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3/3e/%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_%EC%9C%84%EC%B9%98.png/300px-%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_%EC%9C%84%EC%B9%98.png)
지시시(중국어: 鸡西市 jī xī shì)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지시시의 면적은 22,488.47km²이며 인구는 1,502,060명(2020)이다. 무단장시(牡丹江市, 목단강시), 치타이허시(七台河市, 칠대하시)와 이웃하며 동쪽과 동남쪽은 러시아와 경계하고 있는 중요한 석탄 생산기지의 하나이다.
시 인민 정부는 지관구(鸡冠区, 계관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지관구(鸡冠区, 계관구), 헝산구(恒山区, 항산구), 디다오구(滴道区, 적도구), 리수구(梨树区), 청쯔허구(城子河区, 성자하구), 마산구(麻山区), 후린시(虎林市, 호림시), 미산시(密山市, 밀산시), 지둥현(鸡东县, 계동현)의 1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관산(鷄冠山) 서쪽에 위치한다 하여 지시라고 부른다.
지시시는 국무원이 국가의 중요한 에너지 기지이자 헤이룽장성 동남부의 지역 중심 도시 중 하나로 승인한 도시이다. 계서 지역은 중국 동북 변경에서 개발이 비교적 이른 지역으로, 약 6000년 전 지시 지역의 선조인 숙신족이 이곳에서 생활하며 고대 어로와 수렵 문화를 창조한 신개류문화를 형성했다. 당나라 때 계서 지역은 중원 지역과 교류를 시작하였으며, 발해국이 이곳에 동평부(현 밀산시)를 설치하면서 지시 지역은 정식으로 행정 권역에 편입되었다.
지시시는 100년의 석탄 채굴 역사를 가진 곳이자 동북항일연군의 주요 활동지, 제2차 세계대전 종결지, 신중국 공군의 탄생지, ‘북대황 정신’의 발원지, 현대 경극 《홍등기》의 원형지, 북대황 서예 예술의 집결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부근에 질이 좋은 석탄 광산이 있어 중국의 주요 탄광 도시 중 하나이다. 지관산 서쪽에 위치했다 하여 지시라 불리며, 한국사에서 1910년대의 독립운동을 배울 때 국외 독립운동 기지 중 하나로 언급되는 밀산부 한흥동(密山府 韓興洞)의 밀산부가 바로 현재 이 도시 관내의 미산시(密山市)이다. 한흥동(韓興洞)은 현재 지시시 미산시 바이위완진(白渔湾镇) 관내 펑미산(蜂蜜山)에 있었다. 조선족 3만 명이 거주하며, 7월에도 평균 기온이 17도에 불과할 정도로 추운 기후를 지닌다. 1936년에 세워진 지시역은 자무쓰-무단장 철도의 중간 기착지이다.[3][4][5]
자연환경[편집]
지시시의 지형은 산지, 구릉, 평원을 중심으로 하며, 지형적 특징은 "사산일수일초사분전"이다. 저산 구릉은 풍화 및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지형으로, 북부, 서부, 남부의 외곽 산지에 분포한다. 산체는 주로 마산군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세가 가파르고 산등성이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아 대부분 닭발 모양을 띤다. 해발 고도는 400~600m이며, 최고봉의 해발 고도는 880.6m이다. 저산 구릉 지역에는 대규모의 암갈색 토양이 분포하며, 주로 임업용지로 활용되며 산림 부업 및 목축업 생산에 적합하다.
산 앞 구릉지는 침식 및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지형으로, 시 경내의 삼면 산지가 동북쪽으로 기울어진 말발굽 모양의 분지를 형성한다. 중앙에는 풍화 저항력이 강한 현무암이 분포하여 대지나 비교적 높은 산봉우리를 형성한다. 사암 및 진흙암으로 이루어진 계서군 지층이 분포하며, 낮고 완만한 산 앞 구릉지를 이룬다. 해발 고도는 일반적으로 300~400m이며, 토양은 대부분 회백색 토양으로 계서시의 주요 곡물, 콩, 감자 생산지이다.
