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실바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바람 ==
 
== 바람 ==
바람은 지표면에 대하여 [[공기]]가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공기의 수평운동을 이류(Advection Flow)라고 하며 수직운동을 대류(Convection Flow)라 부른다. 대기운동의 수직성분은 특히 지표면에서 비교적 작으므로 기상학자들은 주로 대기운동의 수평성분만 바람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지표 부근의 마찰이나 지형, 열 차이로 부는 바람은 '''난류'''(Turbulent Flow)이며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층에는 일정하게 부는 바람인 '''층류'''(Laminar Flow)가 있다. 바람은 일반적으로 공간적 규모, 속도, 원인, 발생지역, 영향 등에 따라 분류한다. 대규모 바람(global winds)으로는 대기 순환류(atmospheric circulation cell)에 존재하는 바람이 있고 제트기류(jet streams)라 불리는 상층대기의 빠른 집적된 공기의 흐름이 있다. 종관 규모(synoptic-scale winds)에서는 중위도 지역의 표층 공기 덩어리의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과 해륙풍과 같이 지형적 형태의 결과로 나타나는 바람이 있다. 중간규모(mesoscale winds)의 바람으로는 소나기 전선(gust front)와 같이 지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람이 있다. 가장 작은 규모의 미소 바람(microscale winds)으로 10~100m 규모로 발생하여 예측할 수 없는 회오리바람이나 순간돌풍(microbursts)와 같은 바람이 있다.
+
바람은 지표면에 대하여 [[공기]]가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공기의 수평운동을 이류(Advection Flow)라고 하며 수직운동을 대류(Convection Flow)라 부른다. 대기운동의 수직성분은 특히 지표면에서 비교적 작으므로 기상학자들은 주로 대기운동의 수평성분만 바람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지표 부근의 마찰이나 지형, 열 차이로 부는 바람은 난류(Turbulent Flow)이며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층에는 일정하게 부는 바람인 층류(Laminar Flow)가 있다. 바람은 일반적으로 공간적 규모, 속도, 원인, 발생지역, 영향 등에 따라 분류한다. 대규모 바람(global winds)으로는 대기 순환류(atmospheric circulation cell)에 존재하는 바람이 있고 제트기류(jet streams)라 불리는 상층대기의 빠른 집적된 공기의 흐름이 있다. 종관 규모(synoptic-scale winds)에서는 중위도 지역의 표층 공기 덩어리의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과 해륙풍과 같이 지형적 형태의 결과로 나타나는 바람이 있다. 중간규모(mesoscale winds)의 바람으로는 소나기 전선(gust front)와 같이 지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람이 있다. 가장 작은 규모의 미소 바람(microscale winds)으로 10~100m 규모로 발생하여 예측할 수 없는 회오리바람이나 순간돌풍(microbursts)와 같은 바람이 있다.
  
 
바람을 구동시키거나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는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 전향력(Coriolis force), 부력(bouyancy force), 마찰력이 있다. 만일 두 공기 덩어리 사이의 압력의 차이가 존재하면 고기압 영역에서 저기압 영역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행성은 회전함으로 적도에서 멀고 지표면에서 충분히 높은 영역에서 흐르는 공기는 전향력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게 된다. 대규모의 지구 규모의 바람(large scale global winds)에는 적도 지역과 극지역의 차별 가열에 의한 힘과 행성의 자전에 의한 힘이 가장 큰 구동력(driving force)로 작용한다. 바람은 다양한 [[풍화 작용]]을 거쳐 지형을 만든다.  
 
바람을 구동시키거나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는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 전향력(Coriolis force), 부력(bouyancy force), 마찰력이 있다. 만일 두 공기 덩어리 사이의 압력의 차이가 존재하면 고기압 영역에서 저기압 영역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행성은 회전함으로 적도에서 멀고 지표면에서 충분히 높은 영역에서 흐르는 공기는 전향력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게 된다. 대규모의 지구 규모의 바람(large scale global winds)에는 적도 지역과 극지역의 차별 가열에 의한 힘과 행성의 자전에 의한 힘이 가장 큰 구동력(driving force)로 작용한다. 바람은 다양한 [[풍화 작용]]을 거쳐 지형을 만든다.  
  
