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장 리수족 자치주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3/30/%EC%9C%88%EB%82%9C%EC%84%B1_%EC%9C%84%EC%B9%98.png/300px-%EC%9C%88%EB%82%9C%EC%84%B1_%EC%9C%84%EC%B9%98.png)
누장 리수족 자치주(중국어: 怒江傈僳族自治州 nù jiāng lì sù zú zì zhì zhōu)는 중국 윈난성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자치주이다. [1][2]
개요[편집]
누장 리수족 자치주의 면적은 14,588.92km²이며 인구는 552,694명(2020)이다. 북쪽으로는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区), 동쪽으로는 윈난성(云南省)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迪庆藏族自治州, 적경장족자치주), 남쪽으로 다리바 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 대리백족자치주)와 접하고 있다. 자치주 인민정부는 루수이현(泸水县, 로수현) 류쿠진(六庫鎮, 육고진)에 소재하며 쿤밍시(昆明市, 곤명시)으로부터 614㎞ 거리에 있다. 행정구획은 2023년 5월 기준으로 누장 리쑤족 자치주는 1개의 현급시, 1개의 현, 2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인민정부 소재지는 루수이시 다롄디 가도에 위치해 있다. 윈난성에서 한족의 비율이 가장 낮은 지급행정구로, 한족의 인구는 약 12.35%밖에 되지 않아 제3민족으로 존재한다. 누장의 주 민족인 율속족은 48.21%이며, 제2민족은 26.04%를 차지하는 백족이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는 중국에서 민족 구성 요소가 가장 다양하고 인구가 적은 소수민족이 가장 많은 자치주로, 삼강병류(三江并流) 세계 자연유산과 가오리궁산(高黎贡山) 국가급 자연보호구역을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자연 지형 박물관, 생물 종 유전자 은행, 인류 문명 처녀지, 민족 문화 대관원 등의 명성을 가지고 있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 살윈강의 상류인 누장강(怒江)이 흐르는 곳으로, 이 누장강이 누장의 어원이다.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도 누장강이 어원인데, 여기는 누장강의 다이어 명칭인 안눙강의 음차어를 기준으로 삼았다.
명승지로는 길이 약 600km, 평균 깊이 3,000m의 누장협곡이 유명하다. 또한 가오리공산(高黎貢山)에 있는 석월(石月)은, 3,300m가 넘는 봉우리에 있는 높이 40m, 깊이 60m의 큰 구멍으로, 주위는 가파른 절벽과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길이 140㎞이며, 4,000m가 넘는 봉우리가 15개 이상인 비뤄(碧羅)설산 역시 매우 아름답다.[3][4][5]
자연환경[편집]
누장 리수족 자치주는 지형이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으며, 당당리카산, 가오리궁산, 빌로설산(碧罗雪山), 윈링산맥(云岭山脉)의 네 개의 큰 산이 남북으로 이어져 있고 동서로 마주 보고 있다. 독룽강, 누장강, 란창강이 북에서 남으로 이들 산 사이를 나란히 흐르며 ‘사산협삼강(四山夹三江)’이라는 독특한 지형을 형성한다. 누장 대협곡의 길이는 316킬로미터에 이르며, 고저 차이는 5,000미터 이상, 평균 깊이는 2,000미터이다. 홍수기에는 U자형, 건기에는 V자형을 띤다. 전 자치주의 98% 이상이 고산 협곡 지역으로 산이 많고, 높으며, 가파르다. 해발 4,000미터 이상의 산봉우리가 40여 개에 이르며, 가장 높은 산봉우리는 가오리궁산의 추루라카봉(楚鹿腊卡峰)으로, 현지에서는 가와가푸봉(嘎娃嘎普峰)이라 불리며 해발 5,128미터이다. 산 정상은 연중 만년설로 덮여 있으며, 길이 약 3킬로미터의 현대형 현수빙하가 형성되어 있다. 빙하의 하단부는 해발 4,000미터 지점까지 뻗어 있다. 자치주 내 최저 지점은 루수이시 만윈촌(蛮云村)의 냉수구(冷水沟)로 해발 738미터이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는 날씨 변화가 크고 기후가 다양하다. 누장주는 윈난성 특유의 연간 기온 차가 적고 일교차가 크며,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고 사계절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저위도 고원 계절풍 기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형과 위도 차이의 영향을 받아 북부는 추운 편이고, 중부는 온난하며, 남부는 더운 특징을 보인다. 높은 산은 추운 반면, 산 중턱은 따뜻하고 강가 주변은 무더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우기가 일찍 시작되고 건기가 짧아 온난한 시기가 길다. 이러한 점에서 뚜렷한 입체적 기후 특성을 지닌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의 연평균 기온은 15.8℃,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은 22.2℃,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은 9.1℃이다. 극단적인 일 최고 기온은 40.3℃, 최저 기온은 -10.2℃를 기록한 바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1.9밀리미터이며, 가장 많은 강수량이 기록된 달의 평균은 214.1밀리미터, 가장 적은 달의 평균 강수량은 18.6밀리미터이다. 