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용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경주용차''' | + | '''경주용차'''(racing car)는 차량을 이용해 경주하는 [[스포츠]]에서 쓰이는 [[자동차]]이다. '''레이싱카'''라고도 불린다. |
==개요== | ==개요== | ||
− | 경주용차는 1894년 6월 22일, 프랑스 일간지인 르 프티 주르날에서 개최한 최초의 자동차 경주에서부터 사용된 차량이다.<ref name="홈피1">〈[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8F%99%EC%B0%A8_%EA%B2%BD%EC%A3%BC 자동차 경주]〉, 《위키백과》</ref> 경주용차는 고속을 필요로 | + | 경주용차는 1894년 6월 22일, 프랑스 일간지인 르 프티 주르날에서 개최한 최초의 자동차 경주에서부터 사용된 차량이다.<ref name="홈피1">〈[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8F%99%EC%B0%A8_%EA%B2%BD%EC%A3%BC 자동차 경주]〉, 《위키백과》</ref> 경주용차는 고속을 필요로 하므로 자동차에 필수적인 장치로 양손을 핸들에 둔 상태에서 기어를 올리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가 구성되어 있고 차체가 가벼워서 가속력과 [[핸들링]], 제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ref>매거진한경,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20789c 스릴넘치는 스피드…꿈의 레이싱 카]〉, 《매거진한경》, 2006-10-27</ref> |
==역사== | ==역사== | ||
;국외 | ;국외 | ||
− | 경주용 차량의 급격한 변화는 1930년대 고급 자동차로부터 시작되었다. 612HP의 엔진을 가진 [[들라주]](Delage), [[아우디]](Audi),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들라이예]](Delahaye), 그리고 [[부가티]](Bugatti)와 같은 고급 자동차가 자동차 경주 대회에서 주류를 이루기 시작했으며 여러 개의 슈퍼차저가 장착되기도 했다. 1928년~1930년부터, 934년~1936년에 허용된 경주용 자동차의 최대 중량은 750kg이었다. | + | 경주용 차량의 급격한 변화는 1930년대 고급 자동차로부터 시작되었다. 612HP의 엔진을 가진 [[들라주]](Delage), [[아우디]](Audi),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들라이예]](Delahaye), 그리고 [[부가티]](Bugatti)와 같은 고급 자동차가 자동차 경주 대회에서 주류를 이루기 시작했으며 여러 개의 슈퍼차저가 장착되기도 했다. 1928년~1930년부터, 934년~1936년에 허용된 경주용 자동차의 최대 중량은 750kg이었다. 이후 알루미늄 합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차량의 중량이 가벼워졌고 메르세데스-벤츠는 차량 중량의 제한을 피하고자 페인트를 칠하지 않았는데, 이때 알루미늄 합금의 색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면서 유명한 실버 애로우 앰블런이 탄생하게 되었다. |
;국내 | ;국내 | ||
1982년에 서울 잠실에서 경주용차 16대가 참가하여 개최된 한국 자동차 경주대회였지만, 본격적인 자동차 경주 대회는 경주용차 18대가 참가한 1987년 진부령에서 용평까지를 주행하는 랠리 경주 대회가 최초였다. 이 대회에서 박권춘씨가 우승을 차지했고 1987년 영종도에서 포장도로 경주가 열리면서 자동차 경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로 발전한 [[GT 챔피언십]]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ref name="홈피1"></ref> | 1982년에 서울 잠실에서 경주용차 16대가 참가하여 개최된 한국 자동차 경주대회였지만, 본격적인 자동차 경주 대회는 경주용차 18대가 참가한 1987년 진부령에서 용평까지를 주행하는 랠리 경주 대회가 최초였다. 이 대회에서 박권춘씨가 우승을 차지했고 1987년 영종도에서 포장도로 경주가 열리면서 자동차 경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로 발전한 [[GT 챔피언십]]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ref name="홈피1"></ref> |
2021년 4월 26일 (월) 14:04 판
경주용차(racing car)는 차량을 이용해 경주하는 스포츠에서 쓰이는 자동차이다. 레이싱카라고도 불린다.
