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이 보기) |
(→지도)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태평양 위치 지도}} | ||
[[파일:북태평양 지도.jpg|썸네일|300픽셀|'''북태평양''']] | [[파일:북태평양 지도.jpg|썸네일|300픽셀|'''북태평양''']] | ||
7번째 줄: | 8번째 줄: | ||
==지리== | ==지리== | ||
− | 북태평양의 섬은 | + | 북태평양의 섬은 [[웨이크섬]], [[미드웨이제도]], [[하와이제도]], [[북마리아나제도]], [[레이야히헤이도 제도]], [[과달루페섬]], [[알류샨열도]], [[일본열도]], [[오가사와라제도]], [[오키나와제도]] 등이 속해 있고, 맞닿은 [[국가]]는 [[마셜제도]], [[미크로네시아연방]], [[팔라우]], [[미국]],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캐나다]], [[러시아]], [[일본]], [[북한]], [[한국]], [[중국]], [[대만]], [[필리핀]] 등이 있다.<ref>〈[https://namu.wiki/w/%EB%B6%81%ED%83%9C%ED%8F%89%EC%96%91 북태평양]〉, 《나무위키》</ref> |
− | == | + | ==북태평양기단== |
− | + | [[북태평양기단]](北太平洋氣團)은 해양성 열대 [[기단]]으로, 태평양 아열대기단 서부에 해당한다. 주로 따뜻한 계절에 발달한다. 이 기단은 고기압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 영어: North Pacific High)으로도 불린다. 이 기단은 기온이 높고 하층이 습하며 상공이 건조하기에 고온 다습하다. 겨울 동안 북태평양 지역은 계절풍 영향을 받기에 열대 기단 생성에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겨울엔 주로 하와이 부근에 머무른다. 봄이나 가을에는 저기압 영향을 받는 온난 지역에 이 기단이 자리잡는다. 여름이 가까워지면 점차 서쪽으로 영역이 커져 6월 말경 [[동아시아]] 남쪽 바다까지 그 세력이 커져간다. 한여름에 이르러 영역이 가장 커져 한반도 및 동아시아는 거의 이 기단에 덮힌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과정에서 이 기단 가장자리로 장마가 형성되며, 태풍 경로도 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6%81%ED%83%9C%ED%8F%89%EC%96%91_%EA%B8%B0%EB%8B%A8 북태평양 기단]〉, 《위키백과》</ref> | |
− | |||
− | |||
− | ==태평양== | + | ===북태평양해류=== |
+ | [[북태평양해류]](North Pacific current)는 [[태평양]]의 주요 해류로 편서풍대의 난류로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폭이 넓고 유속은 느리며 대체로 북위 30도에서 40도, 동경 160도에서 서경 150도의 범위에 존재한다. 해류 안에 몇 갈래의 흐름으로 갈라지고 크고 작은 와류가 있어서, 흐름의 형태가 복잡하다. 이 해류계에서는 몇 개의 분파가 남서로 흘러나오므로 서경 150도 근처의 유량은 쿠로시오의 유량보다 작다. 북태평양 해류는 미국 대륙 연안에 닿지 않고 캘리포니아 해류가 흐르는 앞바다에서 남하한다.<ref>〈[https://www.scienceall.com/%EB%B6%81%ED%83%9C%ED%8F%89%EC%96%91-%ED%95%B4%EB%A5%98north-pacific-current/ 북태평양 해류(North Pacific current )]〉, 《사이언스올》</ref> | ||
+ | |||
+ | == 태평양 == | ||
