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역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파일:구례 화엄사 일원 전경.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일원 전경]] | |
+ | [[파일:구례 화엄사일주문.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일주문]] | ||
+ | [[파일:구례 화엄사 각황전.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각황전]] | ||
+ | [[파일:구례 화엄사-각황전 내부.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각황전 내부]] | ||
+ | [[파일:구례 화엄사 대웅전.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대웅전]] | ||
+ | [[파일: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보물 제132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보물 제133호).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보물 제132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보물 제133호).]] | ||
+ | [[파일:국보 35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jpg|썸네일|300픽셀|국보 35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 ||
+ | [[파일:구례 화엄사 보제루(도유형문화재 제49호).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보제루(도유형문화재 제49호)]] | ||
+ | [[파일:구례 화엄사 사자탑.JPG|썸네일|300픽셀|구례 화엄사 사자탑]] | ||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 ||
25번째 줄: | 33번째 줄: | ||
고려시대에도 중수가 잇따랐다. 943년(고려 태조 26년)에 도선의 유지에 따라 오백선찰을 먼저 건립하고 뒤에 삼천팔백사를 세우는 일을 시작하면서 기존 사찰 중 화엄사가 제일 먼저 중수되었다. 이후에는 광종대, 문종대, 인종대, 충숙왕대에 걸쳐 총 네 차례에 걸친 중수가 더 있었다. | 고려시대에도 중수가 잇따랐다. 943년(고려 태조 26년)에 도선의 유지에 따라 오백선찰을 먼저 건립하고 뒤에 삼천팔백사를 세우는 일을 시작하면서 기존 사찰 중 화엄사가 제일 먼저 중수되었다. 이후에는 광종대, 문종대, 인종대, 충숙왕대에 걸쳐 총 네 차례에 걸친 중수가 더 있었다. | ||
− | 화엄사에는 벽(壁)을 청석(靑石)으로 두른 전각이 있었고 이 청석에 화엄경이 조각되어 장육전(丈六殿, 부처의 키가 6척이었다는 설에서 유래한 이름)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 중인 선조 26년(1593년)에 불타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지금도 간혹 청석 조각을 볼 수 있는데 당나라 초기의 글씨체를 보인다고 한다. | + | 화엄사에는 벽(壁)을 청석(靑石)으로 두른 전각이 있었고 이 청석에 화엄경이 조각되어 장육전(丈六殿, 부처의 키가 6척이었다는 설에서 유래한 이름)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 중인 선조 26년(1593년)에 불타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지금도 간혹 청석 조각을 볼 수 있는데 당나라 초기의 글씨체를 보인다고 한다. 벽암선사가 인조 8년(1630년)부터 14년(1636년)에 걸쳐 대웅전을 비롯한 일부 건물을 재건하였고, 재건 후에 선종대가람으로 승격되었다. 그외 대부분의 건물은 17세기에 건축된 것이다. |
숙종 27년(1701년)에 화엄사 중건을 완성하고 선교 양종(禪敎兩宗)의 대가람(大伽藍)으로 하였다. | 숙종 27년(1701년)에 화엄사 중건을 완성하고 선교 양종(禪敎兩宗)의 대가람(大伽藍)으로 하였다. | ||
42번째 줄: | 50번째 줄: | ||
=== 딸린 암자 === | === 딸린 암자 === | ||
화엄사가 가장 융성했던 신라 경덕왕 때엔 화엄사에 81 암자가 딸려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 거의 없어지고 근세까지 10여 개의 암자만이 남았다가 한국 전쟁과 조선인민유격대 토벌 작전 탓에 그마저도 거의 퇴락해버렸다. 그래서 현재는 구층암, 금정암, 지장암 등 세 암자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화엄사가 가장 융성했던 신라 경덕왕 때엔 화엄사에 81 암자가 딸려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 거의 없어지고 근세까지 10여 개의 암자만이 남았다가 한국 전쟁과 조선인민유격대 토벌 작전 탓에 그마저도 거의 퇴락해버렸다. 그래서 현재는 구층암, 금정암, 지장암 등 세 암자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