개요
경주용차는 1894년 6월 22일, 프랑스 일간지인 르 프티 주르날에서 개최한 최초의 자동차 경주에서부터 사용된 차량이다.[1] 경주용차는 고속을 필요로 하므로 자동차에 필수적인 장치로 양손을 핸들에 둔 상태에서 기어를 올리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가 구성되어 있고 차체가 가벼워서 가속력과 핸들링, 제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2]
역사
- 국외
경주용 차량의 급격한 변화는 1930년대 고급 자동차로부터 시작되었다. 612HP의 엔진을 가진 들라주(Delage), 아우디(Audi),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들라이예(Delahaye), 그리고 부가티(Bugatti)와 같은 고급 자동차가 자동차 경주 대회에서 주류를 이루기 시작했으며 여러 개의 슈퍼차저가 장착되기도 했다. 1928년~1930년부터, 934년~1936년에 허용된 경주용 자동차의 최대 중량은 750kg이었다. 이후 알루미늄 합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차량의 중량이 가벼워졌고 메르세데스-벤츠는 차량 중량의 제한을 피하고자 페인트를 칠하지 않았는데, 이때 알루미늄 합금의 색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면서 유명한 실버 애로우 앰블런이 탄생하게 되었다.
- 국내
1982년에 서울 잠실에서 경주용차 16대가 참가하여 개최된 한국 자동차 경주대회였지만, 본격적인 자동차 경주 대회는 경주용차 18대가 참가한 1987년 진부령에서 용평까지를 주행하는 랠리 경주 대회가 최초였다. 이 대회에서 박권춘씨가 우승을 차지했고 1987년 영종도에서 포장도로 경주가 열리면서 자동차 경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로 발전한 GT 챔피언십 대회가 열리기도 했다.[1]
특징
경주용차는 일반 도로가 아닌 서킷을 주행하며 엔진 회전수가 허용범위를 넘어선 상태로 지속되면 안된다고 하는 일종의 경고 표시인 타코미터 레드존까지 최대 출력을 끄집어 낼 수 있다. 또한 경주용차는 협소한 토크 밴드를 가지고 있어, 그 근방에서 표시가 머물러야 제대로 된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일반적인 차량과 달리, 코너에서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항상 최대한의 출력이 필요하다. 피스톤과 크랭크 축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에 C자 모양으로 끼어진 베어링은 맞물리는 부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이싱카 엔진은 1만 5000rpm까지 돌아가며 일이 순환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대로 식어버리기 때문에 남아 있는 오일이 눌어붙어 회전 저항을 일으키고, 나아가 완전히 붙어버릴 경우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경주용카의 베어링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대처해야 하기에 철, 알루미늄, 구리 등등의 소재가 겹쳐있다. 또한 흡/배기 밸브를 여닫을 때 필요한 밸브 스프링도 스프링 방식을 포기하고, 더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는 공기 압력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기술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체를 압축하며, 표면의 형상에 따라 폭발 화염의 모양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는 피스톤은 고온, 고압, 충격을 견뎌야한다. 한 개의 피스톤이 감당해야 할 폭발 충격은 거의 톤 단위에 해당하지만 늘어나는 피스톤의 무게는 자동차 경주에서 치명적이다. 따라서 경주용차의 경우 고회전에 유리하도록 피스톤의 두께를 얇게 만들고 내열성과 강도를 위해 비싸고 다루기 어려운 합금을 사용한다. 커넥팅 로드 역시 가볍고 열변형이 적고 강도가 높은 티타늄을 사용한다. 경주용차는 대부분 전용 오일을 사용하는데 레이스 환경에 적합하도록 배합된 오일로, 경주용차 오일의 경우 300도 이상의 고열에서도 윤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오일, 냉각수, 연료까지도 시동을 걸기 직전에 미리 기온에 맞게 데워서 주입한다. 더불어 시동을 끄면 전량 회수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오일과 냉각수로 교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3]
