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쓰촨성 위치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중국어: 阿坝藏族羌族自治州 ā bà cáng zú qiāng zú zì zhì zhōu)는 중국 쓰촨성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자치주이다. [1][2]

개요[편집]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의 면적은 83,201km²이며 인구는 822,587명(2020)이다. 북쪽은 칭하이성, 간쑤성과 접해, 서쪽과 남쪽은 각각 청두시, 몐양시, 더양시, 야안시,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와 접한다. 자치주 인민정부는 마얼캉현(马尔康县, 마이강현)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마얼캉현(马尔康县, 마이강현), 주자이거우현(九寨沟县, 구채구현), 훙위안현(红原县, 홍원현), 원촨현(汶川县, 문천현), 아바현(阿坝县, 아패현), 리현(理县, 이현), 뤄얼가이현(若尔盖县, 약이개현), 샤오진현(小金县, 소금현), 헤이수이현(黑水县, 흑수현), 진촨현(金川县, 금천현), 송반현(松潘县), 랑탕현(壤塘县, 양당현), 마오현(茂县, 무현)의 13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는 구채구(九寨沟), 황룡(黄龙), 와룽(卧龙), 쓰구냥산(四姑娘山), 쓰촨 대판다 서식지 등의 관광지가 있다. 또한 마얼캉 주오커지 토사 관채(土司官寨), 쑹강즈보 조루(碉楼, 포함 강채碉群), 쑹판 고성벽(古城墙), 랑탕 방투사(壤塘棒托寺), 촨지사(措尔机寺), 잉판산 유적지, 강유성(姜维城) 유적지, 리스만바 조방(碉房), 아바 홍군 장정 유적 등 전국 중점 문화재 보호 단위가 있다. 아바주는 70주년 기념행사와 제16회 아바주 운동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이름 그대로 티베트인과 강족의 자치주로, 티베트인이 인구의 과반인 약 54%정도를 차지하고 강족은 약 17%정도를 차지하며 한족은 24.5%정도의 인구를 구성한다. 티베트족이 과반수이지만 이 지역은 과거부터 중국령이었다. 다만 티베트인과의 교류가 많았기에 티베트인이 인구구조의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이다. 중국령이 아니었다가 청나라때에 중국에 편입되어 현재 쓰촨성인 지역은 여기가 아니라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이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반환된 후에 이곳에 있는 판다보호연구기지에 있다.[3][4][5]

자연환경[편집]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칭짱 고원 동남부에 위치하며, 룽먼산(龙门山) 고지와 고대 해만의 경계로 인해 두 가지 독특한 지층 풍모를 형성한다. 이 지역의 지질 구조는 쓰촨성 서부의 심층 해구 지역에 속하며, 동부 안정 플랫폼 지대와 서부 심층 해구 지대의 점진적 전환 지대, 즉 유명한 룽먼산 습곡 단층대 위에 위치해 있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의 지질 구조는 다음 네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구조 단층대와 지진대, 고산 협곡을 가로지르며, 룽먼산 지질 단층대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둘째, 민강(岷江) 계곡, 다두강(大渡河) 상류, 바이수이강(白水江), 푸강(涪江) 상류의 건조 및 반건조 계곡 지역은 심각한 토양 침식을 겪고 있다. 셋째, 단층대의 영향을 받아 지역 암석 구조가 취약하고 느슨하다. 넷째,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으로 인해 약 121만 묘의 천연 초지가 퇴화하였다. 아바주의 지표는 전형적인 고원 윤곽을 이루며 지세가 험준하다. 고원은 언덕형 고원면과 산 정상부로 구성되며, 평균 해발은 3,500~4,000m이다. 산세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강 계곡의 지세는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다. 산천은 서북에서 동남 방향으로 뻗어 있다. 아바주의 최고 해발 지점은 쓰구냥산(6247.8m)으로, 동쪽 민강의 출구와의 수평 거리는 5,900m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고도 차이가 5,470m에 이른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고원과 산악 협곡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절반을 차지한다. 고원은 평탄한 고원, 언덕형 고원, 고산 평원으로 나뉜다. 산악 협곡 지역은 저산, 중산, 고산, 초고산, 산평원으로 구분되며, 이 사이에는 평지가 간간이 분포한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지형이 매우 다양하며, 이에 따라 기후 역시 다채로운 특징을 보인다. 동남에서 서북으로 갈수록 지세가 높아지면서 기온이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서북부의 언덕형 고원은 전형적인 대륙성 고원 기후로, 사계절 온도 차이가 적고 겨울은 길고 혹독하며, 여름은 시원하고 습하다. 연평균 기온은 0.8℃에서 4.3℃ 사이이다. 산평원 지역은 온화하고 반습윤 기후로,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과 봄은 춥다. 고산 지역은 한랭하고 습윤하며, 강 계곡은 건조하고 따뜻하다. 연평균 기온은 5.6℃에서 13.0℃ 사이이다.

