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대만해협

위키원
(타이완해협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만해협 군함사진
대만해협 위치
대만해협 지도

대만해협(Taiwan Strait, 간체자: 台湾海峡, 정체자: 臺灣海峽, tái wān hǎi xiá) 또는 타이완해협대만(중화민국령)과 중국 대륙(중화인민공화국령) 사이에 있는 폭 180km의 해협이다. 가장 좁은 곳의 너비는 131km이다. 해협 내에는 대만 영토에 속하는 펑후제도 등 작은 들이 분포하고 있다. 국공내전 이후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군사적 대치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 바로 이 해협 사이의 정치적 관계를 양안관계(중국어: 兩岸關係, liǎng àn guān xì)라고 한다. 이 해협은 자연 해자로서 양측의 상징적인 군사분계선 역할을 하게 되었다.[1]

개요[편집]

대만해협은 중국 대륙과 대만섬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서, 동중국해남중국해의 경계이기도 하다. 대만해협은 길이 약 400km, 너비 150∼200km이다. 대만 부근의 펑후제도(澎湖)와 대만 사이는 펑후수도(水道)라고 부른다. 해협의 깊이는 대부분 50m 안팎인데 북쪽보다 남쪽이 깊다. 한류와 난류가 흐르기 때문에 예로부터 선박의 항행이 어려웠다. 조류는 주로 무역풍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또한 부근은 태풍의 발생지이기도 하여 폭풍이 잦다. 연평균 풍속은 초속 6.8m이다. 1949년 국부천대로 중화민국(대만)이 대만섬으로 정부를 옮겨 분단 이후에도 중화민국 국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만해협에 위치한 여러 들을 두고 산발적인 교전을 펼쳤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섬이 중국의 실효 지배이지만 인민해방군의 침공을 받지 않은 펑후 제도를 비롯해서 진먼현, 롄장현 등 대만이 영유하고 있는 섬들도 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양안 간의 경제적, 인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통로가 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제3차 세계 대전이 터질 주요 후보지들 중 하나로 긴장이 높다. 대만에서 민주진보당 등 대만 독립운동 세력이 집권할 때마다 중국은 이 지역에서 군함을 운항하거나 군사훈련을 벌이는 등 군사적 위협을 가하고 있으며 반대로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 항모 전단이나 전함을 대만해협으로 보내기도 하는 등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는 곳이다.[2][3]

양안 해저터널[편집]

중국은 대만해협에 고속도로 및 고속철도 해저 터널을 놓는 구상을 하고 있다. 징타이고속공로나 징타이고속철로는 현재 베이징과 푸저우시를 잇는 고속공로, 고속철도 노선이지만 징타이(京台)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명목상으로는 베이징과 타이베이시를 잇는 노선인데, 중국의 계획으로는 이 고속철도와 고속공로를 연장해 대만 해협을 건너 푸저우와 신주시를 해저 터널로 잇는다는 꽤 구체적인 구상을 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시달리는 대만 정부는 대만해협 해저 터널에 대해 꽤나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정치적 문제 말고도 100km가 넘는 대만해협을 횡단해야만 하므로 해협을 사이에 둔 두 지역 간의 기후차와 기상조건 차이 문제, 높은 공사비용, 높은 공사 난이도가 겹쳐 가까운 시일 내에 해저 터널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낮다.

대만해협을 건너 중국과 대만 사이를 연결하는 해저터널은 135km로 예정되어 있어서 개통되면 전 세계 최장거리 해저터널이 된다. 구간은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 핑탄현의 (푸핑철도)핑탄역에서 대만 신주현까지이다. 고속철도 전용 터널로, 중국철로고속의 고속열차가 다닐 예정이다. 별도의 고속도로 해저터널 계획도 존재하나(징타이고속공로) 이쪽은 철도터널 계획에 비해 진척이 더디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논리에 따라 대만과의 무조건적인 양안통일을 추구한다. 양안통일의 사전정지 작업을 위해 대만까지 해저터널을 뚫겠다는 계획을 2000년대 초반부터 대놓고 공공연히 해저터널 추진을 내세웠다. 물론 대만에서는 터널 계획에 대해 국민당-민진당 관계 없이 상당히 부정적이다.[4]

대만해협 위기[편집]

