며, 엘리베이터 앞에는 스피드게이트를 설치해놓는다. 지하주차장 출입구도 차단기를 설치하여 방송국 직원과 사전 허가받은 외부인의 차량만 지하주차장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해놓는다.
주조정실[편집]
부조정실, 송신소, 중계차 등에서 프로그램 수신하여 분배하거나 최종적으로 송출하는 것을 담당하는 조정실. 주조정실은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전달해주는 역할만 한다. 때문에 프로그램 제작을 담당하는 부조정실에 비하면 업무가 단순하고 상당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다.
부조정실[편집]
프로그램(특히 생방송)을 제작하는 조정실. 스튜디오(세트장) 내부에 위치하며 스튜디오의 영상, 음향, 조명을 제어한다.
스튜디오[편집]
프로그램 제작을 할수 있는 세트, 장비가 있다. 주로 예능에서 많이 이용한다.
세트장[편집]
주로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말한다. 사극, 시대극 등 각 드라마의 특성에 맞춘 장소를 별도로 섭외한다. 예산절약 등의 차원으로 기존의 세트장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새로이 별도의 세트장을 짓는 경우도 있다. 촬영 후에는 이를 지자체의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특히 한류 드라마들의 경우 이를 이용한 상품이 많이 개발된다. 하지만, 제아무리 흥행한 드라마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최근에는 태양의 후예 세트장에 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3]
교내방송[편집]
방송부(放送部)는 학교 내 부서활동 중의 하나로 교내 방송업무를 담당한다.
학교에 따라서는 방송부를 하나의 동아리로 지정해서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에도 방송부원들이 방송부 관련 일만 하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동아리 활동이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한국 고등학교에서 그나마 동아리의 기능을 하는 부서이기도 하다. 어느 정도 역사가 있고 부원의 직무가 명확하다면 대학교 동아리처럼 체계가 잡혀있고 먼 선배와의 교류도 있으며, 다른 학교 방송부와 교류를 하기도 한다. 상시적으로 일을 하며 학생회보다 일을 많이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부원은 보통 한 학년에 3~6명, 작은 학교에서는 3명 정도가 보편적으로, 교내 방송실을 거점으로 삼고있다. 명칭은 방송부와 방송반으로 갈린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방송부를 방송반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학생들은 거의 방송부라고 하고 선생님들은 방송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타 동아리보다 활동의 범위와 중요성이 높아 보통 어느 정도 연세가 있으신 선생님이나 미디어 관련 지식이 있으신 선생님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편이며, 이러한 활동의 유지와 특수성 때문에 한 교사가 계속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몇몇 학교에서는 방송부를 아예 학생회 부서로 편입하여 축제 때 밤 10시 넘어서까지 축제 준비를 학생회와 같이 하기 때문에, 정말 학생회, 도서부와 더불어 학교의 고품격 노동부이다. 또한, 방송 사정이 안 좋다거나, PPT가 꺼진다거나, 마이크가 꺼지거나, 혹은 말씀하시는 분의 요구사항을 해결해야 하는 부서이다.[3]
한국의 주요 방송국[편집]
KBS[편집]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영어: Korea Broadcasting System, KBS)는 한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다.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창립되었고, 1935년에는 조선방송협회를 결성하여 전국에 지역방송국을 설립하였다. 1947년에 서울중앙방송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같은 해 약칭을 KBS로 정하였다. 1961년에 TV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하였고, 1973년에는 공사 창립으로 국영에서 공영으로 전환되었다. 1980년에 동양방송과 동아방송 등 민간방송국을 인수합병하였으며, 컬러TV 송출을 시작하였고 KBS 2TV를 개국하였다. 1983년에 방송된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4]
SBS[편집]
SBS(한국어: 에스비에스)는 태영건설의 지주사 TY홀딩스 소유의 한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다.
