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창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3/30/%EC%9C%88%EB%82%9C%EC%84%B1_%EC%9C%84%EC%B9%98.png/300px-%EC%9C%88%EB%82%9C%EC%84%B1_%EC%9C%84%EC%B9%98.png)
린창시(중국어: 临沧市 lín cāng shì)는 중국 윈난성 서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린창시의 면적은 23,620.72km²이며 인구는 2,257,991명(2020)이다. 란창강(澜沧江) 강변에 임하여 지명이 유래된 도시로 북회귀선(北回归线)이 횡으로 남부를 지나고 있으며 동부는 푸얼시(普洱市, 보이시), 북부는 다리 바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 대리백족자치주), 서쪽으로 바오산시(保山市, 보산시), 서남쪽은 미얀마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린샹구(临翔区, 임상구) 펑샹가도(凤翔街道, 봉상가도)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린샹구(临翔区, 임상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와 펑칭현(凤庆县, 봉경현), 윈현(云县, 운현), 융더현(永德县, 영덕현)의 4개 현, 솽장라후족와족부랑족다이족자치현(双江拉祜族佤族布朗族傣族自治县, 쌍강랍호족와족포랑족태족자치현), 겅마다이족와족자치현(耿马傣族佤族自治县, 경마태족와족자치현), 창위안와족자치현(沧源佤族自治县, 창원와족자치현)의 3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족, 다이족, 부랑족 등 2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린창시(临沧市, 임창시)는 중국 와문화(佤文化)의 중심지로 경내에는 35만의 와족(佤族)이 있으며 이는 전국 와족의 2/3 이상으로 창위안와족자치현(沧源佤族自治县, 창원와족자치현)은 와족(佤族)의 최대 집거지이다.
린창시는 와족(佤族) 문화의 발상지 중 하나로, "중국 10대 녹색 도시", "중국 항춘지(恒春之都)", "중국 최고의 거주 적합 도시" 등의 명예를 얻었다. 또한, "남방 비단길"과 "서남 실차고도(丝茶古道)"의 중요한 거점이며, 세계 차나무의 주요 기원지이자 재배 기원지, "세계 홍차의 도시", "천하의 차 창고"로도 불린다.[3][4][5]
자연환경[편집]
린창시는 태평양과 인도양 대수계의 지리적 분수선에 위치하며, 저위도 고원 산지 몬순 기후를 가진다. 사계절 기온 차가 작고, 겨울은 춥지 않으며 여름은 덥지 않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며, 강우량이 많고 입체적인 기후가 두드러진다. 연평균 기온은 18.8℃, 연평균 일조 시간은 2,158시간이며, 연평균 봄날은 319일, 여름날은 46일로 겨울이 없다. 12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의 평균 최저 기온은 약 20℃에 이르며, 여름철 평균 최고 기온은 약 21℃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9mm이고, 연평균 상대습도는 73%에 달한다.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로, 남서풍의 영향을 받으며, 벵골만의 따뜻하고 습한 남서 기류에 의해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린다. 6월에서 8월 사이에는 집중호우와 폭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 기간의 강수량은 연간 강수량의 80% 이상, 강우일수는 연간 강우일수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린창시는 인도양판과 유라시아판 충돌대의 동쪽에 위치하며, 란창강과 난팅허(南汀河) 등의 깊은 단층대와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복잡한 지질 구조와 독특한 지리적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린창 단위는 초기 페름기까지 곤드와나 대륙의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다가 분리되어 북쪽으로 이동해 쓰마오-인도차이나 블록의 서쪽 가장자리에 도달한 미소 블록에 속한다.
린창시는 칭장고원(青藏高原) 서남부 헝돤산맥 남단의 중산 협곡지대에 위치하며, 지형은 주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산맥으로는 라오비에산(老别山)과 방마산(邦马山)이 있으며, 시내 지형은 중부가 높고 주변부가 낮으며,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주요 산봉우리 외에도 해발 2,500~2,800m에 이르는 산이 18개 있으며, 모두 란창강과 누강 두 대수계 사이에 위치해 있다.
린창시 최고점은 해발 3,429m의 융더대설산(永德大雪山)이며, 최저점은 해발 450m의 몽딩칭수이허(孟定清水河)로, 고도 차이는 2,979m에 이른다.
린창시는 헝돤산맥이 형성한 협곡 지형으로, 윈난 서남부 중산 폭곡 아구에 속한다. 주요 지형으로는 침식 퇴적 산간 분지, 심한 침식 중산 협곡, 협소한 중산 협곡, 중산 카르스트 지형, 침식 중산 등이 있다.
린창시는 서남 삼강(西南三江) 광물화 대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이 복잡하고 고산과 협곡이 함께 분포하여 독특한 광물화 지질 조건을 갖추고 있다. 지하 자원은 광물 종류가 다양하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2024년 9월 기준, 시 전역에서 탐사된 철, 납, 아연, 게르마늄, 고령토 등의 광물은 윈난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린창시에서는 총 42종의 광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중국에서 발견된 172종 광물의 24%에 해당한다. 이 중 에너지 광물은 2종, 금속 광물은 15종, 수기(水气) 광물은 1종이다. 게르마늄 자원량은 윈난성 내에서 두 번째로 많고, 고령토 자원량은 윈난성에서 첫 번째로 많다.