 
바람에 의하여 꽃가루가 날려 멀리 있는 다른 나무나 식물에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양귀비나 민들레는 150㎞나 되는 거리까지 날아간다. 민들레의 씨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것은 명주실과 같은 가는 털이 햇빛을 받아 따뜻해지고 털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도 가벼운 풍선과 같은 상태가 되어 날아가기 때문이다. 바람을 이용한 것으로는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섬에서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소]]를 만들어 전력을 생산하기도 하고 지금은 사라졌지만 바람을 이용하여 물 위를 가는 범선을 만들기도 하였고 [[풍차]]를 이용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일도 있다. 그러나 공기는 [[물]]에 비해서 밀도가 대단히 작고 바람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수력]]에 비하면 동력원(動力源)으로서는 불안정하다. 그래서 바람이 강한 외딴섬이나 산악지대 등에서 좁은 범위의 [[풍력발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밖에 어린이들이 놀이에 쓰는 바람개비나 [[선풍기]], [[에어컨]] 그리고 현대과학의 최첨단인 제트엔진식[[항공기]]도 바람을 이용하여서 날아다니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762&cid=46637&categoryId=46637 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바람에 의하여 꽃가루가 날려 멀리 있는 다른 나무나 식물에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양귀비나 민들레는 150㎞나 되는 거리까지 날아간다. 민들레의 씨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것은 명주실과 같은 가는 털이 햇빛을 받아 따뜻해지고 털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도 가벼운 풍선과 같은 상태가 되어 날아가기 때문이다. 바람을 이용한 것으로는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섬에서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소]]를 만들어 전력을 생산하기도 하고 지금은 사라졌지만 바람을 이용하여 물 위를 가는 범선을 만들기도 하였고 [[풍차]]를 이용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일도 있다. 그러나 공기는 [[물]]에 비해서 밀도가 대단히 작고 바람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수력]]에 비하면 동력원(動力源)으로서는 불안정하다. 그래서 바람이 강한 외딴섬이나 산악지대 등에서 좁은 범위의 [[풍력발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밖에 어린이들이 놀이에 쓰는 바람개비나 [[선풍기]], [[에어컨]] 그리고 현대과학의 최첨단인 제트엔진식[[항공기]]도 바람을 이용하여서 날아다니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762&cid=46637&categoryId=46637 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
 +
'''바람 방향에 따른 이름'''
 +
 +
하늬바람이라는 말은 많이 쓰이는데, 하늬바람은 서풍인데, 옛 뱃사람들은 서쪽을 '하늬'라고 표현했다. 그래서 하늬바람은 서쪽에서 부는 서늘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다. 옛사람들이 쓰던 표현에서 유래하여 남풍은 마파람, 거센 북풍은 된바람, 동풍은 된바람이라고 부른다.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서해에서는 남풍이 불면 비가 내린다고 한다. 비도 오지 않고 바람만 슬쩍 불었는데도 바닷가 게들은 서둘러 눈을 감추고 숨어버린다. 이러한 게의 재빠른 습성에서 나온 속담이다. 된바람은 바람 속도에 따른 이름에서도 나오는데, 풍력계급 6에 해당하며 초당 10m 이상의 거센 바람이다. 일기예보에서 자주 보이는 말로 높새바람이 있다. 옛사람들은 북쪽을 높을 고, 동쪽을 새라고 하여 합쳐서 높새바람은 북동풍을 말한다. 늦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동해안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 사면으로 부는 바람을 뜻한다. 이 북동풍은 된새바람이라고도 한다. 북서풍은 높하늬, 된하늬로, 남서풍은 갈마, 늦하늬, 남동풍은 된마파람으로 불렀다.
 +
 +
'''바람 속도에 따른 이름'''
 +
 +
해상의 [[풍랑]] 상태를 기초로 하여 육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보퍼트 풍력계급]]이 있다. 13계급으로 0부터 12단계까지 있는데 이 단계별로 바람의 우리말 이름을 붙인 것이 있다. 지금은 풍속을 이야기할 때 보퍼트 풍력계급이 아니라 직접 m/s, km/h의 단위를 사용한다. 바람 속도는 10분간의 평균 풍속을 기준으로 한다. 실바람, 남실바람, 산들바람, 건들바람까지는 기분이 좋은 이름이지만, 가장 무서운 싹쓸이다. 그 외 소슬바람, 밤바람, 봄바람, 비바람, 회오리바람, 돌개바람, 용오름, 칼바람, 황소바람, 솔바람은 굳이 뜻을 자세히 붙이지 않아도 이름만 들어도 느낌이 온다. 들으면 아는데 막상 내가 쓸 때는 그냥 '바람'으로만 쓰인다. '무슨' 바람이라고 이름 붙여서 써주면 바람이 좋아해서 '맞바람' 대신 뒷바람으로 도와줄지도 모른다.<ref>금진놀, 〈[https://sunnytodaydiary.tistory.com/85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우리말 이름 - 싹쓸바람을 아시나요]〉, 《오늘 날씨 맑음》, 2023-02-17</ref>
  