지상파 민영 상업 방송국의 전국 네트워크의 중심국(키국)이라고 볼 수 있으나, 공식상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역민영방송이다. 그 외의 지역 민방국과의 직접적인 자본 관계는 전혀 없으며 단지 프로그램 공급 계약을 맺었을 뿐이다. 다만 SBS 대주주 TY홀딩스는 KNN 주식의 10.9%와 G1방송 주식의 4.9%를 보유와 SBS 제2주주인 가스 기기 제조사 (주)귀뚜라미는 TBC 주식의 24.2%(계열의 귀뚜라미정밀공업, 귀뚜라미보일러 몫 합계)를 보유하는 대주주다.
제작사옥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61(목동)에 본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현로 111(탄현동)에 제작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42(등촌동)에 공개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82(상암동)에 SBS프리즘타워 등을 가지고 있다. 목동 방송센터에서는 주로 보도와 시사 프로그램이 제작되며, 국내방송사옥 중 최대규모의 사옥으로 주로 사무용 건물로 사용된다. 일산제작센터에서는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주로 제작되며, 등촌동 공개홀에서는 음악 프로그램과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있다. SBS프리즘타워에는 예능프로그램이 제작되며, SBS 미디어넷이 입주해 있다.
1998년 12월 1일 방송합리화 정책에 의하여 SBS에서 방송기술부문과 방송미술부문이 SBS 아트텍으로 영상제작부문과 중계부문이 SBS 뉴스텍의 자회사로 분사되었다. SBS 아트텍은 목동본사 스튜디오와 일산제작센터, 등촌동 공개홀 부조정실과 기술과 관련된 부문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다 2014년 5월 1일 두 법인이 서로 합병하여 SBS A&T가 출범하였다.
케이블TV,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KT Skylife), IPTV 서비스 등을 통해 SBS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골프 2 등의 각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그중에서 SBS 스포츠에서는 2023년 시즌부터 일본 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 시합의 중계방송을 닛폰 TV 방송망로부터 영상 제공을 받는 형태로 개시하고 있다. 이승엽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에 따른 것으로 경기 종료까지 음성은 SBS측이 붙이는 '가공 출장'형식을 취하고 있다.
방송국 개국 이래 일본의 니혼 TV(NTV)와 제휴 관계이며, 니혼TV 계열의 후쿠오카 방송(FBS)에서 특파원을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SBS 도쿄지국은 시오도메의 닛폰 TV(NTV) 타워 내에 있으며, 도쿄에서 전하는 뉴스 화면에서는 신바시역 부근을 달리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배경으로 나타난다. 2004년 11월부터 일본의 모바 호(Ho)에 텔레비전 뉴스, 드라마, 버라이어티,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공급을 개시하였다. 이 외에 미국 HBO, 러시아 RTR, 중국 북경 TV 등과도 협력 관계다.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다. 실질적 대주주는 건설 회사인 태영건설이다. 태영건설은 SBS와 설립 발기인적 입장에 있을 뿐 아니라 윤세영이 두 회사의 회장을 맡는 등 자본과 인사상의 관계가 깊다.[5]
MBC[편집]
주식회사 문화방송(株式會社 文化放送, 영어: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는 한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다.
1959년 4월 15일 김지태가 국내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인 부산문화방송을 개국함으로써 문화방송 계열회사 중 최초의 방송국을 설립했다. 현재의 부산문화방송은 개국 당시부터 1965년까지 문화방송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김지태는 1961년 1월에 서울에서 서울민간방송이라는 상호로 회사를 설립한 후 3월에는 한국방송HBC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1기 성우, 기자, 아나운서 모집은 모두 한국방송 시기인 6월 7일에 이루어졌다. 7월에는 라디오서울로 이름을 바꾼 후 10월에 한국문화방송으로 다시 바꾼다. 11월에 라디오방송 시험전파를 발사하고, 12월에 MBC 라디오 방송국을 개국한다. 하지만 김지태는 5·16 군사 정변 이후 부정축재자로 적발, 1962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등 전 재산을 5·16장학회에 헌납했다.[6]
tvN[편집]
tvN은 CJ ENM 미디어콘텐츠부문에서 운영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이다.
