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빈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쓰촨성 위치

이빈시(중국어: 宜宾市 yí bīn shì)는 중국 쓰촨성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이빈시의 면적은 13,293.89km²이며 인구는 4,588,804명(2020)이다. 동쪽으로 루저우시(泸州市, 노주시), 남쪽으로 윈난성(云南省) 자오퉁시(昭通市, 소통시), 서쪽으로 량산 이족 자치주(凉山彝族自治州) 및 러산시(乐山市, 악산시), 북쪽으로 쯔궁시(自贡市, 자공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2024년 4월 기준으로 이빈시는 3개 시할구와 7개 현을 관할하고 있다. 이빈 방언은 서남관화(西南官话)의 관적편(灌赤片) 민강소편(岷江小片)에 속한다.

이빈시는 만리장강 제1도시, 중국 술의 고장, 중국 대나무의 고장으로 불리며, 깊은 문화적 저변을 자랑한다. 북송 정화 4년(1114년)에 복도현(僰道县)에서 이빈현으로 개명되었으며, 2,200년의 도시 건설 역사, 4,000년의 양조 역사, 3,000년의 차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다.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된 II형 대도시이다.

이빈시는 역사적으로 많은 인재를 배출했으며, 리쉐쉰(李硕勋), 자오이만(赵一曼), 양한셩(阳翰笙), 탕쥔이(唐君毅), 위저훙(余泽鸿) 등 수많은 혁명 선열과 문학 거장을 길러냈다. 다양한 장강 문화, 술 문화, 복묘(僰苗) 문화, 나찰(哪吒) 문화, 항전 문화, 민속 풍습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빈시는 국가가 지정한 장강 연안 도시대의 지역 중심 도시이며, 쓰촨성의 7대 지역 중심 도시 중 하나로, 쓰촨성 정부가 지정한 장강 상류 지역 중심 도시이자 전국적 종합 교통 허브, 쓰촨 남부 개방의 관문이다. 2020년 1월, 쓰촨성은 이빈시의 성급 혁신형 도시 건설을 지원할 것을 승인했다.

이빈시에는 촉남죽해(蜀南竹海), 금추호(金秋湖), 이좡고진(李庄古镇), 칠동구 관광지구(七洞沟旅游景区), 석가산 고가(夕佳山古民居), 노군산(老君山) 등 유명 관광지가 있다.[3][4][5]

자연환경[편집]

이빈시는 중아열대 습윤 몬순 기후에 속하며, 저구릉과 하천 계곡이 남아열대 기후 특성을 겸하고 있다. 기후는 온화하고 열량이 풍부하며, 강수량이 많고, 일조가 적당하며, 무상기가 길다.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일찍 찾아오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약 18℃, 연평균 강수량은 1,050~1,618밀리미터이다. 5월부터 10월까지가 우기로, 강수량은 연간 총강수량의 81.7%를 차지하며, 주요 홍수 시기는 7월에서 9월 사이로, 강수량이 연간 총강수량의 51%를 차지한다. 연평균 일조 시간은 1,000~1,130시간이며, 무상기는 334~360일이다. 연평균 풍속은 1.23m/s에 불과하며, 주로 서북풍과 동북풍이 불고, 정풍 빈도가 높아 34~53%에 달하며, 풍속은 낮다.

이빈시 지층은 어메이산 현무암을 제외하면 모두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캄브리아기로부터 제4기로 이어지는 지층이 모두 퇴적되어 있으며, 총 두께는 약 10,000미터에 이른다. 원고대와 하고생대 시기에는 이 지역이 함몰 지역으로, 두께 약 4,300미터의 탄산염과 쇄설암이 퇴적되었다. 상고생대 시기에는 융기가 장기간 지속되었으며, 페름기에 이르러 지각이 비교적 안정되어, 두께 약 700미터의 마오커우(茅口) 및 서하(西霞) 석회암과 150미터 두께의 석탄층이 형성되었다. 중생대에는 다시 함몰 지역이 되어 두께 약 4,500미터 이상의 쇄설암과 탄산염암이 퇴적되었다. 신생대에는 비교적 국한된 지역에 하천과 호수 퇴적이 형성되었으며, 침강 범위가 크지 않아 퇴적 두께가 200미터를 넘지 않는다.

이빈시의 지형은 서남쪽이 높고, 북동쪽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서부에는 대소 량산(凉山)의 여맥이 있으며, 이곳에 시내 최고점인 해발 2,008.7미터의 핑산현(屏山县) 오지산(五指山) 주봉 노군산이 위치한다. 남부는 쓰촨 분지의 변연 지대로, 윈구이 고원의 북쪽 경사면에 해당하며, 이곳에는 해발 1,795.1미터의 싱원현(兴文县) 선봉산(仙峰山), 해발 1,777.2미터의 쥔롄 대설산(筠连大雪山) 등이 있다. 북동부는 화잉산(华蓥山) 여맥에 속하며, 이빈성 인근의 칠성산(七星山), 용두산(龙头山), 관두산(观斗山)이 이 지역에 분포한다. 동남부는 쓰촨 분지의 동쪽 능곡 지역으로, 시내 최저점인 해발 236.3미터의 장안현(金山县) 금산사(江安县) 인근 장강 강바닥이 위치한다. 서북부는 분지 내 방산 구릉지대로, 대부분이 이빈현에 속한다.