대만해협 위기

9·3포격전(중국어: 九三炮戰 →구삼 포전) 혹은 제1차 대만해협 위기(영어: First Taiwan Strait Crisis, Formosa Crisis, the 1954–1955 Taiwan Strait Crisis, the Offshore Islands Crisis, 1955 Taiwan Strait Crisis)는 1954년에 일어난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 포격전이다. 중국은 미국과 중화민국 간 방어조약 체결 논의가 본격화되자, 진먼 섬에 포격을 가했다. 당시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은 장제스에게 진먼 섬과 마쭈 섬 포기를 권유했지만 거부당했다. 장제스는 결사적으로 양도를 반대했다. 결국 그해 12월 미국은 중화민국과 공동방어조약을 체결하며 군사적 지원을 약속했다.[5]

제2차 대만해협 위기(영어: Second Taiwan Strait Crisis) 또는 진먼 포격전(영어: 1958 Taiwan Strait Crisis)은 1958년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진먼 섬(중국어 정체자: 金門)에 주둔하고 있던 중화민국 국군에 대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포격을 가한 전투이다. 중국에서는 진먼포전 (중국어 간체자: 金门砲战), 중화민국에서는 8.23포전 (중국어 정체자: 八二三砲戰)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8월 23일부터 10월 5일까지 47만발에 달하는 포탄을 퍼부었으나, 중화민국 육군 진먼방위사령부(金門防衛指揮部) 사령관이었던 후리엔(胡璉)은 미국 해군의 해상수송 지원을 받으며 진먼 섬을 사수하고 8인치 유탄포로 샤먼의 중국 인민해방군에 반격을 가했다. 그 후, 공격의 횟수가 점차 줄어들다가 1979년 1월 1일 미·중 국교 정상화 이후 포격전이 멈췄다.[6]

1995년부터 1996년 초까지 벌어진 중화민국(대만)-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군사 충돌 위기. 1954년의 제1차 대만해협 위기, 1958년의 제2차 대만해협 위기에 이어 제3차 대만해협 위기, 혹은 1996년 대만 해협 위기라고 불린다. 중화민국 총통 리덩후이는 1993년 이후 지속적으로 실용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었다. 그는 지속적으로 휴가나 골프 등을 명목으로 세계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외교관계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고, 이는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의 부진과 중화민국의 경제가 호황이었던 것과 맞물려 좋은 효과를 낳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1992년 중화민국에 F-16 전투기 150대 판매를 승인하고, 1994년부터 클린턴 행정부는 중화민국에 호의적인 정책들을 펴는 것으로 화답했다. 반대로 하나의 중국을 주창하는 중국은 당연히 리덩후이 총통이 이뻐 보일 리가 없었다. 그러는 도중 1996년 3월 23일에 치러질 중화민국 최초의 직선제 총통 선거가 다가오고 있었고, 여기엔 리덩후이 총통 자신도 출마할 예정이었다. 선거가 점점 다가오며 1996년 2월까지 푸젠 성에는 12만 명의 인민해방군이 재배치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3월 12일부터 20일까지 군사훈련이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3월 8일부터 15일까지 해상봉쇄로 대만을 압박하기 위해 중화민국 영해 내인 가오슝 항의 4~60㎞거리에 미사일을 발사했다. 미국은 이에 대항해 3월 8일 제7함대의 제5항모전대(항공모함 USS 인디펜던스 기함)과 강습상륙함 벨라우드를 중화민국 인근으로 재배치했고, 다시 3월 11일에 제7항모전대(USS 니미츠 기함)를 페르시아 만에서 중화민국 인근으로 집결시켰다. 결과적으로 3월 23일, 대선은 리덩후이가 54%의 표를 획득하여 민진당 펑밍민(彭明敏)의 21%보다 30%p 이상 득표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렇게 리덩후이와 국민당의 압승으로 선거가 끝나자 정말로 전쟁을 원하는 건 아니었던 양측의 분위기도 자연스레 가라앉았고, 푸젠 성으로 재배치된 인민해방군은 원 주둔지로 하나둘씩 복귀하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과의 군사력 격차를 뼈저리게 느끼며 군비 증강에 박차를 가했다. 1996년 12월에 중화인민공화국은 러시아에서 킬로급 잠수함과 Su-30MK 100대를 구입했고 그 후로도 첨단 무기를 도입하며 현재의 강군을 만들게 되었다.[7]

대만해협 지도[편집]

대만해협 주변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타이완 해협〉, 《위키백과》
  2. 대만해협〉, 《나무위키》
  3. 타이완해협〉, 《네이버 지식백과》
  4. 양안 해저터널〉, 《나무위키》
  5. 9·3 포격전〉, 《위키백과》
  6. 진먼 포격전〉, 《위키백과》
  7.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대만해협 문서는 세계의 바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