하곡 평원은 하천 퇴적 지형으로, 목릉강, 모우뉴강, 적도강, 황니강, 반절강, 하다강, 과회강, 배덕리강, 탑두호강, 송아찰강, 칠호림강, 아부심강 주변에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 하천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은 대부분 하천 퇴적토, 초지토, 벼재배토로 구성된다. 해발 고도는 180~300m로 지세가 낮고 평탄하며, 토질이 비옥하고 수원이 풍부해 계서시의 주요 채소 및 벼 재배지이자 어업 생산 기지이다.
강호 평원은 강과 호수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저지 평원으로, 우수리강 연안과 흥개호 주변에 분포하며, 해발 고도는 50~80m이다. 토양은 대부분 실트질 점토, 늪지토, 초지토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시는 한랭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3.7℃, 평균 강수량은 537.5mm, 연간 일조량은 2709시간, 평균 무상 기간은 147일이다. 사계절 기후 변화가 뚜렷하며, 봄철에는 가뭄과 강풍이 빈번하고, 여름철에는 짧은 더위와 집중 강수, 가을철에는 한랭전선으로 인해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며 종종 동해가 발생한다. 겨울철에는 춥고 길며 건조하다.
지시시의 연평균 기온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10℃의 활동 적산온도는 2450℃~2720℃에 이른다. 무상 기간은 약 140일로, 대부분 지역에서 첫 서리는 9월 하순에, 마지막 서리는 5월 상순에 발생한다. 여름철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연평균 상대습도는 약 65%이다.
지시시는 산림 면적이 70.69만 헥타르에 달하며, 살아 있는 나무의 총 축적량은 3627만 입방미터(삼림공사와 농간 제외)이다. 삼림 수종은 20여 종에 이르며, 산림 피복율은 29.8%에 달한다. 고등 식물은 691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국가 2급 보호식물은 9종(흥개송, 흥안노송, 야대두 등)이다.
지시시의 숲 아래에는 야생 식물 종류가 다양하고 분포가 광범위하며, 자원이 풍부하다. 산림에서 얻을 수 있는 산물은 300여 종이 넘으며, 야생 중약재는 231종(식물 약재 206종, 동물 약재 24종, 광물 약재 1종)이 확인되었다. 현재 국가 약전에 등재되어 개발 및 이용된 약재는 100여 종에 달하며, 아직 개발되지 않은 약재도 100여 종 이상이다. 주요 재배 품목으로는 자소, 가시오갈피, 오미자, 황금, 적작약, 백선피, 창출, 달맞이꽃, 길경, 민들레 등이 포함된다.
지시시에는 척추동물이 360종 분포하며, 포유류 41종, 어류 68종, 조류 238종이 포함된다. 주요 포유류로는 동북말사슴(국가 2급 보호 동물), 노루(성급 1급 보호 동물), 담비(국가 1급 보호 동물), 수달(국가 2급 보호 동물), 족제비(성급 중점 보호 동물), 반달가슴곰(국가 2급 보호 동물), 스라소니(국가 2급 보호 동물) 등이 있다.
지역 내 조류는 대부분 철새이며, 텃새는 전체 조류의 약 15%에 불과하다. 주요 조류로는 단정학, 백두학, 흰꼬리수리, 금조(모두 국가 1급 보호 조류)와 동방백로, 귀짧은올빼미, 흰꼬리솔개, 참매, 붉은발매, 흰머리학, 붉은귀소쩍새, 노랑부리저어새, 흰이마기러기, 원앙, 야생꿩, 들꿩 등 14종(국가 2급 보호 조류), 회색기러기(지역 중점 보호 조류) 1만 마리, 청둥오리, 노랑쇠솔새, 흰쇠솔새, 논솔새, 노랑가슴솔새, 회색머리솔새, 갈대솔새, 큰개개비, 꿩도요, 뿔논병아리, 참새 등 11종의 일반 조류가 있다.
