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막은 사람이 겨우 들어가 살 정도로 작게 지은 막, 또는 작고 초라한 집을 말한다.[1]
오두막은 다양한 지역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는 원시적인 거주지이다. 오두막은 여러 세대를 거쳐 전해내려온 기법들을 사용하여 나무, 눈, 얼음, 돌, 풀, 종려 잎, 나뭇가지, 가죽, 직물, 진흙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 주택 구조의 일종이다.
오두막은 잘 지어진 견고한 집보다는 품질이 떨어지는 모양을 지니고 있으나 천막과 같은 보호소보다는 질이 더 좋으며 임시 주거지나 특정 계절에 활용되는 주거지로, 아니면 원시 사회에서 영구적인 거주지로서 사용된다.
오두막은 특히 모든 유목 문화에 존재한다. 일부 오두막은 수송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날씨에 대응할 수 있다.[2]
이글루[편집]
이글루(Igloo, 이누크티투트어: ᐃᒡᓗ iglu, '집')는 이누이트들이 눈으로 만든 블록이나 얼음을 쌓아서 만든 집이다. 눈 집(snow house)으로 불리기도 한다.(에스키모는 이누이트를 비하해 부르는 말이다.) 1년의 거의 대부분이 눈과 얼음으로 덮인 툰드라 지방에서 생활하는 이누이트들의 지혜가 묻어나오는 훌륭한 집이다. 북극에서 눈이나 얼음이 충분하다면 어디에서든 만들 수 있어서 추운 북극 생활도 견딜 수 있게 도와준다.
이글루를 만들자면 얼음을 잘라내 쌓고 이글루 안에 불을 피워 녹이고 불을 꺼 얼린다. 얼음과 눈덩이로 둥글게 만든다. 단단해진 눈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 꼭대기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돔 모양이 되게 나선형으로 쌓아 만든다. 또 꼭대기에 구멍을 만들어 안의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하며, 입구는 터널 모양으로 만들어 찬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이글루 안에 물을 뿌리면 그 물이 응고하면서 열에너지가 발생하고, 그 열에너지 때문에 안은 따뜻해진다.[3]
티피(tepee)는 아메리카 인디언이 사용한 거주용 텐트이다. 원추형으로 배열한 장소 위에 물소 가죽을 덮어 만든다. 텐트는 땅바닥에 나무 말뚝을 박아 고정하며, 정면에 나무핀으로 닫아둔 틈이 출입문 구실을 한다.
티피는 라코타어에서 온 말이다. 라코타어로 티피는 '주거'(house)를 의미하며, 거주하다라는 동사 티(thí)에서 온 말이었다.
유사한 형태의 목재 천막인 위그웜은 정주 부족이 사용을 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위그웜(wigwam)이라는 용어는 원뿔형 가죽 티피를 나타내는 말로 잘못 사용되고 있다.
티피는 수족을 비롯하여 남부 캐나다, 북미 평원부, 북서부를 이동하면서 사냥하는 문화를 가진 부족의 야영지이다. 작은 것은 1 ~ 2명, 큰 것은 몇 가구가 거주 할 수 있는 거대한 것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입구는 태양이 떠오르는 동쪽 방향으로 지어진다. 이유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해가 뜸과 동시에 일어나기 위해서다. 텐트와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이곳에서 불을 피우는 수가 있다는 점이다.
천막처럼 접을 수 있으며, 방석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필요한 건축 자재도 매우 적다. 생존을 위해 비바람을 피할 피난처가 필요하지만, 티피는 그 간편함으로 미군의 군사 교련 중 생존을 다룬 매뉴얼에는 낙하산의 천과 끈과를 사용하여 이 티피를 만드는 방법도 나와 있다.
평원 부족이 일년 내내 티피에서 생활했던 것은 아니었고, 여름은 티피로 이동하면서 사냥을 하고, 평야가 눈에 덮이는 겨울 동안은 "겨울 마을"(위그웜 촌락)에서 생활을 했다.[4]
유르트[편집]
유르트(튀르키예어: yurt)란 중앙아시아의 유목민들이 쓰는 이동 가능한 주거 형태이다. 파키스탄과 몽골에서는 게르(아랍어: گھر)라고 부른다. 본래 유목민들은 유르트에서 살아왔으나, 현재는 정착생활을 하면서 보조 집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유르트의 어원은 원래 투르크 어족의 "고향"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기원했으며 실제로는 거주지의 뜻을 내포하고 있어 다른 언어에서는 텐트의 형태를 한 구조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러시아에는 유르트를 유르타(러시아어: юрта)라고 부른다. 러시아어에서 영어로 전해져서 기본적으로 유목민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나 캠핑을 할 때 쓰는 말이 되기도 하였다.