− | + | [[파일:가람배치도.jpg|썸네일|600픽셀|가운데|화엄사 가람배치도]] | |
== 중요 문화재 == | == 중요 문화재 == | ||
문화재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지금도 전하는 부속 건물들로서 이들은 모두 신라 시대에 속하는데 거의가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화엄사는 어느 사찰보다도 풍성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깨달은 황제가 산다는 뜻의 각황전(국보 제67호)이다. 조선 중후기인 숙종 때 지어진 건물이지만 숭유억불의 기조 속에서도 임금이 정사를 보던 근정전 다음 큰 규모로 지어진 법당이다. 본래 장육전이라는 건물이 소실된 곳에 복원하면서 숙종 임금이 현판을 <각황전>이라 사액해서 각황전으로 부른다. | 문화재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지금도 전하는 부속 건물들로서 이들은 모두 신라 시대에 속하는데 거의가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화엄사는 어느 사찰보다도 풍성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깨달은 황제가 산다는 뜻의 각황전(국보 제67호)이다. 조선 중후기인 숙종 때 지어진 건물이지만 숭유억불의 기조 속에서도 임금이 정사를 보던 근정전 다음 큰 규모로 지어진 법당이다. 본래 장육전이라는 건물이 소실된 곳에 복원하면서 숙종 임금이 현판을 <각황전>이라 사액해서 각황전으로 부른다. | ||
89번째 줄: | 97번째 줄: | ||
* 구례 화엄사 매화: 천연기념물 제485호 | * 구례 화엄사 매화: 천연기념물 제485호 | ||
− | == | + | == 이용안내 == |
− | + | * 연락처 : 061-783-7600(화엄사 종무소) | |
− | + | * 이용요금 | |
+ | : -개인 | ||
+ | :어른 4,000원 / 청소년·학생 2,000원 / 어린이 1,500원 | ||
+ | : -단체(30인 이상) | ||
+ | :어른 4,000원 / 청소년·학생 1,600원 / 어린이 1,200원 | ||
+ | * 개방시간 : 연중무휴 | ||
== 교통안내 == | == 교통안내 == | ||
130번째 줄: | 143번째 줄: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화엄사 홈페이지 - http://hwaeomsa.or.kr/ | * 화엄사 홈페이지 - http://hwaeomsa.or.kr/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7%84%EC%82%AC 화엄사]〉, 《위키백과》 | ||
+ | * 〈[https://namu.wiki/w/%ED%99%94%EC%97%84%EC%82%AC 화엄사]〉, 《나무위키》 | ||
+ | * 〈[https://www.gurye.go.kr/tour/detail.do?tourId=TOUR_0000000046&menuNo=101001007000 관광명소 > 주요관광지 > 화엄사]〉, 《구례여행》 | ||
+ | *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f7e763b3-7616-4bb2-b85d-5c630977c374 화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 ||
+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1333605050000 사적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국가문화유산포털》 | ||
+ | * 권중서 조계종 전문포교사,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552 죽기 전에 꼭 가봐야할 사찰 꽃으로 장엄된 부처님의 세계 구례 화엄사]〉, 《불교신문》, 2021-09-01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 + | * [[전라남도]] |
− | * | + | * [[구례군]] |
− | * | + | * [[사찰]] |
{{한국관광지|검토 필요}} | {{한국관광지|검토 필요}} |
2022년 11월 29일 (화) 12:04 기준 최신판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전국의 사찰 중에서도 손에 꼽힐 만큼 거대한 중층 금당으로 국보로 지정된 각황전으로 유명하다.