종류
포뮬러카
포뮬러카는 국제 자동차 연맹(FIA)에서 지정한 공식 또는 규격에 맞게 제작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오직 한 개의 시트만 허용되며, 휠과 타이어가 차체 밖으로 드러나 있어 특유의 독특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외관 덕분에 포뮬러카는 싱글시터 혹은 오픈 휠 레이스카라고 불리기도 한다. 포뮬러카를 사용하여 진행하는 경기를 F1, F2, F3, F4로 부르고 있으며, 이 외에도 포뮬러 르노(Renault), 포뮬러 포드(FORD), 포뮬러 비엠더블유(BMW) 등 엔트리레벨의 포뮬러카 시리즈도 존재한다. 더불어 포뮬러카와 생김새가 비슷한 인디카도 싱글시터와 오픈 휠을 가지고 있다. 인디카도 포뮬러카로 분류되지만 명칭이 다른 이유는 포뮬러카가 유럽의 구분법에 해당하고, 인디카는 미국의 구분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디카는 아메리칸 오픈 휠 레이싱이라고 불리지만 제작 규정이나 경기 방식은 F1과 상이하다.[4]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뮬러카의 모양도 바뀌어 왔지만 대체로 미드십 엔진, 후륜구동, 푸시로드, 풀로드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앞과 뒤의 공기역학장치와 같은 공통 특성을 보이고 있다. 엔진의 흡기구는 공기 흡입구의 안쪽 지름을 제한하는 리스트릭터 기능을 하기 위함으로 콕핏 뒤 드라이버 머리 뒤편 위에 뚫려 있는 형태가 다수지만 포뮬러 3처럼 옆으로 따로 튀어나와 있는 형태도 있다. 엔진이나 기타 기계부의 냉각은 좌우에 있는 사이드포드 안에 라디에이터를 비스듬히 놓고 공기를 통과시켜 식히는 방식이 널리 쓰인다. 또한 콕핏 앞쪽으로는 노즈가 길게 뻗어나와 있는데, 이는 앞쪽 휠 차축과 서스펜션, 브레이크 회로를 장착하기 위해서지만 여기에 앞쪽 윙을 달아서 공기역학적 이득을 얻고, 콕핏 앞쪽의 노즈 내부 공간을 이용해서 드라이버는 발을 길게 뻗은 자세로 콕핏에 앉게 된다. 이렇게 하면 드라이버의 자세가 많아 낮아져서 차량 전체의 높이도 크게 낮게 만들어 공기 저항을 줄이고 무게중심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5]
투어링카
양산차를 개조해 만든 레이스카인 투어링카는 그랜드 투어링카(GT, Grand Tourer)와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둘 다 양산차를 개조하여 만든다는 유사점이 있지만 투어링카는 패밀리 세단, 해치백처럼 평범한 자동차를 개조한다는 것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랜드 투어링카는 투어링카에 그랜드가 붙어있는 만큼 장거리 여행에도 어울리는 럭셔리 스포츠카를 바탕으로 개조한 것을 GT레이스카라고 부른다. 그랜드 투어링카는 엔진 배기량부터 공기역학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마련된 국제 자동차 연맹 규정이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포르쉐(Porsche)911, 페라리(Ferrari)488, 람보르기니(Lamborghini) 우라칸, 쉐보레(Chevrolet) 콜벳, 애스턴마틴(Aston Martin) 밴티지 등이 그랜드 투어링카에 해당한다.[4] 투어링카의 현존하는 클래스로는 클래스 1, TCN-1, TCN-2 등이 있다.
- 클래스1 : 1993년 클래스 2와 동시에 등장한 클래스로 현존하는 양산차 클래스 중 속도가 가장 빠르다. 4도어 차량이 가능했고, 개조 범위가 넓었지만 이러한 특징 때문에 참여한 회사는 알파로메오(Alfa Romeo Automobiles S.p.A.), 메르세데스-벤츠, 오펠(Opel Automobile GmbH) 3사에 불과하였으며, 국제 대회에서는 2년동안만 운영되었다. 2014년, DTM이 일본과 손잡으면서 통일규격을 제정하였고 2도아 모델을 기반으로 한 클래스 1 규격이 부활했다. 2.0L 직렬 4기통 터보 엔진을 탑재했고 엔진을 앞에 두는 후륜구동과 엔진을 운전석 뒤에 두는 후륜구동을 모두 허용하였으며 변속기는 패들 시프트를 활용한 6단 시퀀셜 기어를 사용했다. 클래스1 규격을 사용하는 대회는 2021년 슈퍼 GT만 사용한다.