카자흐스탄이나 위구르 족은 이런 구조를 펠트 천으로 만든 집이라는 뜻에서 kiyiz üy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펠트 천의 색깔이 회색빛이어서 토착 언어로 회색 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파키스탄에서는 한다. 몽골에서도 게르라고 부른다.
나무로 된 유르트의 격자 그 자체가 많은 중앙아시아 국가에서 상징적인 이미지로 통한다. 전통적으로 카자흐스탄 사회에 있어서는 유르트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수선하거나 고쳐서 쓰는데 그럴 경우에도 맨 위의 왕관 모양의 상징은 버려서는 안 되었다. 만약 아버지가 죽고 아들이 유르트를 물려받으면 shangrak이라고 하는 이 왕관이 그대로 남고 그 위에 아들의 것을 올려 계속 이어간다. 따라서 어떤 가족의 가계 혈통을 알고 싶다면 지붕 위에 있는 왕관 모양의 것을 세어보면 될 것이다. 왕관 모양의 지붕을 디자인하여 만든 문양이 현재 카자흐스탄의 국기에 그려져 있기도 하다.
유르트 안에는 태양을 상징하는 지붕이 있고 그곳을 통해 태양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유르트를 유목민의 우주라고도 한다. 유르트 안에는 유목민들이 사용하는 12년 주기의 달력이 있는데, 이 역시 유목민의 철학이자 정신이다. 유목민에게 유르트는 단지 집이 아닌 자신이 태어나고 죽는 장소, 인생의 모든 일이 일어나는 장소이다.[5]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오두막〉, 《네이버국어사전》
- 〈오두막〉, 《위키백과》
- 〈이글루〉, 《위키백과》
- 〈티피〉, 《위키백과》
- 〈유르트〉, 《위키백과》
같이 보기[편집]
이 오두막 문서는 건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산업 : 산업, 산업혁명, 기술, 제조, 기계, 전자제품, 정보통신, 반도체, 화학, 바이오, 건설, 유통, 서비스, 에너지, 전기, 소재, 원소, 환경, 직업, 화폐, 금융, 금융사,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 토지
|
|
건물
|
건물 • 건축물 • 건폐율 • 고고익선 • 공작물 • 구조물 • 남향 • 동향 • 랜드마크 • 마천루 • 모듈러 주택 • 북향 • 새집증후군 • 서향 • 용적률 • 입면 • 집 • 채 • 층간소음 • 향 • 헌집증후군
|
|
건물 종류
|
가건물 • 가설물 • 가옥 • 감옥 • 경기장 • 고급아파트 • 고급주택 • 고시원 • 고시텔 • 고층건물 • 고층빌딩 • 고층아파트 • 고층주택 • 공공건물 • 공공주택 • 공관 • 공동주택 • 공연장 • 공장 • 공항 • 교도소 • 교회 • 구분건물 • 구축 • 구축건물 • 구축아파트 • 궁궐 • 궁전 • 귀틀집 • 근린상가 • 기숙사 • 기와집 • 남향건물 • 납골당 • 너와집 • 노후주택 • 농막 • 다가구주택 • 다세대주택 • 다중주택 • 단독빌딩 • 단독주택 • 대궐 • 대단지아파트 • 대형건물 • 대형마트 • 도서관 • 동물원 • 동향건물 • 롱하우스 • 마트 • 막사 • 맨션 • 모델하우스 • 모텔 • 목조건물 • 무허가건물 • 미등기건물 • 민간임대주택 • 민간주택 • 민박집 • 박물관 • 반값아파트 • 발전소 • 방송국 • 백화점 • 벽돌집 • 별장 • 병원 • 북향건물 • 불량주택 • 빌딩 • 빌라 • 빌라단지 • 살림집 • 상가건물 • 새집 • 서향건물 • 석조건물 • 성 • 성당 • 셰어하우스 • 소형건물 • 쇼핑센터 • 수목원 • 수상가옥 • 숙소 • 식물원 • 신축 • 신축건물 • 신축빌라 • 신축아파트 • 실버타운 • 썩빌 • 아파텔 • 아파트 • 아파트단지 • 액티브 하우스 • 양옥 • 여관 • 역 • 연립주택 • 오두막 • 오피스텔 • 움집 • 원두막 • 이동식 주택 • 일반아파트 • 일반주택 • 임대주택 • 임시주택 • 재건축아파트 • 재외공관 • 저층건물 • 저층빌라 • 