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청천벽력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천벽력(晴天霹靂)은 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날벼락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일어난 큰 변고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개요

청천벽력은 전도 채널이 뇌우로부터 수평으로 20km 이상 확장되어 지면에 닿지 않는 공중방전현상을 말한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는 의미로, 갑작스런 돌발 상황으로 인해 해를 입는다는 의미다. 영어로는 Thunderclap이라고 한다. 사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 칠 확률은 의외로 낮지 않다. 실제로 전체 낙뢰의 6%가량이 마른하늘에 떨어지는 벼락으로, 대한민국만 해도 2014년에 11일이나 마른하늘에 날벼락이 친 기록이 있다. 올바른 발음은 비음화가 적용된 '청천병녁'인데, 이로 인해 간혹 표기법을 '청천병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에 '천청벽력'으로 혼동하는 사례도 존재한다.[1][2]

상세

청천벽력은 맑은 하늘에 벼락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약동함을 비유하거나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이나 이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 靑 : 푸를 청
  • 天 : 하늘 천
  • 霹 : 벼락 벽
  • 靂 : 벼락 력

남송(南宋)의 시인 육유(陸游)는 금(金)나라가 남침했을 때 이민족에 대해 끝까지 대항하여 싸울 것을 주장한 철저한 항전주의자였다. 65세 때에 향리에 은퇴하여 농촌에 묻혀 지내면서 많은 시를 지었다. 약 1만 수(首)에 달하는 시를 남겨 중국 시 사상 최다작의 시인으로 꼽히며, 당시풍(唐詩風)의 강렬한 서정을 부흥시킨 점이 최대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청천벽력(靑天霹靂)'이란 말은 육유의 《검남시고(劍南詩稿)》〈9월4일 계미명기작(九月四日鷄未鳴起作)〉에 나온다. 다음은 오언절구(五言絶句)의 끝 구절이다.

방옹이 병으로 가을을 지내고(放翁病過秋) 홀연히 일어나 취하여 글을 쓰니(忽起作醉墨) 정히 오래 움츠렸던 용과 같이(正如久蟄龍) 푸른 하늘에 벼락을 치네(靑天飛霹靂)

방옹은 육유의 호(號)이다. 이 시의 시간적 배경은 가을이 끝나갈 무렵인 음력 9월이다. 여름에서 늦가을까지 병마에 허덕인 육유는 어느 날 병을 이겨낸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마치 술에 취하듯 흥겹게 붓을 놀리려 하지만 여전히 몸은 말을 듣지 않는 것이 이 시의 분위기이다. 이 시에서 '용(龍)'은 시인 자신을 비유하며, 그 기세는 하늘로 올라갈 때 치는 우레와 같다.

육유는 자신의 뛰어난 필치(筆致)를 가리켜 '푸른 하늘에 벽력을 날린 듯하다'고 표현했다. 이 시에서의 '청천벽력'은 붓놀림의 웅혼함을 비유하고 있다. 오늘날 이 말은 '청천 하늘에 날벼락'이라는 말처럼 '뜻밖의 큰 변'을 비유하여 쓰인다.[3]

유래 및 용례

청천벽력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가리킨다. 예기치 못한 큰 사고거나 청천의 뇌명(雷鳴)이라는 뜻으로, 筆勢(필세)의 飛動(비동)함의 형용을 말한다. 또 뜻밖에 생기는 일이거나 변(變)을 말한다. 남송(南宋)의 시인 육유(陸遊)는 자신의 뛰어난 筆致(필치)를 가리켜 "푸른 하늘에 霹靂(벽력)을 날리듯 한다고 했다." 육유의 시 중에서 유명한 차두봉(釵斗鳳)을 보면 붉고 보드라운 손, 누런 황등주 성 가득히 만연한 봄날, 궁벽의 버드나무 짓궂은 동풍에 기쁜 마음은 어디론가 흩어져 사라지고 한번 수심에 젖은 후 어언 몇 해나 떨어져 있었던가? 아, 잘못이어라 잘못이어라 잘못이어라 봄은 예나 같으나 사람만이 홀로 야위어 연지 바른 얼굴을 붉은 눈물로 적시네. 도화꽃은 떨어지고 못가의 누각도 한가로운데 굳게 맹세한다 한들 비단에 쓴 글 전하기 어려우니 아, 끝이로구나 끝이로구나 끝이로구나. 초년 시절 헤어진 아내 唐宛(당완)과의 이별을 슬퍼하는 시이다. 과연 푸른 하늘에 벽력을 날리듯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청천벽력도 유분수지'라는 말이 있다.[4]

동영상

각주

  1. 청천벽력〉, 《지구과학사전》
  2. 청천벽력〉, 《나무위키》
  3. 청천벽력〉, 《두산백과》
  4. 청천벽력〉,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청천벽력 문서는 날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