[[태평양]](太平洋, 영어: Pacific Ocean)은 [[오대양]]의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큰 [[대양]]이다. [[지구]] 표면의 1/3을 차지하며, 표면적은 1억 6525만km²이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대륙을 합친 것보다 넓고 세계 바다 면적의 반을 차지한다. 북극권의 베링해부터 [[남극]] 대륙의 로스해까지 뻗어 있으며, [[인도네시아]]부터 [[콜롬비아]]까지 동서로 뻗어 있다. 태평양의 서쪽 극은 믈라카 해협이다.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을 북태평양, 남쪽을 남태평양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1513년 9월 25일에 스페인 탐험가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가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태평양을 발견했다. 태평양이라는 이름은 마젤란 해협을 통과한 후 1520년 11월 28일에 태평양 횡단을 위해 항해를 재개하면서 마젤란이 붙였다. | [[태평양]](太平洋, 영어: Pacific Ocean)은 [[오대양]]의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큰 [[대양]]이다. [[지구]] 표면의 1/3을 차지하며, 표면적은 1억 6525만km²이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대륙을 합친 것보다 넓고 세계 바다 면적의 반을 차지한다. 북극권의 베링해부터 [[남극]] 대륙의 로스해까지 뻗어 있으며, [[인도네시아]]부터 [[콜롬비아]]까지 동서로 뻗어 있다. 태평양의 서쪽 극은 믈라카 해협이다.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을 북태평양, 남쪽을 남태평양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1513년 9월 25일에 스페인 탐험가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가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태평양을 발견했다. 태평양이라는 이름은 마젤란 해협을 통과한 후 1520년 11월 28일에 태평양 횡단을 위해 항해를 재개하면서 마젤란이 붙였다. | ||
71번째 줄: | 73번째 줄: | ||
== 지도 == | == 지도 == | ||
+ | {{북태평양 국가 지도|800}} | ||
{{지도|북태평양}} | {{지도|북태평양}} | ||
+ | {{다단2 | ||
+ | |{{베링해 국가 지도}} | ||
+ | |{{태평양 국가 지도}} | ||
+ | }} | ||
+ | {{다단2 | ||
+ | |{{오호츠크해 행정 지도}} | ||
+ | |{{알래스카만 행정 지도}} | ||
+ | }} | ||
+ | {{다단2 | ||
+ | |{{알류샨열도 행정 지도}} | ||
+ | |{{쿠릴열도 행정 지도}} | ||
+ | }} | ||
==동영상== | ==동영상== | ||
96번째 줄: | 111번째 줄: | ||
* [[아시아]] | * [[아시아]] | ||
* [[북미]] | * [[북미]] | ||
− | * [[ | + | * [[동중국해]] |
* [[남중국해]] | * [[남중국해]] | ||
* [[오호츠크해]] | * [[오호츠크해]] | ||
107번째 줄: | 122번째 줄: | ||
* [[대양]] | * [[대양]] | ||
− | {{ | + | {{세계의 바다|검토 필요}} |
2023년 10월 1일 (일) 15:30 기준 최신판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북태평양(北太平洋, North Pacific Ocean)은 기본적으로 태평양을 적도 기준으로 나눈 북쪽 바다를 말한다. 적도에 걸쳐있는 일부 섬들(군도)은 적도 북쪽에 있지만 북태평양에 포함하지 않고 남태평양에 포함하고 있다. 서쪽은 아시아 대륙, 동쪽은 북미 대륙 사이에 있으며 평균 깊이 4300m. 가장 깊은 곳은 비티아즈 해연(海淵)으로 1만 1034m이다.[1]
목차
개요[편집]
