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저우시 (허베이성)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c/c3/%ED%97%88%EB%B2%A0%EC%9D%B4%EC%84%B1_%EC%9C%84%EC%B9%98.png/300px-%ED%97%88%EB%B2%A0%EC%9D%B4%EC%84%B1_%EC%9C%84%EC%B9%98.png)
창저우시(중국어: 滄州市 cāng zhōu shì)는 중국 허베이성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3][4]
개요
창저우시의 면적은 14,383.46㎢이며 인구는 7,300,783명(2020년)이다. 남쪽으로 산둥성(山东省)과 이웃하고 있으며 성회 스자좡시石家庄市, 석가장시)로부터 240㎞ 거리에 있다.
시 인민 정부는 윈허구(运河区, 운하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윈허구(运河区, 운하구), 신화구(新华区)의 2개 시할구(市辖区)와 보터우시(泊头市, 박두시), 런추시(任丘市, 임구시), 황화시(黄骅市), 허젠시(河间市, 하간시)의 4개 현급시, 창현(沧县), 칭현(青县, 청현), 둥광현(东光县, 동광현), 하이싱현(海兴县, 해흥현), 옌산현(盐山县, 염산현), 쑤닝현(肃宁县, 수녕현), 난피현(南皮县, 남피현), 우차오현(吴桥县, 오교현), 셴현(献县, 헌현), 멍춘후이족자치현(孟村回族自治县, 맹촌회족자치현)의 10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적으로 창저우는 '해상 실크로드'의 북방 출발지로 알려져 있다. 창저우에서 비롯되거나 전승된 무술 종류와 무기 체계는 52종에 달하며, 이는 중국 전역의 129종 무술 중 약 40%를 차지한다. 창저우는 중국 무술의 발상지 중 하나로, 국가에서 지정한 최초의 '무술의 고향'이며, 중국 무술계에서도 공인된 '무술 제1의 고향'이다.
창저우 우차오(吴桥)는 중국 곡예 기술의 발상지로, '천하 곡예 제일의 고향' 및 '세계 곡예 예술의 요람'으로 국내외에서 명성을 얻고 있다. 또한, 창저우 경내의 첸퉁진(千童镇)은 진나라 시절 '첸퉁성(千童城)'으로 불렸으며, 진시황이 불로장생 약을 구하기 위해 서복(徐福)을 보내어 천 명의 동남 동녀와 장인들을 동원하여 이곳에서 훈련시키고 동쪽으로 떠난 출발지로도 유명하다.
창저우는 베이징-항저우 대운하가 가장 길게 지나가는 도시로, 운하 전체의 8분의 1을 차지한다. 황화항(黄骅港)은 중국 20대 국제적 유명 항구 중 하나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석탄 수출 항구이기도 하다.[5] [6] [7]
자연환경
창저우시는 광활한 허베이 중부 평원 동부에 위치하며, 지형은 매우 평탄하고 기복이 적다. 해발고도는 최고 17m, 최저 2m이다. 지세는 서남쪽에서 북동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서부는 타이항산(太行山) 산전의 충적선 가장자리에 속하고, 중부는 황하(黄河), 장하(漳河), 호타하(滹沱河), 탕하(唐河) 등 하천의 충적 작용으로 형성된 평야이다. 동부는 보하이(渤海) 조석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해안 퇴적 평야이다.
창저우는 하이허(海河) 유역에 속하며, 다수의 하천이 흘러 '구하하(九河下梢)'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상류에서 세 개의 주요 수계가 창저우로 흘러들며, 동서남북을 관통하고 교차한다. 20개 이상의 하천이 9개 지점에서 바다로 흐르며, 다수의 습지와 거대한 갈대밭이 있다. 이는 200여 종의 철새들이 이동 중 머무는 주요 서식지로, 생태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총 면적 366㎢인 바이양뎬(白洋淀)은 하류 출구가 창저우시 관할의 런추(任丘)시에 있으며, 저수지는 다칭허(大清河)를 통해 톈진으로 연결된다. 이곳은 수체(水体)를 중심으로 한 북방 수향(水乡) 관광 및 휴양 명소이다.
