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복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복눈'''은 복(福)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을 이르는 말이다. == 눈 == 눈은 구름 속의 수분...)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복눈'''은 복(福)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 (자연)|눈]]을 이르는 말이다.
 
'''복눈'''은 복(福)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 (자연)|눈]]을 이르는 말이다.
  
== ==
+
== 개요 ==
 
눈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로 내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주로 겨울철에 눈이 내린다.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는 눈이 온다. 4월에도 2016년을 제외하면 전국 어딘가에 한 번쯤은 눈이 내리는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지 쪽에는 적설이 쌓이기도 하며 2020년에는 서울에서 4월 22일에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내렸다. 이후 2021년 5월 2일, 강원 산지쪽에는 5월에 봄 폭설이 내렸다. 대관령은 1.6cm, 홍천 구룡령은 18.5cm, 그리고 설악산 고지대는 무려 20cm를 넘겨버렸다.
 
눈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로 내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주로 겨울철에 눈이 내린다.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는 눈이 온다. 4월에도 2016년을 제외하면 전국 어딘가에 한 번쯤은 눈이 내리는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지 쪽에는 적설이 쌓이기도 하며 2020년에는 서울에서 4월 22일에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내렸다. 이후 2021년 5월 2일, 강원 산지쪽에는 5월에 봄 폭설이 내렸다. 대관령은 1.6cm, 홍천 구룡령은 18.5cm, 그리고 설악산 고지대는 무려 20cm를 넘겨버렸다.
  
 
종전 기록은 1911년 4월 19일. 이때는 적설될 정도였다. 강원도는 심하면 5월 초까지 오기도 한다. 이상 저온이 아닌 이상 서울은 5월부터 반팔을 입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이미 4월 하순부터 반팔을 많이 입고, 어린이날 이후에는 여름이나 다름없는 대구는 말할 것도 없다. 또한 2010년 4월 28일에 전국 여러 곳에서 눈이 내렸다.
 
종전 기록은 1911년 4월 19일. 이때는 적설될 정도였다. 강원도는 심하면 5월 초까지 오기도 한다. 이상 저온이 아닌 이상 서울은 5월부터 반팔을 입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이미 4월 하순부터 반팔을 많이 입고, 어린이날 이후에는 여름이나 다름없는 대구는 말할 것도 없다. 또한 2010년 4월 28일에 전국 여러 곳에서 눈이 내렸다.
  
그래서 대관령은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전방으로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군대에서 통념상 겨울이 아닌 특정 날짜에 눈이 오는 것을 두고) 화이트 식목일, 어린이날, 개천절, 할로윈, 추석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특이하게 부산은 눈이 잘 안 내리지만 2, 3월 늦겨울에 자주 온다. 부울경은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겨울에 다른 지역에 다 눈내려도 이 지역만큼은 비가 오기는 하지만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이렇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지역인 부산과 창원에서 2023년 11월 18일에 첫 눈이 내린 것이 관측된 것을 포함해 부울경 곳곳에서 첫눈이 내렸고; 이는 두 지역에서 평년보다 각각 35일, 39일 빠른 첫 눈이었으며, 심지어 이 두 지역의 관측소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11월 중순에 적설량이 관측되었다.
+
그래서 대관령은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전방으로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군대에서 통념상 겨울이 아닌 특정 날짜에 눈이 오는 것을 두고) 화이트 식목일, 어린이날, 개천절, 할로윈, 추석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특이하게 부산은 눈이 잘 안 내리지만 2, 3월 늦겨울에 자주 온다. 부울경은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겨울에 다른 지역에 다 눈내려도 이 지역만큼은 비가 오기는 하지만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이렇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지역인 부산과 창원에서 2023년 11월 18일에 첫 눈이 내린 것이 관측된 것을 포함해 부울경 곳곳에서 첫눈이 내렸고; 이는 두 지역에서 평년보다 각각 35일, 39일 빠른 첫 눈이었으며, 심지어 이 두 지역의 관측소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11월 중순에 적설량이 관측되었다.<ref>〈[https://namu.wiki/w/%EB%88%88(%EB%82%A0%EC%94%A8) 눈(날씨)]〉, 《나무위키》</ref>
 
 
'''눈의 종류'''
 
 
 
다음은 눈에 관련된 우리말 단어들이다. 국어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된 단어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 '''[[가랑눈]]''' : 조금씩 잘게 내리는 눈. 한자어로는 세설(細雪).
 
* '''[[가루눈]]''' : [[가루]] 모양으로 내리는 눈. [[기온]]이 낮고 [[수증기]]가 적을 때 내린다.
 
* '''[[길눈]]''' : 한 길이 될 만큼 많이 쌓인 눈. 한 길이 2.4m 정도이니 [[폭설]]을 의미한다.
 
* '''[[눈갈기]]''' : [[말갈기]]처럼 흩날리는 [[눈보라]]를 뜻한다.
 