린창시의 주요 광물 자원은 게르마늄, 석탄, 납, 아연, 철, 금, 은, 망간, 고령토, 규조토, 희토류 등 11개 유형으로, 30종 이상의 광물이 포함된다. 특히 석탄, 구리, 납, 아연, 대리석, 철, 고령토, 규조토, 우라늄, 게르마늄, 희토류의 매장량이 많다.
린창시는 식물 자원이 풍부하며, 자연 식생의 수직 분포가 뚜렷하다. 열대, 아열대, 온대 세 가지 유형의 식물이 분포하며, 교목은 89과, 426속, 3,700여 종에 이른다. 국가 보호 대상인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로는 소철, 민둥측백나무, 윈난석자(滇石梓) 등 40여 종이 있다. 꽃 자원도 풍부하여, 유명한 꽃이 79종에 달하며, 난초 품종만 100종 이상으로 세계 난초 품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약용 식물 자원은 1,620종에 이르며, 약용 식물 중 허자(诃子)의 생산량은 중국 내에서 가장 많다. 고대 차밭은 321곳, 면적은 12.83만 묘에 이르며, 고대 차나무는 11,408그루가 있다. 야생 차림은 33만 묘를 넘으며, 주요 분포 지점은 35곳이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쌍강(双江) 몽쿠(勐库) 지역의 1.2만 묘 야생 고대 차나무 군락과 융더(永德) 대설산(大雪山)의 10.05만 묘 야생 고대 차나무 군락이다.
린창시에는 척추동물 야생동물 869종이 분포하며, 이 중 포유류는 121종, 조류는 413종, 양서·파충류는 90여 종, 어류는 85종, 곤충은 20목 213과 4,231종이 있다. 국가 중점 보호 야생동물은 총 162종으로, 아시아 코끼리, 녹공작, 서흑관 긴팔원숭이, 천산갑, 관반코뿔새 등이 포함된다. 이 중 국가 1급 중점 보호 야생동물은 35종, 2급 중점 보호 야생동물은 127종이다.
2023년 4월 기준, 린창시의 자연보호지 체계는 자연보호구와 자연공원 두 종류로 나뉘며, 총 11곳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총 면적은 263,280.81헥타르에 달한다. 자연보호구는 4곳, 명승지 3곳, 삼림공원 3곳, 습지공원 1곳이 포함된다.
역사[편집]
고대 현지 토착민족의 국가였던 애뢰국(哀牢国)의 영토였던 곳으로, 한나라 무제 시기 이 지역을 정벌하여 익주군(益州郡) 산하로 편성되었으며, 당시 린창시는 확실하게 중심지 역할을 하는 지역이 없어서 삼국시대 촉한은 이 곳에 영창군(永昌郡) 산하 영수현(永寿县)과 옹향현(雍乡县)을 설치하였다.
당나라 대에는 요주(姚州) 소속이었으며, 남조 대부터 다시 영창 소속으로 돌아가서 원나라 후기까지 영창 소속이었다가 명나라 대에 순녕부(顺宁府)와 영창부(永昌府) 소속으로 존재하였다.
중화민국 대에 이 지역은 여러 현으로 나뉘어서 통치되고 있었으며, 1952년에 다리전구(大理专区), 바오산전구(保山专区), 푸얼전구(普洱专区) 산하로 편제되었고 1953년에 바오산전구 일부가 몐닝전구(缅宁专区)로 독립하였으며, 1954년에 몐닝전구가 린창전구(临沧专区)로 명칭이 변경되어 1970년 린창지구(临沧地区)를 거쳐서 2004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산업[편집]
린창시는 고원 특산 농산물 가공, 수출입 가공, 신흥 산업 등 세 가지 주요 산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독특한 현대 산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23년, 린창시의 지역 총생산은 1,050.23억 위안에 달했으며, 1차, 2차, 3차 산업 구조 비율은 각각 31.1:24.3:44.6이다.
린창시는 뎬시충곡구(滇西纵谷区)에 속하는 헝돤산맥(横断山脉)이 지나가는 곳에 위치한 곳으로, 시 내부에는 강 등의 수자원 확보지가 많아서 중국 내 주요 수자원 생산지로 존재중이다. 린창시는 술 및 차 등의 물을 이용한 특산품들을 여럿 개발하여 시의 존재감 높이기를 하고 있다. 여담으로, 린창시는 중국의 고급 차 중 하나인 운남홍차(云南红茶), 통칭 전홍차(滇红茶)로 불리는 차의 원산지이기도 하다.
교통[편집]
관내에 린창 보상 공항(临沧博尚机场) 및 창위안 와산 공항(沧源佤山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다린철도(大临铁路)가 지나간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린창시〉, 《위키백과》
- 〈린창시〉,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린창시〉,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린창〉, 《네이버 지식백과》
- 〈临沧市〉, 《百度百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