북태평양은 쉽게 말해 적도 이북의 태평양을 말한다. 서쪽은 동중국해, 남중국해로, 북쪽은 오호츠크해, 베링해로, 동쪽은 파나마 운하를 거쳐 북대서양으로 통한다. 서쪽은 필리핀 군도, 일본 열도, 쿠릴 열도, 북쪽은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반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서쪽은 오가사와라 제도, 마리아나 제도, 캐롤라인 제도, 마셜 제도 등과 무수한 화산섬, 산호초가 있으며 중앙에는 하와이제도가 있다. 서쪽은 일본 열도에 면한 쿠릴, 캄차카, 일본, 필리핀, 마리아나 등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海溝)가 있다. 해류는 서류하는 북적도 해류, 동류하는 적도 반류(反流), 북동류하는 일본 해류 흑조(黑潮) 등 난류가 있으며 남서류하는 쿠릴 해류, 남동류하는 캘리포니아 해류 등 한류가 있다. 남서 해역에는 7~10월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는 일이 많아 일본, 중국, 한반도에 태풍을 동반한다. 북태평양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어장이다. 한국의 여름 날씨의 영향을 주는 북태평양 기단이 여기서 발생한다.[2]
지리[편집]
북태평양의 섬은 웨이크섬, 미드웨이제도, 하와이제도, 북마리아나제도, 레이야히헤이도 제도, 과달루페섬, 알류샨열도, 일본열도, 오가사와라제도, 오키나와제도 등이 속해 있고, 맞닿은 국가는 마셜제도, 미크로네시아연방, 팔라우, 미국,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캐나다, 러시아, 일본, 북한, 한국, 중국, 대만, 필리핀 등이 있다.[3]
북태평양기단[편집]
북태평양기단(北太平洋氣團)은 해양성 열대 기단으로, 태평양 아열대기단 서부에 해당한다. 주로 따뜻한 계절에 발달한다. 이 기단은 고기압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 영어: North Pacific High)으로도 불린다. 이 기단은 기온이 높고 하층이 습하며 상공이 건조하기에 고온 다습하다. 겨울 동안 북태평양 지역은 계절풍 영향을 받기에 열대 기단 생성에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겨울엔 주로 하와이 부근에 머무른다. 봄이나 가을에는 저기압 영향을 받는 온난 지역에 이 기단이 자리잡는다. 여름이 가까워지면 점차 서쪽으로 영역이 커져 6월 말경 동아시아 남쪽 바다까지 그 세력이 커져간다. 한여름에 이르러 영역이 가장 커져 한반도 및 동아시아는 거의 이 기단에 덮힌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과정에서 이 기단 가장자리로 장마가 형성되며, 태풍 경로도 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4]
북태평양해류[편집]
북태평양해류(North Pacific current)는 태평양의 주요 해류로 편서풍대의 난류로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폭이 넓고 유속은 느리며 대체로 북위 30도에서 40도, 동경 160도에서 서경 150도의 범위에 존재한다. 해류 안에 몇 갈래의 흐름으로 갈라지고 크고 작은 와류가 있어서, 흐름의 형태가 복잡하다. 이 해류계에서는 몇 개의 분파가 남서로 흘러나오므로 서경 150도 근처의 유량은 쿠로시오의 유량보다 작다. 북태평양 해류는 미국 대륙 연안에 닿지 않고 캘리포니아 해류가 흐르는 앞바다에서 남하한다.[5]
태평양[편집]
태평양(太平洋, 영어: Pacific Ocean)은 오대양의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큰 대양이다. 지구 표면의 1/3을 차지하며, 표면적은 1억 6525만km²이다. 이는 지구상의 모든 대륙을 합친 것보다 넓고 세계 바다 면적의 반을 차지한다. 북극권의 베링해부터 남극 대륙의 로스해까지 뻗어 있으며, 인도네시아부터 콜롬비아까지 동서로 뻗어 있다. 태평양의 서쪽 극은 믈라카 해협이다.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을 북태평양, 남쪽을 남태평양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1513년 9월 25일에 스페인 탐험가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가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태평양을 발견했다. 태평양이라는 이름은 마젤란 해협을 통과한 후 1520년 11월 28일에 태평양 횡단을 위해 항해를 재개하면서 마젤란이 붙였다.