목차
개요[편집]
화엄사는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5.4km 떨어진 곳,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천년 고찰로 544년(백제 성왕22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하여 절의 이름을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과 대웅상적광전만 세워졌고 그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라 헌강왕1년)에 도선국사가 또 다시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사찰 내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재 2점등 많은 문화재와 20여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는 일주문을 지나 약 30˚꺽어서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금강역사, 문수, 보현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에 다다르는데 이 문은 금강문과는 서쪽 방향으로 빗겨 놓은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이 천왕문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 보제루에 이르고 보제루는 다른 절에서 그 밑을 통과하여 대웅전에 이르는 방법과는 다르게 누의 옆을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절내에서는 동.서 두개의 탑이 사선 방향으로 보이며 동측탑의 윗부분보다 한단 높은 더위에 대웅전이 있고 서쪽탑의 윗부분에는 각황전이 위치하고 있다.
경내 건물중 각황전은 국보로 지정된 매우 유명한 건물이며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그 웅장한 외양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각황전 앞 뜰에 서있는 석등은 높이 6.3m, 직경 2.8m 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통일 신라시대 불교 중흥기의 찬란한 조각예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보 제 12호로 지정되어 있다.각황전 왼편 효대라는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4사자 3층석탑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며 세운 탑으로 특이한 의장과 세련된 조각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국보이다. 각황전 내부 후편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회 괘불탱은 국보로 1997년도에 지정되었다.
화엄사 경내 보물 가운데서도 대웅전 양편에 서있는 5층탑은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장식이 눈길을 끄는 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로 지정돼 있다. 또한 이곳의 대웅전은(보물) 조선시대의 우수한 예술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국립공원인 지리산의 훌륭한 경관을 배경으로 곳곳에 명소와 절경이 산재해 있다. 한편 하동에서 화엄사에 이르는 19번국도변(약 35㎞) 에는 가로수로 벚꽃나무가 심어져 매년 4월 벚꽃이 만개할 때면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인근에는 섬진강매화마을, 고소성 군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등 많은 관광지가 있어 수많은 상춘객이 몰리는 곳이다.
역사[편집]
544년(신라 진흥왕 5년, 백제 성왕 22년)에 연기가 창건하였다. 절 이름은 《화엄경》의'화엄' 두 글자를 따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643년(선덕여왕 12년)에 자장법사가 증축하였고, 석존사리탑(釋尊舍利塔) · 7층탑 · 석등롱(石燈籠) 등을 건조하였다.'
《봉성지》(鳳城志)에 따르면, 문무왕 때 의상국사가 왕명을 받아 석판에 《화엄경 80권》을 새겨 절에 보관하였다.'
875년(신라 헌강왕 1년)에 도선이 다시 증축했다.
고려시대에도 중수가 잇따랐다. 943년(고려 태조 26년)에 도선의 유지에 따라 오백선찰을 먼저 건립하고 뒤에 삼천팔백사를 세우는 일을 시작하면서 기존 사찰 중 화엄사가 제일 먼저 중수되었다. 이후에는 광종대, 문종대, 인종대, 충숙왕대에 걸쳐 총 네 차례에 걸친 중수가 더 있었다.
화엄사에는 벽(壁)을 청석(靑石)으로 두른 전각이 있었고 이 청석에 화엄경이 조각되어 장육전(丈六殿, 부처의 키가 6척이었다는 설에서 유래한 이름)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 중인 선조 26년(1593년)에 불타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지금도 간혹 청석 조각을 볼 수 있는데 당나라 초기의 글씨체를 보인다고 한다. 벽암선사가 인조 8년(1630년)부터 14년(1636년)에 걸쳐 대웅전을 비롯한 일부 건물을 재건하였고, 재건 후에 선종대가람으로 승격되었다. 그외 대부분의 건물은 17세기에 건축된 것이다.
숙종 27년(1701년)에 화엄사 중건을 완성하고 선교 양종(禪敎兩宗)의 대가람(大伽藍)으로 하였다.
중요 건물은 대웅전 이외에 각황전(覺皇殿) · 보제루(普濟樓) · 명부전(冥府殿) · 원통전(圓通殿) · 영산전(靈山殿) · 응향각(凝香閣) · 적묵당(寂默堂) · 금강문(金剛門) · 천왕문(天王門) 등이 있다.