고산 협곡 지역은 아열대 기후에서 한대 기후로 변화하며, 해발 고도에 따라 기후가 현저히 달라진다. 해발 2,500m 이하의 계곡 지역은 강우량이 풍부하지만 증발이 빠르고, 건조하거나 반건조한 토지 풍경을 형성한다. 해발 2,500m에서 4,100m의 경사 계곡 지역은 냉온대 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1℃에서 5℃ 사이이며,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다. 해발 4,100m 이상의 고지대는 연중 눈이 쌓이며, 겨울이 길고 여름이 없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일조량이 풍부하며, 주야간 기온 차이가 크고, 무상 기간이 짧다. 겨울과 봄에는 건조한 공기와 함께 강풍이 자주 불며, 가뭄, 서리, 눈사태, 저온, 폭설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2022년 기준, 아바주의 연평균 기온은 9.3℃로, 평년 동기(8.5℃)에 비해 0.8℃ 높았다. 연평균 강수량은 704.9mm로, 평년 동기 대비 5% 많았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설산이 굽이치고, 강과 하천이 밀집하며, 수로가 종횡으로 연결된 지역으로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민강의 본류와 가장 큰 지류인 대도하가 전 지역을 관통하며, 수량이 풍부하고 자연 낙차가 크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광물 종류는 55종으로, 대형 광산 12곳, 중형 광산 10곳, 소형 광산 36곳이 있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금, 리튬, 화강암, 대리석, 시멘트용 석회석, 이탄, 광천수, 석류석, 갈탄, 온천 등이 있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는 척추동물이 557종 서식하며, 이 중 포유류 116종, 조류 338종, 파충류 32종, 양서류 23종, 어류 48종이 있다. 이 지역은 대왕판다, 들창코영양, 사천금사후, 흰입술사슴, 사천매화사슴, 사향노루 등 104종의 국가급 보호 동물의 주요 서식지이다. 국가 1급 보호 동물은 대왕판다, 사천금사후, 매화사슴, 흑목두루미 등 39종이며, 국가 2급 보호 동물은 작은판다, 산양, 중국사향영양 등 103종이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는 총 25개의 자연보호구역이 있으며, 그중 5개는 국가급 자연보호구역(구채구, 와룽, 주얼가이 습지, 쓰구냥산, 바이허), 11개는 성급 자연보호구역(황룽, 바이양, 우자오, 톄푸, 바오딩거우, 미야로, 차오포, 만저탕 습지, 싼다구, 난모체 습지, 궁강링)이다. 이외에도 주급 보호구역 5개와 현급 보호구역 4개가 있다. 총 면적은 229만 헥타르에 이른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는 4,000여 종의 식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국가급 보호 야생 식물은 70종이다. 국가 1급 보호 식물로는 공작목, 주목, 메타세쿼이아, 단엽초 등 7종이 있으며, 국가 2급 보호 식물로는 연향수, 사천홍송, 서강목련, 민강향백, 홍화녹융포 등 61종이 있다. 경제적 가치가 있는 식물은 1,500여 종에 달하며, 이 중 약용 식물은 1,200종, 방향유 식물 70종, 전분 식물 37종, 기름 식물 80종, 섬유 식물 79종, 탄닌 식물 68종이 포함된다.

야생 약재는 1,900여 종이 있으며, 연간 생장량은 8.5만 톤에 이른다. 주요 약재로는 패모, 동충하초, 주목, 황기, 홍경천, 당삼, 강활, 진교, 대황 등이 있으며, '천연 약재의 보고'라 불린다.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의 산림 유형은 아고산 암침엽수림이 주를 이루며, 해발 고도와 경사 방향에 따라 규칙적으로 분포한다. 주요 산맥의 주능선 및 크고 작은 능선 양쪽에 분포하는 주요 산림 유형으로는 전나무림, 가문비나무림, 적송림, 편백림, 붉은 자작나무림, 고산 참나무림, 철송림 등이 있으며, 관목류로는 진달래, 갈매나무, 쑥 등이 있다.

역사[편집]

중국이 최초로 이 지역을 장악한 시기는 진나라 때로, 이후 한나라 대 까지 이어져서 한나라는 이 곳에 문천군(汶川郡)을 설치하고 통치하였다.

북주 시기 이 지역은 문주(汶州)라고 불리었으며, 수나라 대에는 촉주(蜀州), 회주(会州) 등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대에는 회주로 불리다가 말기에 무주(茂州)로 개칭되었다.

명나라 대에는 성도부(成都府) 소속이었으며 중화민국 대에는 쑹판현(松潘县), 마오현(茂县), 원촨현(汶川县), 리현(理县), 마오궁현(懋功县), 징화현(靖化县)의 6개현을 설치하여 관리하였고 1953년에는 이 지역애 쓰촨성 티베트족 자치구(四川省藏族自治区)가 설치되어 관리되다가 1955년에 아바 티베트족 자치주(阿坝藏族自治州)로 개칭, 1987년에 현 명칭으로 개칭된다.

산업[편집]

관광업, 수력발전, 광업이 주를 이룬다. 많은 세계 유산이 있어서 국내외로부터 많은 관광객이 모여들어 관광업도 활발하다.

교통[편집]

관내에 주자이 황룽 공항(九寨沟黄龙机场)과 아바 훙위안 공항(阿坝红原机场)이 존재하며, 둘 다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역의 경우 현재 주자이거우역(九寨沟站)이 존재하며, 청두와 란저우 사이를 잇는 열차가 들어온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위키백과》
  2.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아바티베트족창족자치구〉,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아바장족창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5. 阿坝藏族羌族自治州〉,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