 
== 바람의 종류 ==
 
== 바람의 종류 ==
77번째 줄: 85번째 줄:
 
* 꼬냉이, 〈[https://blog.naver.com/enustik/223317618019 실바람]〉, 《네이버 블로그》, 2024-01-09
 
* 꼬냉이, 〈[https://blog.naver.com/enustik/223317618019 실바람]〉, 《네이버 블로그》, 2024-01-09
 
* 김영조 기자,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5929 우리말 이름 '싹쓸바람'과 '실바람']〉, 《우리문화신문》, 2020-08-26
 
* 김영조 기자, 〈[https://www.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5929 우리말 이름 '싹쓸바람'과 '실바람']〉, 《우리문화신문》, 2020-08-26
 +
* 금진놀, 〈[https://sunnytodaydiary.tistory.com/85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우리말 이름 - 싹쓸바람을 아시나요]〉, 《오늘 날씨 맑음》, 2023-02-17
 
* 시대정신, 〈[https://blog.daum.net/jh1459/343 바람의 종류]〉, 《다음 블로그》, 2017-03-07
 
* 시대정신, 〈[https://blog.daum.net/jh1459/343 바람의 종류]〉, 《다음 블로그》, 2017-03-07
  

2024년 6월 5일 (수) 12:29 기준 최신판

실바람풍력계급 1의 바람을 말한다. 10분간의 평균 풍속이 초속 0.3~1.5m며, 연기의 이동에 의하여 풍향을 알 수 있으나 풍향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개요[편집]

실바람은 골짜기에서 부는 바람이다. 또는 솔솔 부는 바람을 말한다. '실'은 토박이말에서 골(谷)을 뜻한다. 이런 연유에서 잣실(栢谷), 가는 실(細谷)이란 말이 생겨났다. 여기에서 골짜기에서 불어 오는 바람을 실바람이라고 하게 되었다. 또 솔솔 부는 바람이라는 뜻의 실바람은, 실버들 가지가 흔들릴 정도로 부는 바람이라는 뜻에서 생겨났다. 실버들은 가지가 실처럼 가늘게 늘어졌다고 해서 수양버들을 달리 부르는 이름이다.[1]

그런데 이 바람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바람의 세기(보퍼트 13 등급)가 있다. 기상청은 이 등급에 맞춰 우리말 이름을 붙여 놓았다.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 바람이 거의 없는 상태(풍속 초당 0~0.2m)는 '고요', 풍향계에는 기록되지 않지만, 연기가 날리는 모양으로 보아 알 수 있는 '실바람(0.3~1.5m)'부터 시작하여 '남실바람', '들바람', '건들바람', '된바람', '센바람', '큰바람', '큰센바람', '노대바람', '왕바람'이 있는데 이 바람들은 '싹쓸바람'보다는 약한 것들이다.