* '''[[눈꽃]]''' : [[나뭇가지]] 따위에 꽃이 핀 것처럼 얹힌 눈.
 
* '''[[눈바람]]''' : 눈과 함께, 또는 눈 위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 '''[[눈보라]]''' : [[바람]]에 휘몰아쳐 날리는 눈. 눈바람과 유사한 단어이지만, 눈바람은 '바람'에 초점을 맞춘 반면 눈보라는 '눈'에 초점을 맞춘 단어다.
 
* '''[[눈석임]]''' : 쌓인 눈이 속으로 녹아 스러짐. 이렇게 녹아서 흐르는 물은 [[눈석임물]]이라고 한다.
 
* '''[[눈송이]]''' : 굵게 엉기어 [[꽃송이]]처럼 내리는 눈.
 
* '''[[도둑눈]]''' : 밤 사이에 사람들이 모르게 내린 눈. 동의어로 도적눈이 있다.
 
* '''[[떡눈]]''' : [[물기]]가 있어서 척척 붙는 눈송이.
 
* '''[[마른눈]]''' : [[비]]가 섞이지 않고 내리는 눈.
 
* '''[[발등눈]]''' : [[발등]]까지 빠질 정도로 비교적 많이 내린 눈.
 
* '''복눈''' : [[복]]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을 이르는 말.
 
* '''[[봄눈]]''' : [[봄철]]에 오는 눈.
 
* '''[[소나기눈]]''' :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눈.
 
* '''[[숫눈]]''' : 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
 
* '''[[싸라기눈]]''' : [[빗방울]]이 갑자기 찬 [[바람]]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쌀알]] 같은 눈을 말한다. 준말은 싸락눈. 참고로 '눈싸라기'는 싸라기눈의 잘못이며 비표준어이다.
 
* '''[[자국눈]]''' :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 '''[[잣눈]]''' : 많이 내려 아주 높이 쌓인 눈을 의미한다. 한자어로는 척설(尺雪).
 
* '''[[진눈깨비]]''' : 비가 섞여 내리는 눈.
 
* '''[[첫눈]]''' : 그해 [[겨울]]에 처음으로 내리는 눈.
 
* '''[[포슬눈]]''' : 가늘고 성기게 내리는 눈.
 
* '''[[풋눈]]''' : [[초겨울]]에 들어서 조금 내린 눈.
 
* '''[[함박눈]]''' :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ref>〈[https://namu.wiki/w/%EB%88%88(%EB%82%A0%EC%94%A8) 눈(날씨)]〉, 《나무위키》</ref>
 
 
 
== 동영상 ==
 
<youtube>dHtUvMbj1dI</youtube>
 
<youtube>pQsmejGQINI</youtube>
 
  
 
{{각주}}
 
{{각주}}

2024년 4월 22일 (월) 14:30 기준 최신판

복눈은 복(福)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을 이르는 말이다.

개요[편집]

눈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로 내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주로 겨울철에 눈이 내린다.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는 눈이 온다. 4월에도 2016년을 제외하면 전국 어딘가에 한 번쯤은 눈이 내리는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지 쪽에는 적설이 쌓이기도 하며 2020년에는 서울에서 4월 22일에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내렸다. 이후 2021년 5월 2일, 강원 산지쪽에는 5월에 봄 폭설이 내렸다. 대관령은 1.6cm, 홍천 구룡령은 18.5cm, 그리고 설악산 고지대는 무려 20cm를 넘겨버렸다.

종전 기록은 1911년 4월 19일. 이때는 적설될 정도였다. 강원도는 심하면 5월 초까지 오기도 한다. 이상 저온이 아닌 이상 서울은 5월부터 반팔을 입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이미 4월 하순부터 반팔을 많이 입고, 어린이날 이후에는 여름이나 다름없는 대구는 말할 것도 없다. 또한 2010년 4월 28일에 전국 여러 곳에서 눈이 내렸다.

그래서 대관령은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전방으로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군대에서 통념상 겨울이 아닌 특정 날짜에 눈이 오는 것을 두고) 화이트 식목일, 어린이날, 개천절, 할로윈, 추석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특이하게 부산은 눈이 잘 안 내리지만 2, 3월 늦겨울에 자주 온다. 부울경은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겨울에 다른 지역에 다 눈내려도 이 지역만큼은 비가 오기는 하지만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이렇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지역인 부산과 창원에서 2023년 11월 18일에 첫 눈이 내린 것이 관측된 것을 포함해 부울경 곳곳에서 첫눈이 내렸고; 이는 두 지역에서 평년보다 각각 35일, 39일 빠른 첫 눈이었으며, 심지어 이 두 지역의 관측소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11월 중순에 적설량이 관측되었다.[1]

각주[편집]

  1. 눈(날씨)〉,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복눈 문서는 날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