이빈시 경내의 수계는 외류수계(外流水系)에 속하며, 주요 줄기는 장강(长江)이다. 이곳은 하천이 많고 밀도가 높으며 수량이 풍부하다. 진사강(金沙江)과 민강(岷江)이 합류하여 장강을 이루며, 이 강은 시 북부를 가로지른다. 세 강의 지류를 포함해 대소 하천이 600여 개에 이른다. 문성하(文星河), 남광하(南广河), 장녕하(长宁河), 횡강하(横江河), 서녕하(西宁河), 황사하(黄沙河), 월계하(越溪河), 전판하(箭板河), 고송하(古宋河) 등 9개 중형 하천의 유역 면적은 각각 500평방킬로미터 이상이다. 그 외에도 유역 면적이 100~500평방킬로미터인 하천이 21개, 50~100평방킬로미터인 소형 하천이 23개 있다.

세 강의 지류와 소하천은 북에서 남으로, 혹은 남에서 북으로 흐르며 남부 지류가 많고 북부 지류가 적은 비대칭적인 하천망을 이룬다. 남부 지류는 대부분 험준한 산악지에서 발원하기 때문에 여울이 많고 물살이 빠르다. 반면, 북부 지류는 구릉지를 지나면서 물결이 잔잔하고 강변이 넓다. 주요 하천으로는 민강, 취하(萃河), 문성하, 남광하, 장녕하, 횡강하, 서녕하, 황사하, 월계하, 전판하, 진사강, 장강, 옥하(玉河) 등이 있다.

이빈시는 아열대 상록 활엽수림 지대에 속하며, 풍부한 식물종과 다양한 식생을 보유하고 있다. 시 전역에는 교목 및 관목 식물이 86과 205속 435종, 대나무류가 13속 59종, 원예 및 관상용 화초가 310종 존재한다. 이 중 국가 1급 보호 야생 식물로는 은행나무, 백악수(伯乐树), 공작단(珙桐), 광엽공작단(光叶珙桐), 홍두삼(红豆杉), 소철(苏铁) 등 6종이 있다. 또한, 국가 2급 보호 야생 식물로는 금모구(金毛狗), 후박(厚朴), 수청수(水青树), 홍춘(红椿), 향과수(香果树), 소라수(桫椤), 자엽가죽나무(梓叶槭), 유장(油樟), 윤남(润楠), 남목(楠木), 홍두수(红豆树), 임두(任豆) 등 12종이 있다.

이빈시는 척추동물 자원이 약 1,000종에 달한다. 그중 포유류는 8목 23과 70종, 조류는 16목 46과 306종, 파충류는 2목 9과 34종, 양서류는 2목 9과 29종, 어류는 16과 89속 151종이 발견된다. 국가 1급 및 2급 보호 동물은 52종이 있다. 1급 보호 동물로는 쓰촨산적고(四川山鹧鸪), 흑경학(黑颈鹤), 표범, 운표(云豹), 림사(林麝), 중화철갑상어(中华鲟), 백철갑상어(白鲟), 달사철갑상어(达氏鲟) 등 8종이 있다. 2급 보호 동물로는 장춘원숭이(藏酋猴), 긴꼬리원숭이(猕猴), 천산갑(穿山甲), 흑곰(黑熊), 대령묘(大灵猫), 소령묘(小灵猫), 암양(岩羊), 반령(斑羚), 홍복각치(红腹角雉), 창응(苍鹰), 홍각준(红脚隼), 백복금계(白腹锦鸡), 대산(大鲵), 연지어(胭脂鱼) 등 44종이 있다.

이빈시 경내에서는 주요 광물 17종이 확인되었으며, 대규모 채굴 가치가 있는 광물로는 석탄, 천연가스, 유황철광, 석회석, 암염 등이 있다. 석탄 매장량은 53억 톤, 보유 매장량은 41.4억 톤으로, 이는 쓰촨성 보유 매장량의 53%를 차지한다. 천연가스 매장량은 600억 입방미터, 유황철광 보유 매장량은 6.17억 톤으로, 쓰촨성 보유 매장량의 71%를 차지한다. 암염 매장량은 100억 톤 이상이며, 석회석 보유 매장량은 4.63억 톤으로, 성 내에서 상위권에 속한다.

역사[편집]

전국시대, 토착 민족인 북인(僰人)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이로 인하여 진나라 때 북도현(僰道县)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 북도는 양나라 대 융주(戎州)로 개칭되기 전 까지 이 지역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한나라 대에는 건위군(犍为郡) 산하였으며, 상술한 대로 양나라 때 융주로 개칭되고 당나라 대 까지 해당 명칭을 사용하다가 전촉대에 다시 북도현으로 명칭이 환원된다.

송나라 대에 다시 융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원나라 대에 서주(叙州)로 개칭되어 명나라 대에 서주부(叙州府)가 설치되고 청나라 대 까지 서주라는 이름으로 불리운다.

서주부는 중화민국대에 이빈현(宜宾县)이 되었고, 1950년 이빈전구(宜宾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67년에 이빈지구(宜宾地区)로 개칭, 1996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산업[편집]

중국 4대 명주 중 하나인 우량예(五粮液)의 산지로 유명하며, 중국의 35개 바이주 기업 중 7개가 이빈에 위치할 정도다. 우량예를 생산하는 동명의 기업은 이빈시 경제의 70%를 차지하며, 주류 외에도 2009년부터 자동차를 생산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교통[편집]

지역의 천연 수로는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운송 수단이다. 이빈은 또한 철도고속도로에 의해 충칭, 청두와 연결된다. 이빈은 윈난성구이저우성의 경계와 근접해 있고 철도와 버스에 의해 연결된다.

관내에 이빈 우량예 공항(宜宾五粮液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과거에는 이빈 라이바 공항(宜宾菜坝机场)을 사용하였으나 2019년에 폐항되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빈시〉, 《위키백과》
  2. 이빈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이빈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이빈〉, 《네이버 지식백과》
  5. 宜宾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빈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