가람 배치[편집]
절 앞쪽에 1칸 1호의 일주문이 있어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라는 편액이, 다음에 금강역사 · 문수보살 · 보현보살의 상을 안치한 금강문이, 조금 서쪽에는 사천왕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이 있다.
화엄사가 일반적인 다른 사찰들과 차이점을 든다면, 보통 절이라면 탑이나 대웅전이 가장 큰 건물이기 마련인데, 이 화엄사는 각황전이 압도적으로 크다. 물론 각황전 역시 부처상이 있는 금당이긴 하지만. 아무튼 이러한 크기 차이 때문에 가람의 배치가 지나치게 비대칭적으로 변해 좀 이상해졌다. 게다가 각황전 앞의 석등과 그 아래의 서 오층석탑은 삐뚤게 배치되어 있고, 대웅전 앞 아래에 있는 동 오층석탑 역시 정 중앙에 있지를 않고 삐뚤게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하나 더 이상한 점은, 중문(사천왕문)을 지나 대웅전과 각황전을 가기 전에 거쳐야 하는 보제루를 여느 절과 달리 밑으로 못 지나가고 동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단한 의도가 숨어있다.
절의 방문자가 보제루를 오른쪽으로 멀리 돌게되면 각황전은 멀어지고 대웅전은 상대적으로 가깝다. 그렇게 되면, 원근감에 의해 각황전과 대웅전의 크기 차이가 많이 줄어든다! 또한 보제루를 돌아 삐뚤게 배치되어 있는 각황전과 대웅전, 탑과 석등 전부를 동시에 바라볼 수 있게 되면 그 순간 마치 일직선상에 놓인 것처럼 보인다. 서 오층석탑-석등-각황전이 일렬로 놓이고, 동 오층석탑과 대웅전이 일렬로 놓이게 되는 탁월한 시각적 배치를 보여준다.
딸린 암자[편집]
화엄사가 가장 융성했던 신라 경덕왕 때엔 화엄사에 81 암자가 딸려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 거의 없어지고 근세까지 10여 개의 암자만이 남았다가 한국 전쟁과 조선인민유격대 토벌 작전 탓에 그마저도 거의 퇴락해버렸다. 그래서 현재는 구층암, 금정암, 지장암 등 세 암자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중요 문화재[편집]
문화재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지금도 전하는 부속 건물들로서 이들은 모두 신라 시대에 속하는데 거의가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화엄사는 어느 사찰보다도 풍성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깨달은 황제가 산다는 뜻의 각황전(국보 제67호)이다. 조선 중후기인 숙종 때 지어진 건물이지만 숭유억불의 기조 속에서도 임금이 정사를 보던 근정전 다음 큰 규모로 지어진 법당이다. 본래 장육전이라는 건물이 소실된 곳에 복원하면서 숙종 임금이 현판을 <각황전>이라 사액해서 각황전으로 부른다.
각황전 앞에는 각황전 규모에 걸맞은 거대한 석등(국보 제12호)이 있다.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높이가 무려 6.4미터, 직경이 2.8미터에 달한다. 각황전 왼쪽 뒤로 돌아가면 탑전이 나온다. 이곳에 세워진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국보 제35호)은 이형탑 가운데 불국사 다보탑과 더불어 가장 완성도가 높은 탑으로 알려졌다. 사자 네 마리가 기단부를 대신해서 탑 전체를 받치고 있는 모양으로 안에는 연기조사의 출가한 어머니가 새겨져 있고 탑 건너편 석등 아래에는 효심 깊었던 연기조사가 무릎을 꿇은 채 차공양을 올리는 모양을 띠고 있다.
이 밖에도 화엄사에 소장되어 있는 영산회괘불탱도 국보 제301호로 지정되었으며,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는 동오층 석탑(보물 제132호), 서오층 석탑(보물 제133호), 대웅전(보물 제299호),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제 300호), 화엄석경(보물 제1040호), 서오층 석탑 사리장엄구(보물 제1348호), 대웅전 삼신불탱(보물 제1363호),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보물 제1548호) 등이 있다.