바람의 세기와 달리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구분한 우리말 이름도 있다. 먼저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하늬바람' 또는 '가수알바람', 남풍은 '맞바람(마파람)', 북풍은 '높바람(뒷바람)' 또는 '덴바람'이라고 한다. 그밖에 봄에 부는 부드럽고 화창한 '명지바람', 으스스하고 쓸쓸하게 부는 바람을 '소슬바람', 겨울에 매섭게 부는 '칼바람'도 있으며, 일정한 방향이 없이 마구 부는 '왜바람'도 있다.[2]

바람[편집]

바람은 지표면에 대하여 공기가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공기의 수평운동을 이류(Advection Flow)라고 하며 수직운동을 대류(Convection Flow)라 부른다. 대기운동의 수직성분은 특히 지표면에서 비교적 작으므로 기상학자들은 주로 대기운동의 수평성분만 바람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지표 부근의 마찰이나 지형, 열 차이로 부는 바람은 난류(Turbulent Flow)이며 지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층에는 일정하게 부는 바람인 층류(Laminar Flow)가 있다. 바람은 일반적으로 공간적 규모, 속도, 원인, 발생지역, 영향 등에 따라 분류한다. 대규모 바람(global winds)으로는 대기 순환류(atmospheric circulation cell)에 존재하는 바람이 있고 제트기류(jet streams)라 불리는 상층대기의 빠른 집적된 공기의 흐름이 있다. 종관 규모(synoptic-scale winds)에서는 중위도 지역의 표층 공기 덩어리의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과 해륙풍과 같이 지형적 형태의 결과로 나타나는 바람이 있다. 중간규모(mesoscale winds)의 바람으로는 소나기 전선(gust front)와 같이 지역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람이 있다. 가장 작은 규모의 미소 바람(microscale winds)으로 10~100m 규모로 발생하여 예측할 수 없는 회오리바람이나 순간돌풍(microbursts)와 같은 바람이 있다.

바람을 구동시키거나 영향을 미치는 힘으로는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 전향력(Coriolis force), 부력(bouyancy force), 마찰력이 있다. 만일 두 공기 덩어리 사이의 압력의 차이가 존재하면 고기압 영역에서 저기압 영역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행성은 회전함으로 적도에서 멀고 지표면에서 충분히 높은 영역에서 흐르는 공기는 전향력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게 된다. 대규모의 지구 규모의 바람(large scale global winds)에는 적도 지역과 극지역의 차별 가열에 의한 힘과 행성의 자전에 의한 힘이 가장 큰 구동력(driving force)로 작용한다. 바람은 다양한 풍화 작용을 거쳐 지형을 만든다.

바람에 의하여 꽃가루가 날려 멀리 있는 다른 나무나 식물에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양귀비나 민들레는 150㎞나 되는 거리까지 날아간다. 민들레의 씨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것은 명주실과 같은 가는 털이 햇빛을 받아 따뜻해지고 털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도 가벼운 풍선과 같은 상태가 되어 날아가기 때문이다. 바람을 이용한 것으로는 전기가 들어가지 않는 섬에서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소를 만들어 전력을 생산하기도 하고 지금은 사라졌지만 바람을 이용하여 물 위를 가는 범선을 만들기도 하였고 풍차를 이용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일도 있다. 그러나 공기는 에 비해서 밀도가 대단히 작고 바람도 일정하지 않으므로 수력에 비하면 동력원(動力源)으로서는 불안정하다. 그래서 바람이 강한 외딴섬이나 산악지대 등에서 좁은 범위의 풍력발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밖에 어린이들이 놀이에 쓰는 바람개비나 선풍기, 에어컨 그리고 현대과학의 최첨단인 제트엔진식항공기도 바람을 이용하여서 날아다니고 있다.[3]