저층아파트 • 저층주택 • 저택 • 전시장 • 전원주택 • 절 • 정자 • 제로하우스 • 조립주택 • 주상복합 • 주유소 • 주차타워 • 주택 • 주택단지 • 준주택 • 중층빌라 • 중층아파트 • 중층주택 • 지식산업센터(지산, 아파트형 공장) • 지하상가 • 집합건물 • 집합주택 • 창고 • 천막집 • 철탑 • 청사 • 체육관 • 초가집 • 초고층건물 • 초고층아파트 • 최고급아파트 • 충전소 • 컨테이너 하우스 • 타운하우스 • 판잣집 • 패시브 하우스 • 펜트하우스 • 하수처리장 • 학교 • 한옥 • 할인점 • 합숙소 • 헌집 • 헬스장 • 협소주택 • 호텔 • 휴게소
|
|
건물 구조
|
가벽 • 가족실 • 객실 • 거실 • 건넌방 • 경첩(힌지) • 계단 • 고층 • 골조 • 공동세탁실 • 공동화장실 • 광창 • 구들 • 굴뚝 • 기둥 • 기와 • 기초 • 난간 • 내력벽 • 내벽 • 다락 • 다락방 • 다용도실 • 단청 • 단층 • 담장 • 대들보 • 대리석 • 대문 • 대변기 • 대피공간 • 더그매 • 덕트 • 도배 • 드레스룸 • 라디에이터 • 로비 • 로얄층 • 마당 • 마루 • 목공벽 • 무빙워크 • 문 • 문손잡이 • 문지방 • 문짝 • 문틀 • 문틈 • 문패 • 미닫이문 • 바닥 • 바닥면 • 반자 • 반지하 • 발코니 • 방 • 방구들 • 방문 • 배관 • 번호키 • 베란다 • 벽 • 벽난로 • 벽면 • 벽장 • 벽지 • 벽체 • 변기 • 변소 • 별관 • 별채 • 보 • 보일러실 • 복도 • 복층 • 본관 • 본채 • 부뚜막 • 부엌 • 붙박이 • 블라인드 • 비내력벽 • 빌트인 • 사랑방 • 사랑채 • 상수도 • 상하수도 • 샤워부스 • 서재 • 세면대 • 세탁실 • 소변기 • 수납장 • 스위치 • 슬래브 • 식당 • 신발장 • 실외기실 • 씽크대 • 아궁이 • 아랫목 • 아치 • 안방 • 안채 • 양변기 • 에스컬레이터 • 엘리베이터 • 여닫이문 • 옥상 • 옥상공원 • 옥탑방 • 온돌 • 옷장 • 외벽 • 욕실 • 욕조 • 우물 • 우물형 천장 • 울타리 • 원룸 • 위생실 • 윗목 • 유리창 • 응접실 • 이중창 • 인터폰 • 장판 • 저수조(물탱크) • 저층 • 접지봉 • 정원 • 정화조 • 조경 • 조경수 • 조적벽 • 주방 • 주차장 • 주춧돌 • 중정 • 중층 • 지붕 • 지상층 • 지하실 • 지하층 • 쪽방 • 창 • 창고 • 창문 • 창틀 • 창호 • 처마 • 천장 • 천장고 • 철조망 • 체력단련실 • 초고층 • 초인종 • 층 • 층고 • 침실 • 카페트 • 칸 • 칸막이 • 커튼 • 커튼월 • 코인세탁실 • 타일 • 테라스 • 파우더룸 • 평면도 • 폴리싱타일 • 풍경종 • 하꼬방 • 하수도 • 현관 • 현관문 • 홈통 • 화장실
|
|
시설
|
가스시설 • 공간시설 • 공공시설 • 공용시설 • 공장시설 • 관광시설 • 관광휴게시설 • 교육시설 • 교육연구시설 • 교정 및 군사 시설 • 교정시설 • 교통시설 • 군사시설 • 근린생활시설(근생) • 기계시설 • 기반시설 • 노유자시설 • 도시계획시설 •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 목욕시설 • 묘지관련시설 • 문화시설 • 문화체육시설 • 발전시설 • 방송시설 • 방송통신시설 • 방재시설 • 보건시설 • 보건위생시설 • 복지시설 • 산업시설 • 상업시설 • 생활시설 • 수도시설 • 수련시설 • 수용시설 • 숙박시설 • 업무시설 • 연구시설 • 온수시설 • 운동시설 • 운수시설 • 위락시설 • 위생시설 • 위탁시설(민간위탁시설) •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 유통시설 • 유해시설 • 의료시설 • 이용시설(통원시설) • 자동차관련시설 • 자원순환시설 • 장례식장 및 야영장 시설 • 전기시설 • 정비기반시설 • 종교시설 • 주거시설 • 주차시설 • 집회시설 • 창고시설 • 철도시설 • 체육시설 • 커뮤니티 시설 • 통신시설 • 판매시설 • 항만시설 • 혐오시설 • 환경기초시설 • 휴게시설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