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경찰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경찰차'''(Police Car, 警察車)는 경찰이 원활하게 업무 수행을 위해 제작된 긴급자동차로, '''순찰차'''로도 불린다. ==구조== 경찰...)
 
1번째 줄: 1번째 줄:
 
'''경찰차'''(Police  Car, 警察車)는 [[경찰]]이 원활하게 업무 수행을 위해 제작된 [[긴급자동차]]로, '''[[순찰차]]'''로도 불린다.
 
'''경찰차'''(Police  Car, 警察車)는 [[경찰]]이 원활하게 업무 수행을 위해 제작된 [[긴급자동차]]로, '''[[순찰차]]'''로도 불린다.
 +
 +
==역사==
 +
1945년 10월 21일, 광복 후 2개월 만에 우리나라에서 경무구기 창설되었다. 전쟁의 여파가 있던 창설 초기에는 군용 느낌이 물씬 풍기는 [[지프]]를 경찰차로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난 후, 날카로운 느낌의 [[승용차]]를 사용 중이다. 1950년부터 1960년대 중반, 처음 경찰의 발이 되어준 차량은 미군이 사용하던 지프였다. 광복 직후 전쟁의 여파가 남아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군용 느낌이 나기도 했다. 일반적인 승용차와 차별화를 두기 위한 목적으로 [[차체]]가 전부 하얀색으로 칠해졌다. 1960년 중반부터 1980년 초반에는 1867년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에서 제조한 [[코티나]]가 경찰차로 사용되었다. 승용차가 경찰차로 사용되기 시작한 때로, 지붕 가운데에 붉은색 경광등과 두 개의 작은 보조등이 추가되었으며 전체적인 디자인은 미국의 1969년 하이웨이 경찰차와 비슷한 모습이다. 과거와 다르게, 검은색을 사용하여 좀 더 무섭고 단호한 느낌을 주었다. 1980년부터 2000년 대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파란색 경찰차가 등장한다. 이때부터 경찰차는 파란색을 사용하여 어둡고 무서운 이미지를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경광등도 지금의 경광등과 비슷한 모양이며 현대자동차㈜의 [[스텔라]]와 [[쏘나타]], [[대우자동차㈜]](Daewoo)의 [[에스페로]]와 [[누비라]] 등 다양한 차종이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현대자동차㈜의 쏘나타와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의 [[캐피탈]]로 차종이 변경되며 점차, 서치라이트, 무전기 등 다양한 장비가 추가되었다. 2006년에는 경찰 창설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했다. 밤에도 눈에 잘 띄도록 파란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경찰가 등장하였다. 이는 순찰 임무와 단속 권한을 가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주로 [[아반떼]], 쏘나타 등 국산 [[중형차]]가 많이 이용되며 [[준중형차]], [[중형차]], SUV, [[승합차]] 등 다양한 경찰차가 쓰이고 있다. [[경차]]의 경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100대 정도 투입되었지만, 내구성 등의 문제로 2011년부터 도입되지 않고 있다.2018년에는 스마트 경찰차가 개발되어 충격 완화 특수 [[범퍼]], 리프트 경광등, 후방 물체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었다. 또한 야간에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서치라이트 기능이 포함된 멀티캠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에는 순찰차 신속 배치 시스템, 범죄자의 차량 이동 경로를 미리 예측하는 수배차 검색 시스템 등이 포함되었다.<ref>정비공, 〈[https://cafe.naver.com/gongimnara0/225 60년 역사의 경찰차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8-10-04</ref>
 +
 +
==특징==
 +
국내에서 사용하는 경찰차는 1,600cc와 2,000cc 자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사륜구동]] [[SUV]]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암행순찰을 위해 일반 차량과 같은 외관에 경찰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경찰차도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순찰용 경찰차의 외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바로 색깔이다. 과거에는 청색과 흰색으로 도색했지만, 2005년부터는 노란색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순찰임무와 단속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며 더불어 야간 작업 시 눈에 잘 띄는 효과도 있다. 경찰차 상단에는 [[LED]] 경광등과 서치라이트가 있는데 경광등에는 POLICE가 표시되고 서치라이트는 좌우로 조절이 가능하다. 일부 관할에서는 스마트 멀티캠이 추가된 스마트 순찰차를 시범 운행하고 있다. 서치라이트 기능은 물론 적외선 카메라 일체형으로 개발되었고 여기에 차량번호인식 기능을 탑재해 주간/야간 및 [[고속]] [[주행]]시에도 실시간으로 수배차량 알람이 가능하다. 경찰차의 앞좌석에는 임무 수행에 도움을 주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112 순찰차 신속배치시스템(IDS)와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테블릿 등이 있고 경광등과 사이렌을 제어하는 장치들도 배치되어 있다. 앞좌석과 뒷좌석 차이에는 차단막이 있다. 경찰관을 공격할 수 있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경찰차의 뒷좌석은 애나멜 소재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각종 오염물을 쉽게 청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주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도어 [[핸들]]을 없애고 [[창문]]도 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ref>금호타이어㈜, 〈[https://blog.kumhotire.co.kr/997 시민의 곁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 경찰차의 특징과 기능]〉, 《금호타이어㈜ 공식 블로그》, 2017-05-24</ref>
  