창저우는 위도와 지형의 영향을 받아 온난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사계절이 뚜렷하며, 일조량이 풍부하다. 봄에는 건조하고 바람이 많으며, 여름에는 덥고 비가 많이 내린다. 가을은 서늘하고 맑으며, 겨울은 춥고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12.5℃, 연평균 강수량은 581mm이다. 연간 활동 적산 온도는 4,785℃이며, 무상기간은 181일이다. 강수량과 기온은 계절적 분포가 뚜렷하고,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크다.
창저우시 경내에는 37과 137종의 야생 식물이 있으며, 주요 식물군으로는 속새과, 대마과, 백합과, 마디풀과, 명아주과, 쇠비름과, 장미과, 콩과 등이 있다. 경작지는 1,064.8만 묘, 초지는 60만 묘로 허베이성의 주요 곡물, 면화, 과일 및 수산물 생산지이다. 또한, 베이징과 톈진에 무공해 채소를 주로 공급하며, 중국 북방의 유명한 고품질 사료와 축산 생산 기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창저우의 주요 농작물로는 밀, 옥수수, 조, 콩류, 면화, 땅콩 등이 있다. 습지 내에는 47과 113속에 속하는 150여 종의 습지 야생 식물이 분포하며, 산림 자원은 33과 51속 72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창저우는 농작물 및 과수 중심의 식물 자원이 총 470종에 이르며, '오리배의 고장'과 '금실대추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창저우시 경내에는 12강 73과에 속하는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주요 동물군으로는 포유강, 조강, 곤충강, 어강 등이 있다. 가축 및 가금류를 포함한 동물 자원은 480여 종으로, 노새, 말, 소, 당나귀, 돼지, 양, 닭, 토끼 등이 널리 사육된다. 창현의 '보하이 당나귀(渤海驴)'는 국가에서 우수 품종으로 지정한 바 있다. 또한 창현과 칭현은 국가에서 선정한 염소 가죽 생산 기지로 이름이 높다.
습지 내에는 여우, 담비, 풀토끼 등의 포유류와 도마뱀, 뱀 등의 파충류, 금선개구리, 중국산두꺼비, 흑반개구리 등 10여 종의 양서류가 있다. 야생 조류는 270여 종으로, 16목 50여 과에 속하며, 이 중 27종은 중국 멸종위기 동물 홍색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주요 조류로는 황부리백로, 동방백관, 두루미, 진단압작 등이 있다.
국가 1급 보호 조류로는 백관, 흑관, 금조, 백견조, 두루미, 백두루미, 대부엉이, 중화추사오리, 독수리 등 9종이 있으며, 국가 2급 보호 조류로는 큰고니, 작은고니, 원앙, 반부리사다새, 흰눈두루미, 송골매, 수리부엉이, 회두요, 백미랑 등 40종이 있다. 허베이성 중점 보호 조류로는 대백로, 백로, 중백로, 흑부리갈매기, 백두박새, 흑날개장다리, 흑황올빼미, 북찌르레기 등 17종이 있다.
창저우시의 광물 자원은 비교적 적으며, 발견된 광물은 총 8종으로 나뉜다. 에너지 광물로는 석탄(층층가스), 석유(천연가스 포함), 지열 등이 있으며, 수기 광물로는 지하수(염수, 농축수), 광천수가 있다. 비금속 광물로는 조개껍질 모래, 응회암, 벽돌·타일용 점토 등이 있다.