최대 수심은 11,034m, 평균 수심은 4,188m로 지구상 모든 해양을 통틀어 단연 1위이다. 주요 해구들 중 가장 깊은 해구들이 태평양에 있는데, 마리아나 해구(11,034m), 통가 해구(10,800m), 케르마데크 해구(10,047m), 필리핀 해구(10,057m) 등이다. 주로 적도를 기준으로 북태평양과 남태평양으로 나뉘며, 북태평양은 베링 해협을 통해 북극해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필리핀해, 동중국해, 남중국해, 동해, 오호츠크해 등과 연결되며, 동쪽으로는 그냥 아메리카 대륙이다. 북태평양은 남태평양에 비하면 섬이 적은 편이지만 필리핀 제도와 일본 열도를 포괄한다고 하면 그럭저럭 많은 편이다. 한복판에 하와이 제도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지금도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이는 옆나라인 일본에서 잦은 지진과 화산 폭발 등으로 잘 알 수 있다.
경계[편집]
북쪽 경계[편집]
북쪽 경계선은 북극해와 맞닿는 구역만을 대상으로 한다. 나머지 육지로 가로막힌 부분은 각각 동쪽과 서쪽 경계선에 포함된다.
- 러시아 시베리아 동쪽 끝 추코스키 반도(Poluostrov Chukotskiy) 66°22’N 170°35'W 지점에서 동편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미국 알래스카 슈워드 반도의 66°11’N 166°14'W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북쪽 경계선 주요 지점 : 66°22’N 170°35'W - 66°11’N 166°14'W
- 북쪽 경계선과 접한 바다 : 북극해
동쪽 경계[편집]
동쪽 경계는 남북 아메리카 대륙의 서해안 구간에 해당하다.
- 미국 알래스카 슈워드 반도의 66°11’N 166°14'W 지점에서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해안과 남아메리카 대륙의 서쪽 해안선을 따라 적도까지 남하한다. 해안선을 따라 남하해서 멈추는 지점은 적도와 해안선이 만나는 남아메리카 에콰도르 서쪽 해안선의 0°00'N 80°08'W 지점이다.
- 동쪽 경계선 주요 지점 : 66°11’N 166°14'W - 0°00'N 80°08'W
- 동쪽 경계선과 접한 바다 : 없음
남쪽 경계[편집]
남쪽 경계는 기본적으로 적도를 경계선으로 하고있다. 다만 적도에 걸쳐있는 일부 소규모 군도의 경우 적도 북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태평양에 포함하지 않고 남태평양에 포함하고 있다.
- 남아미레카 에콰도르 서쪽 해안선 0°00'N 80°08'W 지점에서 적도를 따라 태평양을 가로질러 인도네시아 와이지오 섬(Waigeo) 북단 와리아이 곶(Tanjung Wariai) 0°01’S 131°03'E 지점까지를 연결, 단 키리바시 제도(Kiribati Islands)와 갈라파고스 제도(Galapagos Islands)는 적도 북쪽에 있으나 남태평양에 포함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적도와 와리아이 곶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데 일단 적도라고 서술하고 있다.
- 남쪽 경계선 주요 지점 : 적도(0°00'N 80°08'W - 0°01’S 131°03'E)
- 남쪽 경계선과 접한 바다 : 남태평양
서쪽 경계[편집]
- 중국 광둥성 한장(Han Jiang) 하구 창산 삼각주(Changshan Jiao) 북쪽 23°28'N 116°52'E 지점에서 동편에 있는 난아오다오(Nanao Dao) 서쪽 23°28'N 116°52'E 지점까지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
- 난아오다오 서쪽 지점에서 섬의 남쪽 해안선을 따라 난아오다오 남동쪽 돌출부인 23°24’N 117°07’E 지점까지 이동.
- 난아오다오 남동쪽 돌출부에서 남동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대만 최남단 어롼비(鵝鑾鼻/Eluanbi) 21°54’N 120°52’E 지점까지 이동.
- 대만 최남단 어롼비에서 남남동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필리핀 발린탕 섬(Balintang Island) 동쪽 끝 19°57’N 122°09’E 지점까지를 직선으로 연결.
