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위시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윈난성 위치

위시시(중국어: 玉溪市 yù xī shì)는 중국 윈난성 중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위시시의 면적은 15,285km²이며 인구는 2,249,502명(2020)이다. 북쪽으로 쿤밍시(昆明市, 곤명시), 서남쪽으로 푸얼시(普洱市, 보이시), 동남쪽으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 홍하합니족이족자치주), 서북쪽으로 추슝 이족 자치주(楚雄彝族自治州, 초웅이족자치주)와 접하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훙타구(红塔区, 홍탑구)에 소재하며 쿤밍으로부터 88㎞, 해발고도는 1,630m이다. 행정구획은 훙타구(红塔区, 홍탑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와 장촨현(江川县, 강천현), 청장현(澄江县, 징강현), 퉁하이현(通海县, 통해현), 화닝현(华宁县, 화녕현), 이먼현(易门县, 이문현)의 5개 현, 어산이주자치현(峨山彝族自治县, 아산이족자치현), 신핑이족다이족자치현(新平彝族傣族自治县, 신평이족태족자치현), 위안장하니족이족다이족자치현(元江哈尼族彝族傣族自治县, 원강합니족이족태족자치현)의 3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시시는 중국산 담배의 주요 산지이며, 중국 담배를 보면 윈난성 생산임을 알리는 광고가 자주 보이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위시시 아니면 푸얼시 생산 담뱃잎으로 만든 담배이다. 그래서 위시시는 운연 지향(云烟之乡)이라는 별명이 존재한다. 중국에서 두 번째로 깊은 호수인 후시안 호수를 비롯하여 자연환경이 아름답다. 문화 유적도 다양하여 소수 민족의 축제·춤·음악·민속 문화 등이 잘 보존되고 있다. 중국의 국가를 비롯한 수많은 혁명 음악을 만든 유명한 작곡가 녜얼(聶耳 1912∼1935)의 고향이기도 하다.

시 경내에는 모천산(帽天山) 고생물 문화, 고대 전(滇) 문화, 고원 물의 도시 문화, 아이라우산(哀牢山)~홍하 계곡 민족 풍정 문화 등이 있다. 주요 관광지는 4A급 관광지 4곳, 3A급 관광지 2곳, 2A급 관광지 11곳이 있다.[3][4][5]

자연환경[편집]

위시시는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아 복잡한 지형을 이루며, 산지, 협곡, 고원, 분지가 교차하여 분포한다. 서부 아이라우산은 거대한 장벽을 이루며 산맥이 연이어 이어지고 계곡이 깊게 패여 있다. 동부와 북부에는 비교적 큰 단층 함몰 분지가 있다. 위안장(元江) 계곡은 아이라우산맥 동쪽의 위안장 단층대를 따라 깊게 절단되어 있으며, 강면에서 산꼭대기까지 고도 차가 2000m 이상에 달해 고산 협곡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아이라우산맥의 주봉인 다쉐궈산(大雪锅山)은 해발 3137m로, 시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난훈강(南昏江)과 위안장(元江)의 합류 지점은 해발 328m로 시내에서 가장 낮은 지점이다. 위시시 대부분 지역의 해발은 1500~1800m 사이이며, 시 정부 소재지인 홍탑구(红塔区) 주성(州城)의 해발은 1630m이다.

위시시는 저위도의 고원 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중아열대 습윤 냉동 고원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복잡한 지형과 인도양, 북부만(北部湾)으로부터의 습윤 기류 및 건조 기류의 복합적 영향을 받아 기후는 겨울·봄 건기, 여름·가을 우기, 그리고 지형의 수직적·방향적 차이에 따른 다양한 기후 변화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은 15.4~24.2℃이며, 최고 기온은 32.2℃, 최저 기온은 -3℃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787.8~1000mm로, 주로 6~10월에 집중되며, 특히 5~10월 우기에는 대규모 폭우가 6~8월에 집중된다. 또한, 범위는 작지만 강도가 높은 국지성 폭우가 자주 발생한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75.3%, 절대습도는 13.6hPa이다. 연평균 증발량은 1801mm이며, 1~3월은 서리 발생 기간으로, 간헐적으로 눈이 내리기도 한다. 지형이 복잡하고 고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산악 지역이 평지 지역보다 강수량이 많고 온도가 낮다. 또한, 산꼭대기에서 계곡까지 연중 및 일교차가 상당히 크다.