 
==구조==
 
==구조==
 
경찰차는 무전기 및 대시보드 [[컴퓨터]]가 장착된 경찰 차량이다. 전파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장치인 안테나와 응급 상황으로 차량이 출동 중임을 알리는 조명 막대인 경고등, 경찰에게 체포된 사람이 앉는 뒷좌석을 앞좌석과 분리해 주는 보안 가리개인 칸막이가 있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이 떠 있도록 돕기 위해 던져주는 부표 재질의 고리인 구명부표, 구급 처치를 하는 데 필요한 반창고, 약품 및 기구 등의 물품이 들어있는 상자인 구급상자, 약물 사용자가 쓰고 버린 주사기를 모아두는 용기인 사용된 주사기용기가 있다. 더불어 [[자동차]]가 고장나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한 곳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꽃 신호 또는 조명 장치인 조명탄, 사고 또는 범죄 현장을 표시하는 테이프인 바리케이드 테이프, 압력이 가해질 때 방출되는 액체, 파우더 또는 [[가스]]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휴대용 장치인 [[소화기]], 경고등이 차단되었을 때 경찰차 [[트렁크]]를 열면 작동되는 예비 신호 장치인 안전등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976&cid=49089&categoryId=49089 순찰차]〉, 《네이버 지식백과》</ref>     
 
경찰차는 무전기 및 대시보드 [[컴퓨터]]가 장착된 경찰 차량이다. 전파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장치인 안테나와 응급 상황으로 차량이 출동 중임을 알리는 조명 막대인 경고등, 경찰에게 체포된 사람이 앉는 뒷좌석을 앞좌석과 분리해 주는 보안 가리개인 칸막이가 있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이 떠 있도록 돕기 위해 던져주는 부표 재질의 고리인 구명부표, 구급 처치를 하는 데 필요한 반창고, 약품 및 기구 등의 물품이 들어있는 상자인 구급상자, 약물 사용자가 쓰고 버린 주사기를 모아두는 용기인 사용된 주사기용기가 있다. 더불어 [[자동차]]가 고장나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한 곳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꽃 신호 또는 조명 장치인 조명탄, 사고 또는 범죄 현장을 표시하는 테이프인 바리케이드 테이프, 압력이 가해질 때 방출되는 액체, 파우더 또는 [[가스]]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휴대용 장치인 [[소화기]], 경고등이 차단되었을 때 경찰차 [[트렁크]]를 열면 작동되는 예비 신호 장치인 안전등이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976&cid=49089&categoryId=49089 순찰차]〉, 《네이버 지식백과》</ref>     
 +
 +
==종류==
 +
* '''112 순찰차''' : 경찰차 중 가장 많은 차종은 1,600cc급 소형 [[SM3]]와 [[쉐보레 라세티]]다.<ref>대한민국 경찰청, 〈[https://polinlove.tistory.com/3003 경찰차의 종류, 모두 알려드립니다.]〉, 《티스토리》, 2011-09-26</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 정비공, 〈[https://cafe.naver.com/gongimnara0/225 60년 역사의 경찰차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8-10-04
 +
* 금호타이어㈜, 〈[https://blog.kumhotire.co.kr/997 시민의 곁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 경찰차의 특징과 기능]〉, 《금호타이어㈜ 공식 블로그》, 2017-05-24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976&cid=49089&categoryId=49089 순찰차]〉,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976&cid=49089&categoryId=49089 순찰차]〉, 《네이버 지식백과》
 +
* 대한민국 경찰청, 〈[https://polinlove.tistory.com/3003 경찰차의 종류, 모두 알려드립니다.]〉, 《티스토리》, 2011-09-26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21년 6월 28일 (월) 10:33 판

경찰차(Police Car, 警察車)는 경찰이 원활하게 업무 수행을 위해 제작된 긴급자동차로, 순찰차로도 불린다.

