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치타이허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치타이허시(중국어: 七台河市 qī tái hé shì)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치타이허시의 면적은 6,221km²이며 인구는 689,611명(2020)이다. 남쪽으로 지시시(鸡西市, 계서시), 무단장시(牡丹江市, 목단강시), 북쪽으로 자무쓰시(佳木斯市, 가목사시), 허강시(鹤岗市, 학강시), 동쪽으로 솽야산시(双鸭山市, 쌍압산시), 서쪽으로 하얼빈시(哈尔滨市)와 이웃하고 있다. 치타이허강(江)이 시내로 흐르기 때문에 치타이허시라고 부른다.

시 인민 정부는 타오산구(桃山区, 도산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타오산구(桃山区, 도산구), 신싱구(新兴区, 신흥구), 체쯔허구(茄子河区, 가자하구)의 3개 시할구(市辖区)와 보리현(勃利县, 발리현)의 1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치타이허시는 서대권(西大圈)과 석룡산(石龙山) 두 개의 국가급 삼림공원과 도산호(桃山湖) 국가습지공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칠대하시는 중국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대표적인 도시로, 장제(张杰), 양양(杨扬), 왕멍(王濛), 판커신(范可新) 등 10명의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챔피언을 배출하며 "한지 북약(寒地北药)", "연탄의 도시", "중국 동계올림픽 챔피언의 고향", "중국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고향", "동계올림픽 챔피언의 요람·쇼트트랙 성지"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인구가 급감하는 지역으로, 2010년 92만 명이었던 인구가 10년 만인 2020년에는 68만 명으로 떨어졌다. 이는 중국의 도시화와 동시에 만주지역의 심각한 저출산에 의한 현상으로, 여타 대도시를 제외한 만주 도시들이 모두 겪는 문제다. 그저 이 도시가 좀 심각할 뿐.

시가지는 타오산 저수지 남쪽, 치타이허 강을 끼고 동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자무쓰시, 무단장시 등의 도시와 철도로 이어져 있다. 시가지 주변에는 저수지가 여러 개 위치하여 물이 풍부한 도시로 불린다. 2013년 충청북도 증평군과 자매결연을 맺었다.[3][4][5]

자연환경[편집]

치타이허시는 저산구릉 지역으로, 지형은 남동쪽이 높고 북서쪽이 낮으며, 동남에서 서북 방향으로 점차 기울어진 좁고 긴 형태를 이룬다. 지형 변화에 따라 수열 재분배와 토양 분포를 기준으로 저산구릉지, 구릉완강지, 하천변지, 산간곡지 등 지형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산간곡지는 구릉완강지 사이에 위치하며, 지형이 평탄하고 넓으며 띠 또는 가지 모양으로 분포한다.

치타이허시는 중위도 지역에 위치하며, 기후는 한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춥고 더운 시기가 뚜렷하며, 강수량이 풍부하고, 일조량이 많으며, 무상기가 짧고, 사계절이 분명한 기후적 특징을 가진다. 칠대하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2.4~3.9℃이다. 동부의 저지대 산악 지역은 서부의 구릉완강지보다 기온이 낮다. 연간 ≥10℃의 활동적 누적온도는 평균 2408.9℃이며, 동부 지역의 ≥10℃의 유효 활동 누적온도는 평균 1180.9℃이다. 칠대하시의 지형은 좁고 길며, 지형 및 지모가 복잡하고, 기후 조건이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열량 지표인 ≥10℃ 누적온도와 수분 지표인 건조도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시 전역은 저산 온량 습윤 서리 기후구와 구릉완강 온화 반습윤 기후구로 나뉜다.

치타이허시의 주요 하천은 워컨허(倭肯河)와 나오리허(挠力河) 두 수계로 구성된다. 워컨허 수계는 칠대하시의 남서부 지역을 이루며, 나오리허 수계는 칠대하시의 북동부 지역을 이룬다. 워컨허 수계에는 주요 하천인 워컨허 외에 지류로 칠대하(七台河), 와금패하(挖金鳖河), 만보하(万宝河), 가지하(茄子河), 중심하(中心河), 룡호하(龙湖河) 등이 있으며, 나오리허 수계에는 주요 하천인 나오리허 외에 지류로 대니추하(大泥鳅河), 소니추하(小泥鳅河), 난봉하(岚峰河) 등이 있다.

치타이허시(七台河市) 시구(市区)의 연평균 강수량은 9억 6800만 입방미터이며, 연평균 유출 심도는 122.8mm이다. 평균 지표수 자원 총량은 2억 2600만 입방미터, 지하수 자원 총량은 7100만 입방미터로, 이 중 중복되는 수량 5900만 입방미터를 제외하면 연평균 수자원 총량은 2억 3800만 입방미터에 불과하다. 1인당 수자원량은 466입방미터로, 이는 성(省) 평균의 1/4에도 못 미치고, 전국 평균의 1/5에 불과하다.