역사
전한 시기 헝수이 동부와 함께 제후국인 하간국에 속했는데, 기원전 165년 그 계보가 끊기자 분할되어 기주 휘하의 발해군이 설치되었다. 발해군의 치소는 현 시가지에서 동남쪽으로 10km 떨어진 부양현이었는데, 후한 시기 서남쪽 30km 지점의 남피 (현 남피현)으로 옮겨졌다. 삼국지의 원소가 이곳 발해군을 거점으로 세력을 길러 기주를 장악하기도 하였다. 위진남북조 시기 북위의 태무제 때에 창수군으로 개칭되었고, 효문제는 그 북부를 따로 떼어 부양군을 신설하였다. 수나라에 들어 옛 발해군 지역에 체주(棣州)가 설치되었고, 606년 현 지명인 창주(滄州)으로 개칭되었다.
이때부터 부양현은 창현으로 불렸고, 송대까지 창주의 치소로 번영하였다. 9세기 말엽에는 의창군 절도사 노언위가 일대를 기반으로 자립하였다가 이극용에게 토벌당하기도 하였다. 후주 시기인 953년에는 일대의 랜드마크인 창저우 철사자가 세워졌다. 원나라 때에는 하간로에 속했고, 명나라의 하간부로 이어졌다. 14세기 들어 무슬림들이 정착, 현재까지도 다수의 후이족이 거주하고 있다. 청나라 때에는 북쪽 천진부에 속했으며, 중화민국기의 진해도와 국공내전기 창현전구를 거쳐 1983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한편 북쪽 20km 칭현에서는 중일전쟁 당시 국민당과 공산당의 지원 하에 칭현 반일 민주 정부가 세워져 지속적인 게릴라 전을 이어나가기도 하였다.
산업
창저우시 경내에는 화베이(华北) 및 다강(大港) 두 대형 유전이 있으며, 확인된 석유 매장량은 15억 톤, 천연가스 매장량은 282억 입방미터에 달한다. 개발 잠재력이 매우 크며, 창저우는 전국 4대 염 생산 기지 중 하나로, 염전 면적이 45만 묘, 연간 생산량은 200만 톤에 이른다. 창저우의 긴 해안선은 해양 어업 및 해수 양식업의 기반을 제공하며, 해양 생물은 1,000여 종에 달한다. 대표적인 해산물로는 생선, 새우, 게, 조개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 창저우는 '해상 실크로드'의 북방 출발지로, 황화항을 통해 북방의 중요한 항구 도시로 자리 잡았다. 황화항은 중국의 20대 국제 유명 항구 중 하나이며, 현급시에 위치한 유일한 항구이다.
2023년 창저우의 지역 국내총생산(GDP)은 4,440.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1차 산업은 372.4억 위안으로 1.7% 성장했으며, 2차 산업은 1,686.9억 위안으로 6.0%, 3차 산업은 2,380.8억 위안으로 6.2% 성장했다.
교통
창저우는 베이징의 남쪽, 보하이만 연안에 위치해있다. 창저우에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연결하는 징후 철도가 놓여있다. 스창 고속도로는 창저우와 스자좡을 연결하고 징스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베이징으로 통한다. 징주 고속도로는 중국 남부와 홍콩, 마카오까지 연결한다. 창저우에는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과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과 같은 주요 공항이 가깝게 위치해있다.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 ↑ 〈창저우시 (허베이성)〉, 《위키백과》
- ↑ 〈창저우시(허베이성)〉, 《나무위키》
- ↑ 〈허베이성〉, 《위키백과》
- ↑ 〈허베이성〉, 《나무위키》
- ↑ 〈두산백과: 창저우〉, 《네이버 지식백과》
- ↑ 〈중국행정구획총람: 창저우시〉, 《네이버 지식백과》
- ↑ 〈沧州市〉, 《百度百科》
참고자료
- 〈창저우시 (허베이성)〉, 《위키백과》
- 〈창저우시(허베이성)〉, 《나무위키》
- 〈허베이성〉, 《위키백과》
- 〈허베이성〉, 《나무위키》
- 〈두산백과: 창저우〉, 《네이버 지식백과》
- 〈중국행정구획총람: 창저우시〉, 《네이버 지식백과》
- 〈沧州市〉, 《百度百科》
같이 보기
동아시아 같이 보기
|
|
|
|
|
|
|
이 창저우시 (허베이성)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