- TCN-1 : 2011년에 도입되어 차세대 투어링카라고도 불리는 클래스이다. 영국 TOCA가 자국 대회인 BTCC에서 사용했던 슈퍼 2000 규격의 가격이 높게 측정되자 제정하였으며, 과거엔 스칸디나비아 대회에서도 쓰였으나 2013년부터는 BTCC에만 등장한다. 2014년 TCN-2와 함께 국제 자동차 연맹 공인을 받았으며, TCN-1이라는 이름도 이 때 지어졌다. 300마력 이상, 2L 직접 분사 터보 엔진을 사용. 전륜구동과 후륜구동 모두 허용하고 차량 모델은 2도어~5도어 모델이 가능하나 2도어~3도어 모델을 사용하려면 동일 명칭을 쓰는 4도어~5도어 모델이 있어야 한다.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도 TCN-1 차량을 생산하여 팀에 판매하지민 유럽에만 사용되는 클래스이다 보니 유럽 출시 모델을 기반으로 출전한다.
- TCN-2 : TCR라고도 불리며 2014년에 제정된 사실상 국제 표준이다. 2.0L 350PS 터보차지 엔진을 쓰며, 4도어~5도어 모델만 허용하고 최소 무게는 드라이버 포함 1250kg 혹은 1285kg이고 최소 길이 4.20m, 최대 폭 1.95m다. 랩타임은 GT4보다 조금 느리고 전륜구동만 허용한다. 국제 자동차 월드 투어링 카 컵부터 TCR 아시아 시리즈, TCR 유럽 시리즈, 24시 시리즈, 뉘르부르크링 24시 등이며 그랜드 투어러에 GT3가 있으면 투어링 카엔 TCN-2가 있다.[6]
랠리카
랠리카는 모래나 흙 위를 달리기 때문에 오프로드를 달리는 경주용차이기도 하지만 모든 랠리카가 오프로드를 달리는 것은 아니다. 랠리카의 종류에 따라 온로드를 달리는 경주용차가 있는데 이것을 월드 랠리카라고 부른다. 월드 랠리카는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 출전하는 랠리카로 일정량 이상 생산된 투어링카나 그보다 작은 슈퍼미니 클래스 해치백을 기준으로 랠리에 맞게 개조된 차량을 의미한다. 월드 랠리 챔피언십에 출전하는 월드 렐리카는 비포장도로를 주로 달리게 되지만, 엄연히 도로를 달리고 오프로드 자체가 길이 아닌 곳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월드 랠리 챔피언십은 온로드 랠리라고 말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랠리 레이드카는 픽업트럭, SUV, 트랙터 등을 개조하여 오프로드를 달리는 것으로, 대표적인 랠리 레이드카 경기는 다카르 랠리가 있으며, 이곳에서 랠리 레이드카들은 길이 없는 곳에서 스스로 길을 찾아 경주해야 하는 험난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4] 현대자동차㈜의 현대모터스포츠가 직접 개발한 i20 랠리카는 국제 자동차 연맹 월드 랠리 챔피언 규정에 맞춰서 제작되었다. 소형차 i20의 모습이 남아 있지만 차체를 제외하고 모든 부분이 새로 제작되었고 엔진은 현대모터스포츠가 개발한 1.6리터 직분사 터보엔진을 얹어 380마력 45.8kg.m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사륜구동 방식을 사용하고 시퀀셜 방식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6단 수동변속기를 사용한다. 공차중량은 1,190kg에 스티어링은 유압식 랙 앤 피니언 방식을 채용했으며,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 브레이크는 브렘보 디스크 브레이크 4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하며 타이어는 노면상태에 따라 4종류를 사용한다.[7]
스톡카