치타이허시의 총 면적은 6221제곱킬로미터로, 이 중 경작지 면적은 1948.7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31.3%를 차지한다. 임야 면적은 3285.4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52.8%, 목초지는 51.77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0.8%, 과수원지는 17.6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0.3%를 차지한다. 주민 및 공장 광산 지역 면적은 221.3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3.5%이며, 기타 농경지는 82.9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1.4%, 교통 운송용지는 25.1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0.4%, 수리 시설 용지는 43.0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0.7%, 기타 용지는 89.9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1.4%를 차지한다. 미이용지는 455.6제곱킬로미터로 전체 면적의 7.4%를 차지한다.

치타이허시 시구의 식생은 '장백산 식물 아구(长白山植物亚区)'에 속한다. 교목(喬木) 수종으로는 참나무, 흑자작나무, 낙엽송, 구주소나무, 홍송, 황보련, 물푸레나무, 호두나무, 느릅나무, 피나무, 산버들, 버드나무 등 20여 종이 있다. 천연림은 주로 참나무와 흑자작나무가 주를 이룬다. 산림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며, 고사리 연간 수매량은 약 200톤에 이른다. 약용 식물로는 당삼, 길경, 용담초, 백작약, 백합, 지렁이초, 황기, 가시오갈피, 오미자, 황백, 백선피, 방풍, 시호 등 300여 종이 있다. 또한 목이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느타리버섯, 느티버섯, 잣버섯 등 10여 종의 균류가 있으며, 이 중 목이버섯의 매장량은 약 30만 근, 연간 채취량은 약 10만 근에 이른다. 야생 식물로는 해당화, 복숭아나무 등 향기로운 식물 10여 종이 있다.

치타이허시 내에는 동물 종류도 다양하다. 포유류로는 멧돼지, 흑곰, 노루, 늑대, 여우, 산토끼, 다람쥐, 고슴도치, 너구리, 산고양이, 사슴 등이 있으며, 담비, 수달 등 희귀 동물과 말사슴, 두꺼비 같은 약용 동물도 있다. 조류로는 참새, 제비, 까마귀, 황새, 되새, 황금새, 딱따구리, 올빼미, 뻐꾸기, 야생 닭 등이 있다. 곤충으로는 꿀벌, 나비, 잠자리, 귀뚜라미, 매미, 누에, 참나무누에, 여치 등이 서식한다.

역사[편집]

첫 행정구역은 1948년에 설치된 치타이허 구(七台河区)이고 1951년에는 제12구로 개칭되었다. 1956년 3월에 구제가 폐지되면서 치타이허, 쳬쯔허, 중신허의 3향으로 분할되었다. 인민공사화가 추진되면서 1958년 9월에는 치타이허 인민공사, 12월에는 치타이허 광구인민공사가 연달아 설치되었고 1960년 3월의 치타이허 진 설치와 함께 치타이허 진 인민공사로 칭해지게 되었다.

치타이허에서 생산되는 석탄을 중시한 중국 정부는 1965년 2월 2일에 치타이허 특구를 설치해 치타이허 탄광에서 정부와 기업의 일체화를 추진하였다. 같은 해 5월 20일에 치타이허 특구 인민위원회가 정식으로 성립하면서 치타이허 진은 폐지되었다.

1970년 4월 1일, 헤이룽장성 혁명위원회는 치타이허 특구의 폐지와 현급시인 치타이허 시의 설치를 결정했고 1983년 10월 8일에 지급시로 승격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닝현(鷄寧縣)이 설치되었으며, 1948년에 지시(鷄西) 현으로 개칭, 1956년에 시(市)로 승격되었다.

산업[편집]

석탄 채굴은 중요한 산업이다. 치타이허는 헤이룽장성에서 석탄을 재활용하는 유일한 시범 도시이다. 헤이룽장의 다른 탄광 도시로 허강이 있다. 치타이허의 탄광은 1958년에 개발을 시작하였다. 석탄 채굴은 중요한 산업이다. 치타이허는 헤이룽장성에서 석탄을 재활용하는 유일한 시범 도시이다. 헤이룽장의 다른 탄광 도시로 허강이 있다. 치타이허의 탄광은 1958년에 개발을 시작하였다.

치타이허는 현재 둥베이 최대의 석탄산지로 오른 상태이며, 생산량의 3분의 1이 점결탄이라고 한다. 그 외에는 코크스 제련산업도 크게 성장중이며, 매년 4~50%에 달하는 폭으로 성장중에 있다. 코크스 제련산업을 제외한 화학공업도 현재 성장중에 있어서 석탄 및 관련 공업이 치타이허를 먹여살리는 중요한 산업으로 존재한다.

교통[편집]

치타이허시에는 목가(牡佳) 고속철도, 목가 철도, 학대(鹤大) 고속도로, 의칠(依七) 고속도로, 요개(饶盖) 도로가 전역을 관통한다. 성도와 주변 시·현과 모두 고급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북 동부 14개 시(주)와 지역 전략 협력 도시를 이루고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치타이허시〉, 《위키백과》
  2. 치타이허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치타이허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치타이허〉, 《네이버 지식백과》
  5. 七台河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치타이허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