2006년 10월 9일 오후 7시, 케이블 TV와 위성 방송, 위성 DMB (TU)에서 동시 개국하여 100% 자체 제작을 내세우며 지상파에서 시도하지 못했던 다양한 포맷으로 실험적인 방송을 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폭스 인터내셔널 채널스 (Fox International Channels)와 함께 필리핀, 홍콩, 대만을 가청 구역으로 하는 tvN Asia를 개국하여 Star TV 위성 (Asia Sat)을 통해 송출했으며 2015년 계약 종료로 단독 tvN (한국 채널) 방송 중이다.
2010년 6월 28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수도권 지상파DMB 사업자인 한국DMB의 채널을 임대하여 tvN Go를 송출·방송하였다. 2015년 9월 10일에는 중장년층에게 특화된 제2채널 O tvN(현 tvN DRAMA)이, 2018년 1월 26일에는 밀레니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제3채널 XtvN(현 tvN SHOW)이, 2021년 5월 1일에는 중장년층 세대를 대상으로 한 제4채널 tvN STORY가 잇따라 개국되었다. 2021년 9월 1일에는 O tvN이 tvN DRAMA로, XtvN이 tvN SHOW로 두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2022년 5월 20일에는 Olive가 25세 ~ 59세 청장년 세대 대상으로 한 제5채널이자 스포츠 전문 채널 tvN SPORTS로 변경되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중계권을 계약하여 주관 방송사가 되었으며, 스포츠 콘텐츠로 정식 확장되었다.[7]
비판[편집]
육체노동자 착취[편집]
tvN 혼술남녀 조연출 자살사건에서 방송국의 촬영팀 중 선배들이 후배에게 똥군기를 부리는 것도 모자라 강제로 해고시켜 자살하는 지경까지 내몰았고, 화유기에서 촬영팀 중 후배 한 명이 안전장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추락하여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는 사고가 벌어지자 선배들이 안전장비를 제대로 지급하겠다고 사과하지 않고 실질적인 조치조차 취하지 않는 등, 촬영팀 등의 육체노동자에게 하위직을 맡겨 모든 부담을 전가하고 고위직을 차지한 사무직은 안전하게 꿀빨면서 하위직에게 똥군기와 노동력 착취를 해놓고 모른 척하고 쉬쉬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아직까지는 tvN에서만 육체노동자 착취가 일어났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나 다른 방송사에서 이에 대해 비판의식이 전무한 것으로 보아 방송계에서 관행이라는 이유로 묵인된 악습일 가능성이 높다.
정경유착에 취약한 수익 모델[편집]
언론사처럼 기업 광고가 주 수익인 방송국은 정경유착에 취약하다. 같은 이유로 국가(외국 포함)의 예산 및 광고 투자나 금융계의 자금 로비에 취약하다. 국가적인 예시로 차이나머니가 있고, 금융계의 예시로 게임스탑 주가 폭등 사건에서 금융투자자들의 도를 넘은 황금만능주의 및 신자유주의를 비판한 게이머들을 전 세계 언론이 전부 게이머들의 투정으로 묻어버리려는 행태를 보인 것이 있다. 그렇다 보니 극단적인 경우 KBS처럼 국민의 혈세를 지나치게 많이 받고 적자행으로 낭비한다는 평가를 들어도 '어차피 우리 돈 잘 버니까 꼬우면 당신들이 우리 회사 들어와서 개혁해보시던가'라는 적대적 태도로 시청률을 책임지는 국민들을 모욕적으로 대하기도 한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방송국〉, 《네이버지식백과》
- 〈방송국〉, 《나무위키》
- 〈방송국〉, 《위키백과》
- 〈한국방송공사〉, 《위키백과》
- 〈SBS〉, 《위키백과》
- 〈문화방송〉, 《위키백과》
- 〈tvN〉, 《위키백과》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