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도둑눈

위키원
(도둑 눈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둑눈은 밤사이에 사람들이 모르게 내린 을 말한다.

개요[편집]

도둑눈은 밤에 사람이 모르는 사이에 내린 눈을 말한다. 눈 내리는 시간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전날은 멀쩡하게 갠 날씨였는데 자고 일어나 보니 세상이 하얗게 변해 있을 때, 사람들은 잠시 기분 좋게 속은 느낌이 든다. 도둑눈은 실제 그 말을 쓰는 상황이나 감정에 비추어보면 반어적인 이름이라 할 수 있다. "간밤 잠든 사이에 함박눈이 소복이 쌓였다"는 흔히 쓰는 말이다. 그러나 이는 바른 표현으로 보기 어렵다. 함박눈은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인데, 쌓인 눈만 보고서 내린 눈의 양상을 알 수는 없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에 자리한 대한민국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그럼에도 눈의 이름들을 제대로 아는 이들이 별로 없다. 고작 아는 것이 함박눈뿐이다.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적은 탓이다. 그러다 보니 '흰 눈이 내린다'는, 조금은 우스운 표현도 많이 쓴다. 눈은 원래 하얗다. 검은 눈, 파란 눈, 노란 눈은 없다. 세계 어디든 하얀 눈만 내린다. 그것을 굳이 흰 눈이 온다고 쓸 까닭은 없다. 이 또한 눈의 다양한 이름들을 모르는 탓이다.

예를 들어 잠든 사이에 집을 슬쩍 다녀간 낯선 사람, 그는 도둑일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밤사이 사람들이 모르게 내린 눈"은 '도둑눈(도적눈)'이다. 밤에 내렸으니 '밤눈'이라 할 수도 있다. 그렇게 밤새 내려 "누구도 밟지 않고 내린 상태 그대로 쌓여 있는 깨끗한 눈"은 '숫눈'이다. 숫총각·숫처녀처럼 '숫'은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의 뜻을 더한다. 숫눈은 '생눈'이라고도 하며, 숫눈이나 생눈이 "쌓이고 다져져서 잘 녹지 않는 눈"은 '쇠눈'이다. 어느 날 나는 분명 눈을 맞았는데, 옆 동네 친구는 보지 못한 눈도 있다. 그런 눈은 '풋눈'이다. 풋사과·풋사랑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풋'은 "덜 익은"의 뜻을 더한다.

눈 중에는 와 닮은 것도 있다.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비"가 '소나기'이니, 그렇게 내리는 눈은 '소나기눈(소낙눈)'이다. 가늘게 조금 내리는 '가랑비'가 있으니 '가랑눈'도 있다. 눈이 내린 양에 따라 자국눈(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발등눈(발등이 빠질 정도로 내린 눈), 길눈(한 길이 될 만큼 쌓인 눈)으로 나뉘기도 한다. 눈 이름 같지 않은 눈도 있다. 말 속에 '비'가 들어가 있는 진눈깨비 역시 "비가 섞여 내리는 눈"이고, '싸라기'는 "쌀알 같은 눈"이다. '싸라기'를 '싸래기'로 쓰는 일도 흔한데, 바른 표기가 아니다.[1][2]

[편집]

눈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로 내리는 것을 말한다. 대한민국은 주로 겨울철에 눈이 내린다.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11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는 눈이 온다. 4월에도 2016년을 제외하면 전국 어딘가에 한 번쯤은 눈이 내리는 편이다. 특히 강원도 산지 쪽에는 적설이 쌓이기도 하며 2020년에는 서울에서 4월 22일에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늦은 눈이 내렸다. 이후 2021년 5월 2일, 강원 산지쪽에는 5월에 봄 폭설이 내렸다. 대관령은 1.6cm, 홍천 구룡령은 18.5cm, 그리고 설악산 고지대는 무려 20cm를 넘겨버렸다.

종전 기록은 1911년 4월 19일. 이때는 적설될 정도였다. 강원도는 심하면 5월 초까지 오기도 한다. 이상 저온이 아닌 이상 서울은 5월부터 반팔을 입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이미 4월 하순부터 반팔을 많이 입고, 어린이날 이후에는 여름이나 다름없는 대구는 말할 것도 없다. 또한, 2010년 4월 28일에 전국 여러 곳에서 눈이 내렸다.

그래서 대관령은 이르면 10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래서 전방으로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군대에서 통념상 겨울이 아닌 특정 날짜에 눈이 오는 것을 두고) 화이트 식목일, 어린이날, 개천절, 할로윈, 추석 등으로 빗대기도 한다. 특이하게 부산은 눈이 잘 안 내리지만 2, 3월 늦겨울에 자주 온다. 부울경은 눈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라 겨울에 다른 지역에 다 눈내려도 이 지역만큼은 비가 오기는 하지만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이렇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지역인 부산과 창원에서 2023년 11월 18일에 첫 눈이 내린 것이 관측된 것을 포함해 부울경 곳곳에서 첫눈이 내렸고; 이는 두 지역에서 평년보다 각각 35일, 39일 빠른 첫 눈이었으며, 심지어 이 두 지역의 관측소에서는 역사상 최초로 11월 중순에 적설량이 관측되었다.