본래 스톡카의 의미는 자동차 회사가 보유한 재고 차량이지만, 자동차 경주에서는 일반 도로는 다닐 수 없는 오직 레이스만을 위해 제작된 차체에 외관만 서로 다르게 씌운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스톡카 레이스 경기로 미국의 나스카, 호주의 V8 슈퍼카 레이스 시리즈가 있다. 우리나라의 씨제이㈜(CJ) 슈퍼레이스 최상위 종목인 캐딜락(Cadillac) 6000 클래스도 스톡카 레이스 경기에 속한다. 특히 캐딜락 6000 클래스는 한국타이어 앤 테크놀로지(Hankook Tire & Technology)에서 후원하는 아틀라스 BX팀이 최근 원투 피니시를 기록하며 선전하고 있다. 스톡카도 포뮬러카처럼 정해진 규정에 따라 차체와 엔진을 제작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보디워크라 불리는 부분이 상이하다. 사실상 이 보디워크도 카울은 동일하고 차량 색상과 스폰서 로고만 다른 경우가 많다는 점이 스톡카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4] 스톡카는 촉매나 소음기가없어 레이서가 출발전 가속페달 밟을 때 나는 배기음은 땅이 울릴정도로 크고 웅장하다. CADILLAC 6000 클래스의 스톡카는 제너럴모터스(GM) 쉐보레 콜벳에 들어가는 엔진인 LS3-6.2L V8 8기통 6200cc이고 최고 출력은 436마력, 최대토크는 428lbft, 580Nm이며 최고 엔진 회전수 7,000rpm이다. 연료통에는 최대 80리터가 들어가며, 최대 3리터로 제한된 보조연료탱크를 추가할 수 있다. 슈퍼레이스는 모든 팀에 동일한 스펙의 엔진이 얹혀 있으며 원메이크이기 때문에 모든 팀이 같은 차로 경주를 한다. J5 서스펜션 스톡카에 장착되며 조정성이 뛰어나고 세팅을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더블위시본 방식을 앞 뒤 모두 사용한다. 더블위시본 방식은 경주용차에 많이 쓰이며, F1 포뮬러 레이싱카와 같은 구조다. 브레이크는 영국의 알콘제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하며 스톡카의 브레이크는 기계식이다. 또한 경주용차 내외부에서 모두 작동시킬 수 있는 소화 시스템으로, CADILLAC 6000 클래스 스톡카에는 2015시즌부터 라크로가 제작한 소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용량은 4리터. 경주차 엔진과 실내등 미리 지정한 6곳에 분사된다. 일반 물을 사용하는 소방차에 비해 오일 류로 인한 화재에 월등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8]
각주
- ↑ 1.0 1.1 〈자동차 경주〉, 《위키백과》
- ↑ 매거진한경, 〈스릴넘치는 스피드…꿈의 레이싱 카〉, 《매거진한경》, 2006-10-27
-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카레이싱 번외편! 양산차와 레이싱카의 엔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7-05-15
- ↑ 4.0 4.1 4.2 4.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복잡한 레이스카의 종류, 어떻게 구분될까?〉, 《네이버 블로그》, 2018-09-28
- ↑ 〈포뮬러 카〉, 《내위키》
- ↑ 〈투어링 카〉, 《나무위키》
- ↑ 이창호 기자, 〈현대차의 i20 랠리카는 어떤차?〉, 《모토야》, 2018-11-01
- ↑ 고라고, 〈Stockcar 스톡카란?〉, 《네이버 블로그》, 2018-06-19
참고자료
- 〈자동차 경주〉, 《위키백과》
- 매거진한경, 〈스릴넘치는 스피드…꿈의 레이싱 카〉, 《매거진한경》, 2006-10-27
- 한국타이어 앤 테크놀로지, 〈카레이싱 번외편! 양산차와 레이싱카의 엔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7-05-15
- 한국타이어 앤 테크놀로지, 〈복잡한 레이스카의 종류, 어떻게 구분될까?〉, 《네이버 블로그》, 2018-09-28
- 〈포뮬러 카〉, 《내위키》
- 〈투어링 카〉, 《나무위키》
- 이창호 기자, 〈현대차의 i20 랠리카는 어떤차?〉, 《모토야》, 2018-11-01
- 고라고, 〈Stockcar 스톡카란?〉, 《네이버 블로그》, 2018-06-19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