푸궁과 공산 지역의 24월 평균 강수량은 591.4밀리미터로, 연간 강수량의 36%를 차지한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는 강과 하천이 빽빽하게 분포하여 서로 얽혀 있다. 이 지역은 누장강, 란창강, 이라와디강, 장강 등 네 개의 주요 수계에 속한다. 자치주 내 크고 작은 하천의 총 수는 292개이며, 유역 면적이 500평방킬로미터 이상인 하천은 누장강, 란창강, 독룽강, 라오워강, 비장강, 퉁뎬강 등 6개이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의 토양 유형은 복잡하며, 자치주 전체에는 11개의 토양 종류, 29개의 토속, 55개의 토양 유형이 분포하고 있다. 그중 논 토양은 29개, 밭 토양은 35개로, 수평적, 수직적, 지역적 분포 특성을 형성한다. 루수이, 푸궁, 공산 지역의 토양은 산성인 반면, 란핑 지역의 토양은 알칼리성을 띤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높고 칼륨 성분이 풍부하다. 해발 1,500미터 이하의 강 계곡 지역에는 주로 적갈색 토양과 적색 토양이 분포하며, 해발 2,000미터 내외의 산중턱 지역에는 주로 황적색 토양과 황갈색 토양이, 해발 2,500~3,000미터의 고산 지역에는 주로 갈색 토양과 암갈색 토양이 분포한다. 해발 3,000미터 이상에서는 순서대로 회갈색 산림 토양과 고산 초원 토양이 나타난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 내에는 광범위하게 잘 보존된 원시림이 분포하고 있으며, 식생 유형, 종 풍부도 및 고유성 면에서 세계 대륙 식생계에서 최고 수준에 속한다. 식생은 계절풍 상록 활엽수림, 중산 습성 상록 활엽수림, 온난성 침엽수림, 냉온성 침엽수림, 한온성 암침엽수림, 한온성 관목 및 온난성 관목이 주요 유형이다. 해발 고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산지 식생의 수직 분포가 뚜렷하다. 강 계곡에서 산 능선까지는 순서대로 계절풍 상록 활엽수림대, 온난성 관목과 유사 갈대 군락대, 반습윤 상록 활엽수림과 온난성 침엽수림대, 중산 습성 상록 활엽수림대, 냉온성 침활 혼합림대, 한온성 암침엽수림대, 고산 아고산 관목 초원대로 나뉜다.
누장강은 누장강과 독룽강이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받고 가오리궁산 산체가 수분을 차단함에 따라 누장강 유역과 독룽강 유역의 산지 식생 수직 분포도 서로 다르다.
누장 리수족 자치주는 동물 자원이 풍부하며, 종류가 다양하다. 포유류는 205종, 조류는 525종(아종 포함), 파충류는 76종, 양서류는 52종, 어류는 49종 및 아종, 곤충은 1,720여 종이 분포한다. 국가 1급 보호 동물은 36종, 2급 보호 동물은 190종, 성급 보호 동물은 5종이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록에 등재된 종은 19종이다. 누장 황금원숭이, 모자잎원숭이, 공산 사슴, 가오리궁 영양, 흰꼬리무지개꿩 등 극소 집단의 멸종위기종이 주로 누장주 내에 분포한다.
영장류 자원도 풍부하여 누장 황금원숭이, 윈난 황금원숭이, 필드잎원숭이, 모자잎원숭이, 짧은꼬리원숭이, 인도차이나 회색잎원숭이, 곰원숭이, 일반 마카크원숭이, 티베트 마카크원숭이, 천행긴팔원숭이, 서흑관긴팔원숭이, 흰뺨마카크원숭이 등 총 12종이 분포한다. 이는 중국 영장류 29종 중 41.38%, 윈난성 영장류 18종 중 66.67%를 차지하며, 중국에서 영장류 동물 종이 가장 집중된 지역이다.
역사[편집]
한나라 대에 중국에 편입되었지만 워낙에 오지였던지라 독자적인 행정구역으로 통치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행정구역은 대리국 시절에서야 난계군(兰溪郡)과 승향군(胜乡郡)이 설치되면서 생겨난다.
원나라 대 부터는 토사를 통한 통치를 하였으며, 일괄 여강로(丽江路) 소속으로 삼았다. 그리고 명나라 대에도 여강군민부(丽江军民府) 소속이었으며, 토사정치는 청나라 대 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토사정치는 중화민국 대에 폐지된다.
1950년, 누장은 리장전구(丽江专区)와 바오산전구(保山专区)로 나뉘어 통치되었으며, 1954년에 누장 리수족 자치구(怒江傈僳族自治区)가 설립되었고 1957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된다.
교통[편집]
관내에 난핑 펑화 공항(兰坪丰华机场)이 존재하고 국내선만 운용중이며, 이 외에도 누장 류쿠 공항(怒江六库机场)과 궁산공항(贡山机场)이 현재 건설중이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누장 리수족 자치주〉, 《위키백과》
- ↑ 〈누장 리쑤족 자치주〉, 《나무위키》
- ↑ 〈중국행정구획총람: 누강리수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 ↑ 〈두산백과: 누장리수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 ↑ 〈怒江傈僳族自治州〉,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 〈누장 리수족 자치주〉, 《위키백과》
- 〈누장 리쑤족 자치주〉,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누강리수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누장리수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 〈怒江傈僳族自治州〉, 《百度百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
이 누장 리수족 자치주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