역사

1945년 10월 21일, 광복 후 2개월 만에 우리나라에서 경무구기 창설되었다. 전쟁의 여파가 있던 창설 초기에는 군용 느낌이 물씬 풍기는 지프를 경찰차로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난 후, 날카로운 느낌의 승용차를 사용 중이다. 1950년부터 1960년대 중반, 처음 경찰의 발이 되어준 차량은 미군이 사용하던 지프였다. 광복 직후 전쟁의 여파가 남아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군용 느낌이 나기도 했다. 일반적인 승용차와 차별화를 두기 위한 목적으로 차체가 전부 하얀색으로 칠해졌다. 1960년 중반부터 1980년 초반에는 1867년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에서 제조한 코티나가 경찰차로 사용되었다. 승용차가 경찰차로 사용되기 시작한 때로, 지붕 가운데에 붉은색 경광등과 두 개의 작은 보조등이 추가되었으며 전체적인 디자인은 미국의 1969년 하이웨이 경찰차와 비슷한 모습이다. 과거와 다르게, 검은색을 사용하여 좀 더 무섭고 단호한 느낌을 주었다. 1980년부터 2000년 대에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파란색 경찰차가 등장한다. 이때부터 경찰차는 파란색을 사용하여 어둡고 무서운 이미지를 벗어났다고 할 수 있다. 경광등도 지금의 경광등과 비슷한 모양이며 현대자동차㈜의 스텔라쏘나타, 대우자동차㈜(Daewoo)의 에스페로누비라 등 다양한 차종이 사용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현대자동차㈜의 쏘나타와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의 캐피탈로 차종이 변경되며 점차, 서치라이트, 무전기 등 다양한 장비가 추가되었다. 2006년에는 경찰 창설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했다. 밤에도 눈에 잘 띄도록 파란색과 노란색을 사용한 경찰가 등장하였다. 이는 순찰 임무와 단속 권한을 가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주로 아반떼, 쏘나타 등 국산 중형차가 많이 이용되며 준중형차, 중형차, SUV, 승합차 등 다양한 경찰차가 쓰이고 있다. 경차의 경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100대 정도 투입되었지만, 내구성 등의 문제로 2011년부터 도입되지 않고 있다.2018년에는 스마트 경찰차가 개발되어 충격 완화 특수 범퍼, 리프트 경광등, 후방 물체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되었다. 또한 야간에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서치라이트 기능이 포함된 멀티캠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에는 순찰차 신속 배치 시스템, 범죄자의 차량 이동 경로를 미리 예측하는 수배차 검색 시스템 등이 포함되었다.[1]

특징

국내에서 사용하는 경찰차는 1,600cc와 2,000cc 자동차가 사용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사륜구동 SUV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암행순찰을 위해 일반 차량과 같은 외관에 경찰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경찰차도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순찰용 경찰차의 외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바로 색깔이다. 과거에는 청색과 흰색으로 도색했지만, 2005년부터는 노란색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순찰임무와 단속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며 더불어 야간 작업 시 눈에 잘 띄는 효과도 있다. 경찰차 상단에는 LED 경광등과 서치라이트가 있는데 경광등에는 POLICE가 표시되고 서치라이트는 좌우로 조절이 가능하다. 일부 관할에서는 스마트 멀티캠이 추가된 스마트 순찰차를 시범 운행하고 있다. 서치라이트 기능은 물론 적외선 카메라 일체형으로 개발되었고 여기에 차량번호인식 기능을 탑재해 주간/야간 및 고속 주행시에도 실시간으로 수배차량 알람이 가능하다. 경찰차의 앞좌석에는 임무 수행에 도움을 주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112 순찰차 신속배치시스템(IDS)와 네비게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테블릿 등이 있고 경광등과 사이렌을 제어하는 장치들도 배치되어 있다. 앞좌석과 뒷좌석 차이에는 차단막이 있다. 경찰관을 공격할 수 있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경찰차의 뒷좌석은 애나멜 소재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각종 오염물을 쉽게 청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탈주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도어 핸들을 없애고 창문도 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2]

구조

경찰차는 무전기 및 대시보드 컴퓨터가 장착된 경찰 차량이다. 전파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장치인 안테나와 응급 상황으로 차량이 출동 중임을 알리는 조명 막대인 경고등, 경찰에게 체포된 사람이 앉는 뒷좌석을 앞좌석과 분리해 주는 보안 가리개인 칸막이가 있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이 떠 있도록 돕기 위해 던져주는 부표 재질의 고리인 구명부표, 구급 처치를 하는 데 필요한 반창고, 약품 및 기구 등의 물품이 들어있는 상자인 구급상자, 약물 사용자가 쓰고 버린 주사기를 모아두는 용기인 사용된 주사기용기가 있다. 더불어 자동차가 고장나거나, 교통사고가 발생한 곳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꽃 신호 또는 조명 장치인 조명탄, 사고 또는 범죄 현장을 표시하는 테이프인 바리케이드 테이프, 압력이 가해질 때 방출되는 액체, 파우더 또는 가스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휴대용 장치인 소화기, 경고등이 차단되었을 때 경찰차 트렁크를 열면 작동되는 예비 신호 장치인 안전등이 있다.[3]

종류

각주

  1. 정비공, 〈60년 역사의 경찰차는 어떻게 변해왔을까?〉, 《네이버 블로그》, 2018-10-04
  2. 금호타이어㈜, 〈시민의 곁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 경찰차의 특징과 기능〉, 《금호타이어㈜ 공식 블로그》, 2017-05-24
  3. 순찰차〉, 《네이버 지식백과》
  4. 대한민국 경찰청, 〈경찰차의 종류, 모두 알려드립니다.〉, 《티스토리》, 2011-09-26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경찰차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