위시시 내의 하천은 주강(珠江)과 홍하(红河) 두 대수계에 속한다. 신평(新平), 이문(易门), 원강(元江) 3개 현과 아산(峨山)의 일부 지역은 홍하 수계에 속하며, 집수 면적은 총 9981평방킬로미터다. 홍탑구(红塔区), 통해(通海), 화녕(华宁), 징강(澄江), 강천(江川) 4개 현과 아산의 일부 지역은 주강 수계에 속하며, 집수 면적은 5044평방킬로미터다. 위시시에는 고원 단층 함몰호인 부선호(抚仙湖), 성운호(星云湖), 기록호(杞麓湖)가 있다.

위시시에서는 48종의 광물이 발견되었으며, 그중 에너지 광물 2종, 금속 광물 14종, 비금속 광물 32종이 있다. 주요 광물 자원은 철, 구리, 니켈, 인, 시멘트용 석회석 등이다. 금광과 니켈광은 시 남서부의 원강과 신평 두 현에 분포하며, 철광과 구리광은 중서부의 이문, 아산, 신평, 원강 4개 현에 집중되어 있다. 인광은 동부의 징강, 강천, 화녕 3개 현(시, 구)에 집중 생산된다. 또한, 홍탑구 소석교향(小石桥乡)에서는 산화리튬 매장량이 489만 톤으로 추정되는 자원이 탐사되었다.

위시시의 연간 총 수자원량은 42.6억 입방미터(지하수 포함 16.8억 입방미터)에 달한다. 시내 하천은 동쪽의 남반강(南盘江)과 곡강(曲江)이 주강 수계에, 서쪽의 원강과 그 지류인 녹즙강(绿汁江), 소하저하(小河底河)가 홍하 수계에 속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는 부선호, 성운호, 기록호 등 고원호가 분포한다.

위시시의 산림 면적은 95.88만 헥타르이며, 유림지 면적은 110.18만 헥타르에 이른다. 산림률은 64.06%이다. 옥계시에는 4종 9유형의 습지가 641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총면적은 65.787만 무(亩)로, 이는 옥계시 국토 면적의 2.94%에 해당한다. 습지 면적은 윈난성에서 네 번째로 크며, 국가 습지공원이 가장 넓은 주(州)와 시(市)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위시시에는 산림 생태 유형 자연 보호구역이 15곳 있다. 이 중 국가급 자연 보호구역 2곳, 성급 자연 보호구역 1곳, 시급 자연 보호구역 3곳, 현급 자연 보호구역 9곳이다. 보호구역 면적은 165.15만 무로, 위시시 국토 면적 2241.3만 무의 7.37%를 차지한다.

위시시에는 국가급 숲 공원인 윈난 신평 마판산(新平磨盘山), 이문 용천(易门龙泉)과 성급 숲 공원인 화녕 상비온천(象鼻温泉) 등 3개의 숲 공원이 있다. 숲 공원의 총 면적은 4.2825만 무로, 이는 위시시시 국토 면적의 0.19%를 차지한다.

위시시 경내에는 야생 식물 자원 2396종과 육상 야생 동물 736종(포유류 144종, 조류 452종, 파충류 81종, 양서류 59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국가 1급 보호 야생동물은 13종, 국가 2급 보호 야생동물은 74종이며, 위협받는 종은 105종, '삼유동물'(三有动物)은 408종이다.

역사[편집]

고대 현지 토착민족의 국가였던 전국(滇国)의 영토였던 곳으로, 진나라가 이 지역을 중국 영토로 편입시킨다.

한나라 무제 시기 이 지역에 군현제를 도입하여 익주군(益州郡) 산하로 편성되었으며, 위시시 산하에는 24개의 현이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익주군은 촉한 대에 건녕군(建宁郡), 서진 대에 영주(宁州) 등의 이름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당나라 대에 영주는 남영주(南宁州)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남조 시절에는 부주(富州)로 변경되어 하양군(河阳郡) 산하로 편성되어 대리국 시절까지 유지되다가 명나라 대에는 징강부(澄江府) 소속으로 변경된다.

중화민국 대에 위시현(玉溪县)으로 이름이 변경되고 1950년에 이 곳은 위시전구(玉溪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51년에 어산센 이족 자치구(峨山县彝族自治区)로 변경, 196년에 자치현으로 변경되었다가 1970년에 위시지구(玉溪地区)로 변경되었고 1997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산업[편집]

주요 산업은 건축 및 건축 자재, 화학, 플라스틱, 전력, 제지 등이다. 또한 곡물 재배가 활발하여 윈난성의 곡창으로 불린다. 특히 담배 산업이 발달하였다. 2022년 위시시의 지역총생산(GDP)은 2520.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하였다.

교통[편집]

위시역(玉溪站): 쿤위허철도(昆玉河铁路), 위모철도(玉磨铁路)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위시시〉, 《위키백과》
  2. 위시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위시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위시〉, 《네이버 지식백과》
  5. 玉溪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위시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