또한, 화엄사 올벚나무(천연기념물 제38호)와 부용영관 선사가 이 매화나무를 보고 시를 읊었다 해서 일명 부용매로 불리는 화엄사 매화나무(천연기념물 제485호)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국보[편집]
화엄사 각황전(국보 제67호),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국보 제35호)은 1962년에, 화엄사영산회괴불탱은 1997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 각황전
화엄사각황전(華嚴寺覺皇殿)은 국보 제67호이다. 석가모니 · 아미타불 · 약사불의 삼존불과 법화경의 사보살인 문수보살, 보현보살, 양왕보살, 관음보살의 상을 안치한 화엄사의 중심 법당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장육전의 자리에 숙종 25년(1699년)부터 28년(1702년)까지 새로 지었다. 법당을 지은 후 숙종이 각황전이라는 이름을 사액하였다. 각황전의 사액에는 거지가 숙종의 공주로 환생하여 시주하였다는 민간의 설화가 전한다. 하지만 숙종에겐 공주가 없었기 때문에 실재의 역사는 아니다.
조선시대 중기 및 후기를 대표할 수 있는 사찰 건물로, 규모에 있어서도 근정전 다음 가는 큰 건물이다. 정면 7칸, 측면 5칸의 조선시대 양식의 웅대한 중층불전으로, 내부에는 청판을 깔고 중앙의 5칸 3면에 기둥을 세웠다.
- 각황전 앞 석등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華嚴寺覺皇殿前石燈)은 국보 제12호이다. 각황전 바로 앞에 있으며 높이 6.4미터, 직경 2.8미터의 큰 석등이다. 기석(基石)은 8각, 간석(竿石)은 병 모양으로 중간에 띠를 둘렀고, 각 면에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현존하는 석등 가운데 가장 크며 신라 시대 불교 전성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이다.
- 사사자삼층석탑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은 국보 제35호이다. 높이 7.17미터. 하단의 각면에 3구씩 도합 12구의 천인상을 양각으로 표현했고, 상성기단의 네 구석에는 앉아 있는 암수사자를 기둥처럼 세우고 그 중앙에 서 있는 스님상을 두어 위의 무게를 받게 하였다. 탑신은 기단에 비해 비율이 작은 느낌이 드나 층급(層級, 받침)은 5단이고 조층에는 각 면마다 문비(門扉)의 문양이 새겨 있으며 그 양 옆에서 인왕상(仁王像)이 배치되어 섬세한 효과를 낸다. 착상이 기발하고 특이한 형식을 갖춘 점에서 불국사 다보탑과 쌍벽을 이룬다.
- 영산회괘불탱
화엄사영산회괘불탱(華嚴寺靈山會掛佛幀)은 국보 제301호이다. 가로 7.76 cm, 세로 11.95m에 이르는 거대한 화면에 석가모니불과 문수 · 보현 보살을 중심으로 사천왕과 십대제자, 2구의 분신불, 십장제불 등이 적절하게 배치된 군집도 형식이다.사천왕 가운데 2구는 상단에 나머지 2구는 하단에 그려 사방을 수호하는 것을 묘사하였다.
보물[편집]
- 동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은 보물 제132호이다. 높이 6.4미터, 대석(臺石) 1변의 길이 2.8미터이며, 대웅전 아래 광장에 동·서 두 탑이 서로 마주 섰는데, 동 오층석탑은 서 오층석탑에 비하면 기교가 없다.
- 서 오층석탑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은 보물 제133호이다. 높이 6미터이며, 2층 기단 위에 세워져 있는데 하단 4면에 각 3구의 십이지상을, 상단 각 면에는 사천왕·인왕 등의 상을 2구씩 각각 새겼다. 탑신은 비교적 좁고, 처마 끝이 나와 있는 것 등 웅건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 대웅전
구례 화엄사 대웅전은 보물 제299호이다. 건평 35평, 높이 35자의 목조 건물이다. 원래의 건물은 1597년(선조 30 : 정유재란 때)에 불타 버렸다. 현재의 건물은 1636년(인조 14)에 벽암선사가 중건한 것이다. 총 15칸· 5칸· 3칸의 단층으로 된 매우 드문 구조 양식의 건축물이다. 또 내부의 불화 및 돌층계 등도 특수하다.