어형

'눈'은 장음으로 /눈ː/이라고 길게 발음한다. 신체의 일부인 '눈'은 단음이다. 단, 긴 모음과 짧은 모음을 구분하는 발음체계를 가진 사람들도 첫 음절 이하에는 긴 모음이 소실돼 짧은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현재 표준어 규정에서는 긴 모음은 첫 음절에서만 가능하도록 규정했다. 따라서 합성어에 '눈'이 두 번째 음절 이하에 들어간 경우, '눈' 부분을 /눈ː/이라고 읽지 못하고 짧게 /눈/으로만 발음하는 게 원칙이다. 예컨대 '첫눈'은 처음 내리는 snow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예: 첫눈이 내리다)와 첫 인상이라는 뜻(예: 첫눈에 반하다)으로 사용할 때가 나뉘는데, 표준어 규정상 둘의 발음은 둘 다 그냥 /천눈/이다.

눈을 크게 뭉쳐서 사람 형태로 만든 것을 눈사람, 눈을 이용해 던지고 피하는 놀이가 눈싸움이라 한다.

다음은 눈에 관련된 우리말 단어들이다. 국어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된 단어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 가랑눈: 조금씩 잘게 내리는 눈. 한자어로는 세설(細雪).
  • 가루눈: 가루 모양으로 내리는 눈. 기온이 낮고 수증기가 적을 때 내린다.
  • 길눈: 한 길이 될 만큼 많이 쌓인 눈. 한 길이 2.4m 정도이니 폭설을 의미한다.
  • 눈갈기: 말갈기처럼 흩날리는 눈보라.
  • 눈꽃: 나뭇가지 따위에 꽃이 핀 것처럼 얹힌 눈.
  • 눈바람: 눈과 함께, 또는 눈 위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 눈보라: 바람에 휘몰아쳐 날리는 눈. 눈바람과 유사한 단어이지만, 눈바람은 '바람'에 초점을 맞춘 반면 눈보라는 '눈'에 초점을 맞춘 단어다.
  • 눈석임: 쌓인 눈이 속으로 녹아 스러짐. 이렇게 녹아서 흐르는 물은 눈석임물이라고 한다.
  • 눈송이: 굵게 엉기어 꽃송이처럼 내리는 눈.
  • 도둑눈: 밤사이에 사람들이 모르게 내린 눈. 동의어로 도적눈이 있다.
  • 떡눈: 물기가 있어서 척척 붙는 눈송이.
  • 마른눈: 비가 섞이지 않고 내리는 눈.
  • 발등눈: 발등까지 빠질 정도로 비교적 많이 내린 눈.
  • 복눈: 복을 가져다주는 눈이라는 뜻으로, 겨울에 많이 내리는 눈을 이르는 말.
  • 봄눈: 봄철에 오는 눈.
  • 소나기눈: 갑자기 세차게 쏟아지다가 곧 그치는 눈.
  • 숫눈: 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
  • 싸라기눈: 빗방울이 갑자기 찬 바람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쌀알 같은 눈을 말한다. 준말은 싸락눈. 참고로 '눈싸라기'는 싸라기눈의 잘못이며 비표준어다.
  • 자국눈: 겨우 발자국이 날 만큼 적게 내린 눈.
  • 잣눈: 많이 내려 아주 높이 쌓인 눈을 의미한다. 한자어로는 척설(尺雪).
  • 진눈깨비: 비가 섞여 내리는 눈.
  • 첫눈: 그해 겨울에 처음으로 내리는 눈.
  • 포슬눈: 가늘고 성기게 내리는 눈.
  • 풋눈: 초겨울에 들어서 조금 내린 눈.
  • 함박눈: 굵고 탐스럽게 내리는 눈.

강설량

대한민국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울릉군을 제외하면 영동에 많이 내린다. 영남은 눈이 잘 안 오기로 유명한데, 이 때문에 부산, 울산 같은 영남권 대도시들은 다른 곳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 1~2cm의 적설량도 도로가 마비될 정도로 아주 난리가 난다. 부산의 도로가 그렇게 좋지는 않은 편이기도 하고 평소에 눈이 거의 오질 않다 보니 제설과 관련해 시민들도 크게 신경을 안 쓰고 해당 관청에서도 다른 곳으로 예산을 돌리기 때문이다. 부산만 봐도 눈이 도심지역에 1일 이상 유지된 적은 2011년이 마지막이다. 당연히 부산에도 거의 매년 눈은 내린다. 다만 내리고 나서 유지되는 시간이 평균 10-20분으로 짧을 뿐이다.[3]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도둑눈〉,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
  2. 엄민용 기자, 〈당신이 잠든 사이엔 '도둑눈'이 내린다〉, 《경향신문》, 2021-12-13
  3. 눈(날씨)〉,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도둑눈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