바람 방향에 따른 이름

하늬바람이라는 말은 많이 쓰이는데, 하늬바람은 서풍인데, 옛 뱃사람들은 서쪽을 '하늬'라고 표현했다. 그래서 하늬바람은 서쪽에서 부는 서늘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다. 옛사람들이 쓰던 표현에서 유래하여 남풍은 마파람, 거센 북풍은 된바람, 동풍은 된바람이라고 부른다.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서해에서는 남풍이 불면 비가 내린다고 한다. 비도 오지 않고 바람만 슬쩍 불었는데도 바닷가 게들은 서둘러 눈을 감추고 숨어버린다. 이러한 게의 재빠른 습성에서 나온 속담이다. 된바람은 바람 속도에 따른 이름에서도 나오는데, 풍력계급 6에 해당하며 초당 10m 이상의 거센 바람이다. 일기예보에서 자주 보이는 말로 높새바람이 있다. 옛사람들은 북쪽을 높을 고, 동쪽을 새라고 하여 합쳐서 높새바람은 북동풍을 말한다. 늦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동해안에서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 사면으로 부는 바람을 뜻한다. 이 북동풍은 된새바람이라고도 한다. 북서풍은 높하늬, 된하늬로, 남서풍은 갈마, 늦하늬, 남동풍은 된마파람으로 불렀다.

바람 속도에 따른 이름

해상의 풍랑 상태를 기초로 하여 육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보퍼트 풍력계급이 있다. 13계급으로 0부터 12단계까지 있는데 이 단계별로 바람의 우리말 이름을 붙인 것이 있다. 지금은 풍속을 이야기할 때 보퍼트 풍력계급이 아니라 직접 m/s, km/h의 단위를 사용한다. 바람 속도는 10분간의 평균 풍속을 기준으로 한다. 실바람, 남실바람, 산들바람, 건들바람까지는 기분이 좋은 이름이지만, 가장 무서운 싹쓸이다. 그 외 소슬바람, 밤바람, 봄바람, 비바람, 회오리바람, 돌개바람, 용오름, 칼바람, 황소바람, 솔바람은 굳이 뜻을 자세히 붙이지 않아도 이름만 들어도 느낌이 온다. 들으면 아는데 막상 내가 쓸 때는 그냥 '바람'으로만 쓰인다. '무슨' 바람이라고 이름 붙여서 써주면 바람이 좋아해서 '맞바람' 대신 뒷바람으로 도와줄지도 모른다.[4]

바람의 종류[편집]

  • 높새바람 : 특정 지역에서만 부는 바람을 지방풍 또는 국지풍(局地風)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지방풍 중 대표적인 것이 높새바람이다. 예로부터 북쪽을 높(高) 또는 뒤(後), 동쪽을 새(沙)라고 하였다. 높새란 북동쪽을 가리키고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높새바람이라고 한다. 높새바람은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차고 습기를 띤 한대 해양성 기단인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동해까지 확장되어 정체하다가 태백산맥을 넘어 서쪽으로 불어내리면서 푄(Föhn) 현상을 일으켜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부는 것이다.
  • 샛바람(동풍) :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계절과 관계없이 저기압의 전반에서 항상 동반되는 바람이다. 낚시에 주로 나쁜 영향을 주는 바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수온을 떨어뜨려 물고기의 활성을 낮추는 것이다. 샛바람이 강해지면 파도가 높아지고 먼바다에 폭풍주의보를 동반하기도 한다.
  • 하늬바람(서풍) : 일반적으로 서풍을 하늬바람이라 부르지만 해안가 주민이나 어부들은 갈바람이라고도 부른다. 봄에 부는 서풍과 가을에 부는 서풍은 조금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봄에 부는 서풍은 따뜻한 느낌이지만 수온을 떨어뜨려 물고기의 활성도를 떨어뜨린다. 가을에 부는 서풍은 쌀쌀한 느낌이지만 물속에 용존산소량을 늘려 물고기의 활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 마파람(남풍) : 남쪽에서 북쪽으로 부는 바람이다. 시원하게 느껴지는 남풍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자주 분다. 밥을 눈 깜짝할 사이에 먹어치울 때 흔히 쓰는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이란 속담은 남풍이 불면 대개 비가 오게 마련이어서 게가 겁을 먹고 눈을 급히 감는 데서 생긴 말이다.
  • 된바람(북풍) : 겨울철에 자주 부는 바람이다. 찬바람이지만 동해안에서는 파도를 높게 만들고 물색을 흐리게 하지만 수온을 올려주는 역할도 하여 낚시에는 좋은 조건을 만들기도 한다.
  • 해풍 : 낮에 바다에서 육지 쪽으로 부는 바람.
  • 육풍 : 밤에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부는 바람.
  • 계절풍 : 공기의 대류중 규모가 크고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바람으로 여름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불어오고 겨울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분다.
  • 곡풍 : 낮에 골짜기에서 산꼭대기를 향해 부는 바람.
  • 산풍 : 밤에 산꼭대기에서 골짜기로 향하여 부는 바람.
  • 연풍 : 바람의 강도가 약한 바람.
  • 돌풍 : 일시적이지만 풍속이 갑자기 빨라지고 풍향도 급격히 변하며 때로는 천둥번개를 동반하기도 하는 바람.