- 원통전 앞 사자탑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은 보물 제300호이다. 높이 10.3자, 폭 6.3자이고, 재료는 화강암이다. 평방 4각형으로 아래에는 사천왕(四天王)을 조각하였으며, 가운데에는 4마리의 사자가 감로수(甘露水)를 받들고 있는 형상으로 되었다.
- 화엄석경
구례화엄사화엄석경은 보물 제1040호이다. 엷은 청색 돌에 화엄경을 새긴 것이다. 신라 문무왕 17년 의상대사가 화엄사에 경각을 세우고 비치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장육전이 소실되면서 함께 부서졌다. 지금은 약 9천여 개의 파편이 발견되어 보관 중이다. 비록 파편이기는 하나 신라 하대의 불교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물이다.
- 기타 보물
- 화엄사 서오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제1348호)
-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보물 제1363호)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보물 제1548호)
천연기념물[편집]
-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천연기념물 제38호
- 구례 화엄사 매화: 천연기념물 제485호
이용안내[편집]
- 연락처 : 061-783-7600(화엄사 종무소)
- 이용요금
- -개인
- 어른 4,000원 / 청소년·학생 2,000원 / 어린이 1,500원
- -단체(30인 이상)
- 어른 4,000원 / 청소년·학생 1,600원 / 어린이 1,200원
- 개방시간 : 연중무휴
교통안내[편집]
대중교통[편집]
- 시외버스
- 서울(남부터미널) → 구례 06:40(첫차) 22:00(막차) 2시간(배차시간) 3:10(소요시간)
- 남원 → 화엄사 07:00(첫차) 19:10(막차) 30분(배차시간) 1:00(소요시간)
- 광주 → 구례 06:15(첫차) 20:10(막차) 20분(배차시간) 1:30(소요시간)
- 여수 → 구례 06:05(첫차) 18:40(막차) 13회/1일(배차시간) 2:00(소요시간)
- 시내버스
- 구례 → 화엄사 06:40(첫차) 20:00(막차) 60분(배차시간) 0:15(소요시간)
- 구례 시외버스터미널 안내전화
- 061)780-2731
항공편[편집]
- 서울 → 광주 12회 50분
- 서울 → 여수 10회 50분
- 서울 → 진주 09회 60분
- 구례 시외버스터미널 안내전화
- 061)780-2731
자가용[편집]
- 서울방면
서울→ 대전→ 전주→남원, 춘향터널 지나 우측 순천행 19번 산업국도 →밤재터널→20.2km→ 구례IC에서 19번 국도로 진입하여 냉천 삼거리에서 좌회전(18번 국도)→ 3.5km→마광삼거리에서 직진 →2.1km→화엄사
- 부산방면
부산→ 남해고속도로 →120km → 하동 → 19번 국도 →12km→ 하동읍 →19번 국도 → 34.5km → 냉천 삼거리에서 우회전 →18번 국도→ 3.5km →마광삼거리에서 직진 →2.1km→화엄사
- 광주방면
광주 → 호남고속도로 → 곡성 → 9.5km→곡성읍→ 17번 국도 →15km → 압록 → 17번 국도 →8km→ 구례 구역 →18번 국도 → 5.5km → 구례IC에서 19번 국도로 진입하여 냉천 삼거리에서 좌회전(18번 국도) → 3.5km →마광삼거리에서 직진 →2.1km→화엄사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 화엄사 홈페이지 - http://hwaeomsa.or.kr/
- 〈화엄사〉, 《위키백과》
- 〈화엄사〉, 《나무위키》
- 〈관광명소 > 주요관광지 > 화엄사〉, 《구례여행》
- 〈화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 〈사적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국가문화유산포털》
- 권중서 조계종 전문포교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할 사찰 꽃으로 장엄된 부처님의 세계 구례 화엄사〉, 《불교신문》, 2021-09-01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