- 필리핀 발린탕 섬 동쪽 끝에서 남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필리핀 루손 섬(Luzon) 북동쪽 끝단의 엥가뇨 곶(Cape Engaño) 18°35’N 122°08’E 지점까지를 직선으로 연결.
- 필리핀 루손 섬 북동쪽 끝단의 엥가뇨 곶에서 루손섬 북쪽과 동쪽 해안선을 따라 루손의 푸에고 포인트(Fuego Point) 14°08’N 120°35’E 지점까지 이동.
- 루손의 푸에고 포인트에서 남서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루방 섬(Lubang Islnad) 북서쪽 끝단 팔라파그 포인트(Palapag Point) 13°51’N 120°05’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루방 섬 북서쪽 끝단 팔라파그 포인트에서 남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민도로 섬(Mindoro) 북서쪽 끝단 칼라비트 곶(Cape Calavite) 13°27’N 120°18’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민도로 섬 북서쪽 끝단 칼라비트 곶에서 민도르섬 동쪽 해안선을 따라 민도 섬 남쪽 끝단 부룬칸 포인트(Buruncan Point) 12°13’N 121°15’E 지점까지 이동.
- 민도르 섬 남쪽 끝단 부룬칸 포인트에서 남동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세미라라 섬(Semirara Island)의 북서쪽 끝단 툰가오 포인트(Tungao Point) 12°07’N 121°21’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세미라라 섬의 북서쪽 끝단 툰가오 포인트에서 세미라라 섬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세미라라 섬 남동쪽 파살 포인트(Pasal Point) 12°02’N 121°25'E 지점까지 이동.
- 세미라라 섬 남동쪽 파살 포인트에서 동남동쪽으로 바다를 가로질러 시바톤 섬(Sibaton) 북쪽 끝단 틱모드 포인트(Ticmod Point) 12°00’N 121°34'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시바톤 섬 북쪽 끝단 틱모드 포인트에서 바다를 동남동쪽으로 가로질러 파나이 섬(Panay) 북서쪽 끝단 나소그 포인트(Nasog Point) 11°54’N 121°53'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파나이 섬 북서쪽 끝단 나소그 포인트에서 파나이 섬 북쪽과 동쪽 해안선을 따라 파나이 섬 남동쪽 끝단 타박 포인트(Tabac Point) 11°10’N 123°06'E 지점까지 이동.
- 파나이 섬 남동쪽 끝단 타박 포인트에서 남쪽 맞은편에 있는 타구반한 섬(Tagubanhan Island)의 북쪽 끝단 동곤 포인트(Dongon Point) 11°09’N 123°07'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타구반한 섬의 북쪽 끝단 동곤 포인트에서 시계방향으로 해안선을 따라 타구반한 섬(Tagubanhan Island) 남쪽 끝단 11°06’N 123°07'E 지점까지 이동.
- 타구만한 섬 남쪽 끝단에서 바다를 남동쪽으로 가로질러 네그로스 섬(Negros) 북단 일라콘 포인트(Ilacaon Point) 11°00’N 123°12'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네그로스 섬 북단 일라콘 포인트에서 섬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네그로스 섬 남단 시아톤 포인트(Siaton Point) 9°03’N 123°01'E 지점으로 이동.
- 네그로스 섬 남단 시아톤 포인트에서 바다를 남동쪽으로 가로질러 민다나오 섬(Mindanao) 북서쪽 끝단 타골로 포인트(Tagolo Point) 8°44’N 123°23'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민다나오 섬 북서쪽 끝단 타골로 포인트에서 섬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민다나오 섬 남단 티나카 포인트(Tinaca Point) 5°34’N 125°20'E 지점까지 이동.