한국어로 된 바람 이름

  • 가는바람 : 약하게 솔솔 부는 바람.
  • 가맛바람 : 가마를 타고 가면서 쐬는 바람.
  • 간들바람 : 부드럽고 가볍게 살랑살랑 부는 바람.
  • 갈마바람 : 뱃사람들의 말로 '서남풍'을 이르는 말.
  • 갑작바람 : '돌풍'의 북한어.
  • 강바람 : 비는 내리지 아니하고 심하게 부는 바람.
  • 강쇠바람 : 첫가을에 부는 동풍
  • 건들마 : 남쪽에서 불어오는 초가을의 선들선들한 바람.
  • 건들바람 : 초가을에 선들선들 부는 바람.
  • 고추바람 : 살을 에는 듯 매섭게 부는 차가운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골바람 : 골짜기에서부터 산꼭대기로 부는 바람.
  • 날파람 : 빠르게 날아가는 결에 일어나는 바람.
  • 내기바람 : 산비탈을 따라 세게 불어 내리는 온도가 높거나 건조한 바람.
  • 늦바람 : 저녁 늦게 부는 바람.
  • 댑바람 : 북쪽에서 불어오는 큰 바람.
  • 도리깨바람 : 도리깨질을 할 때에 일어나는 바람.
  • 된마파람 : 뱃사람들의 말로 '동남풍'을 이르는 말.
  • 된새바람 : 뱃사람들의 말로 '동북풍(東北風)'을 이르는 말.
  • 마칼바람 : 뱃사람들의 은어로 '서북풍'을 이르는 말.
  • 맞바람 : 양편에서 마주 불어오는 듯한 바람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명지바람 : 보드랍고 화창한 바람.
  • 박초바람 : 배를 빨리 달리게 하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음력 5월에 부는 바람을 이르는 말.
  • 벼락바람 : 갑자기 휘몰아치는 바람.
  • 북새바람 : 북쪽에서 불어오는 추운 바람.
  • 옆바람 : 배의 돛에 옆으로 부는 바람.
  • 용숫바람 : 회오리바람.
  • 용오름 : 육지나 바다에서 일어나는 맹렬한 바람의 소용돌이.
  • 피죽바람 : 피죽도 먹기 어렵게 흉년이 들 바람이라는 뜻으로, 모낼 무렵 오래 계속하여 부는 아침 동풍과 저녁 서북풍을 이르는 말.
  • 흘레바람 : 비를 몰아오는 바람.
  • 소소리바람 : 이른 봄에 살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차고 매서운 바람. 소소리는 본래 회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따라서 가을이나 겨울에 회오리치듯 휘몰아 불어오는 바람.
  • 소슬바람 : 가을에 외롭고 쓸쓸한 느낌을 주며 부는 으스스한 바람.
  • 살바람 : 초봄에 부는 찬바람 또는 좁은 틈으로 새어 들어오는 찬바람
  • 색바람 : 가을에 부는 선선한 바람.
  • 왜바람 : 방향 없이 이리저리 함부로 부는 바람. 변덕스러운 바람.[5]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꼬냉이, 〈실바람〉, 《네이버 블로그》, 2024-01-09
  2. 김영조 기자, 〈우리말 이름 '싹쓸바람'과 '실바람'〉, 《우리문화신문》, 2020-08-26
  3. 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금진놀,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따른 우리말 이름 - 싹쓸바람을 아시나요〉, 《오늘 날씨 맑음》, 2023-02-17
  5. 시대정신, 〈바람의 종류〉, 《다음 블로그》, 2017-03-07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실바람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