지시시 내에서 확인된 광물 자원은 25종이며, 이 중 11종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주요 자원으로는 석탄, 흑연, 시멘트용 대리암, 규선석, 칼리장석 등이 있다. 석탄은 확인된 매장량이 65.78억 톤(미개발 26.11억 톤)에 달하며, 전국적으로 중요한 석탄 생산 기지로 자리 잡고 있다. 흑연은 누적 확인된 매장량이 9.76억 톤으로, 평균 품위는 7.67%에 이르며, 이는 헤이룽장성에서 확인된 매장량의 약 32.6%를 차지하고 있다. 확인된 매장량은 세계적으로 상위권에 속하며, 모두 결정질 흑연으로 구성되어 있어 세계적인 고품질 흑연 주요 생산지이다. 규선석은 확인된 광석량이 3864.8만 톤, 칼리장석은 1.76억 톤, 대리암은 5.95억 톤의 매장량이 확인되었다.
역사[편집]
고대에는 숙신, 읍루, 물길, 말갈인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지역은 고구려의 영토이기도 하였다. 이후 발해가 이 지역을 통치하였으며 금나라는 이 곳을 호리개로(胡里改路) 소속으로, 원나라는 이 곳에 요양행성(辽阳行省) 소속으로 두었다. 청나라 시기에는 지린성 관할이었으며 1906년 지시시에 미산부(蜜山府)가 들어서면서 지시 역사상 첫 번째 정착고을이 생겨난다. 이후 지시는 둥베이의 석탄산지로 이름을 날렸으며, 1914년 위안다장(袁大章)이 세운 미시탄광공사(密西煤矿公司)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탄광개발이 시작되어 만주국 시기에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南満州鉄道株式会社)가 자회사인 만주탄광주식회사(満洲炭礦株式会社)를 건립하여 지속적으로 석탄 채굴을 하였다.
만주국 건국 이후 지시는 둥안성(东安省) 소속이 되어 1935년에 명칭이 현 명칭인 지시로 바뀌는데, 이는 지관산(鸡冠山)의 서쪽에 있다는 뜻에서 명명된 과거 이름인 계서역(鸡西驿)에서 착안되었다.
중화민국이 만주를 탈환한 이후 지시는 쑹장성(松江省) 소속으로 변경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서 쑹장성이 폐지됨과 동시에 헤이룽장성 소속 도시로 편입된다. 1941년에 미산(密山)현에서 분리되어 지닝현(鷄寧縣)이 설치되었으며, 1948년에 지시(鷄西) 현으로 개칭, 1956년에 시(市)로 승격되었다.
산업[편집]
[[중국 전체에서도 유수의 석탄 산지로, 만주국은 이 지시에서 나오는 석탄으로 경제를 유지하였을 정도로 엄청난 양이 생산되었다. 현재도 연 생산량이 3,000만 톤이나 되어서 지시의 중심 사업 중 하나이지만 사실 지시 GDP의 40%는 농업이고 석탄 및 관련 공업은 22%밖에 되지 않는다. 동시에 석탄산업은 서서히 사장세인지라 생산량 또한 치타이허에 밀렸다. 또한 최근들어 중국 도시들이 다 그렇지만 부동산 투자 열풍이 엄청나게 부는데, 지시는 기반경제가 농업과 석탄이었던, 즉 원자재가 중심 경제였던 도시였기에 이 부동산투자가 지시 경제를 휘어잡을 수준으로 중요해진 상태이다.
교통[편집]
관내에 지시 싱카이후 공항(鸡西兴凯湖机场)이 있지만 국내선 전용이라 국제선은 없으며, 그나마도 대도시들 몇몇 곳만 연결되어있다. 철도는 베이징과 하얼빈 등 주요 도시에 직통으로 연결된다. 또한 목가(牡佳) 고속철도가 전면 개통되었고, 건계 고속도로와 학대 고속도로가 전 지역을 관통한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지시시〉, 《위키백과》
- 〈지시시〉,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지시시〉,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지시〉, 《네이버 지식백과》
- 〈鸡西市〉, 《百度百科》</ref>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