- 민다나오 섬 남단 티나카 포인트에서 바다를 남쪽으로 가로질러 발루트 섬(Balut Island) 서쪽 끝단 5°24’N 125°20'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발루트 섬 서쪽 끝단에서 바다를 남남동으로 가로질러 인도네시아 마로레 섬(Pulau Marore) 북단 4°45’N 125°29'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인도네시아 마로레 섬 북단에서 섬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마로레 섬(Pulau Marore) 남단 4°44’N 125°29'E 지점까지 이동.
- 마로레 섬 남단에서 바다를 남쪽으로 가로질러 상이헤 섬(Pulau Sangihe) 북단 텐다발루 곶(Tanjung Tendabalu) 3°45’N 125°27'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상이헤 섬 북단 텐다발루 곶에서 섬의 동쪽 해안선을 따라 상이헤 섬(Pulau Sangihe) 남쪽 푼구와투 곶(Tanjung Punguwatu) 3°21’N 125°37'E 지점까지 이동.
- 상이헤 섬 남쪽 푼구와투 곶에서 바다를 북동쪽으로 가로질러 탈라우드 제도(Pulau Pulau Talaud) 카부루앙 섬(Pulau Kaburuang) 남단 팔로 곶(Tanjung Pallo) 3°44’N 126°50'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카부루앙 섬 남단 팔로 곶에서 탈라우드 제도(Pulau Pulau Talaud)를 구성하고 있는 카부루앙 섬, 샐레바부(Salebabu) 섬, 카라켈롱(Karakelong) 섬의 서쪽 해안선을 따라 북상하여 카라켈롱 섬 북동쪽 해안의 안데루오 곶(Tanjung Anderuwo) 4°29’N 126°52'E 지점까지 이동.
- 탈라우드 제도 카라켈롱 섬 북동쪽 해안의 안데루오 곶에서 바다를 남동쪽으로 가로질러 모로타이 섬(Pulau Morotai) 북단 소피 곶(Tanjung Sopi) 2°39’N 128°34'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모로타이 섬 북단 소피 곶에서 섬의 해안선을 시계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여 모로타이 섬 동쪽 해안 고랑고 곶(Tanjung Gorango) 2°30’N 128°41'E 지점까지 이동.
- 모로타이 섬 동쪽 해안 고랑고 곶에서 바다를 남동쪽으로 가로질러 와이지오 섬(Waigeo) 북단 와리아이 곶(Tanjung Wariai) 0°01’S 131°03'E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
- 서쪽 경계선 주요 지점 : 23°28'N 116°52'E - 23°28'N 116°52'E - 23°24’N, 117°07’E - 21°54’N 120°52’E - 19°57’N 122°09’E - 18°35’N 122°08’E - 14°08’N 120°35’E - 13°51’N 120°05’E - 13°27’N 120°18’E - 12°13’N 121°15’E - 12°07’N 121°21’E - 12°02’N 121°25'E - 12°00’N 121°34'E - 11°54’N 121°53'E - 11°10’N 123°06'E - 11°09’N 123°07'E - 11°06’N 123°07'E - 11°00’N 123°12'E - 9°03’N 123°01'E - 8°44’N 123°23'E - 5°34’N 125°20' - 5°24’N 125°20'E - 4°45’N 125°29'E - 4°44’N 125°29'E - 3°45’N 125°27'E - 3°21’N 125°37'E - 3°44’N 126°50'E - 4°29’N 126°52'E - 2°39’N 128°34'E - 2°30’N 128°41'E - 0°01’S 131°03'E
- 서쪽 경계선과 접한 바다 : 남중국해와 동남아시아 군도 해역[6]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태평양〉, 《위키백과》
- 〈북태평양 기단〉, 《위키백과》
- 〈북태평양〉, 《나무위키》
- 〈북태평양〉, 《네이버 지식백과》
- 〈북태평양 해류(North Pacific current )〉, 《사이언스올》
- 의솔아빠, 〈해양과 바다의 경계 - 7. 북태평양(North Pacific Ocean)〉, 《티스토리》, 2022-02-15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