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윈난성 위치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중국어: 文山壮族苗族自治州 wén shān zhuàng zú miáo zú zì zhì zhōu)는 중국 윈난성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자치주이다. [1][2]

개요[편집]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의 면적은 31,409.12km²이며 인구는 3,503,218명(2020)이다. 동북 및 동남은 광시좡족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의 바이써시(百色市, 백색시), 남부는 베트남과 438㎞의 국경을 마주하며 서남부 및 서북은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红河哈尼族彝族自治州, 홍하합니족이족자치주), 북부와 서북부는 취징시(曲靖市, 곡정시)와 접하고 있다.

행정구획은 원산현(文山县, 문산현), 옌산현(砚山县, 연산현), 시처우현(西畴县, 서주현), 마리포현(麻栗坡县, 마율파현), 마관현(马关县), 추베이현(丘北县, 구북현), 광난현(广南县, 광남현), 푸닝현(富宁县, 부녕현)의 8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의 제1민족은 한족이지만 과반을 차지하지는 못 하며, 장족과 묘족이 각각 29.2%와 13.68%로 2, 3민족을 차지한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는 국가 5A급 관광지인 푸저흑(普者黑)과 세외도원(世外桃源坝)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민족들이 화목하게 공존하며, 동고동락 속에서 동고 문화, 벼농사 문화, 포아 문화, 아악 판화(阿峨版画) 등 찬란한 민족 문화를 창조해 왔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는 윈난성의 "동문(东大门)"이라 불리며, 한쪽은 웨강아오 대만구(粤港澳大湾区), 다른 한쪽은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연결되어 있다. 이 지역은 윈난에서 웨강아오 대만구로 가는 가장 가깝고 편리한 통로이며, 톈바오(天保), 두룽(都龙), 톈펑(田蓬) 3개의 국가 1급 항구를 갖추고 있다. 웨강아오 대만구, 하이난 자유무역항, 청위 지역(成渝地区) 쌍성 경제권의 배후지로, 태평양과 인도양으로 연결되는 주요 통로로서 "동서를 연결하고, 남북을 관통하며, 국경을 넘어 바다로 나아가는" 독특한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있다. 2018년에는 중국 특색 농산물 우위 지역 목록에 선정되었다.

한의학의 주요 약재 중 하나인 삼칠(三七)의 주요 산지로, 원산에서 생산된 삼칠은 매우 질이 좋아 주의 특산품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삼칠은 인삼과의 일종인 식물로, 시화인 삼칠화(三七花) 역시 이 삼칠의 꽃이다.[3][4][5]

자연환경[편집]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의 지형은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으며, 산지와 반산지가 전체 면적의 97%를 차지한다. 최고점은 문산현(文山县) 보죽산(薄竹山)으로 해발 2,991.2m이며, 최저점은 마리파현(麻栗坡县) 천보(船头, 天保 국가급 항구)로 해발 107m이다. 평균 해발은 1,000~1,800m이다.

연평균 기온은 19℃, 연 강수량은 779mm, 무상기간은 356일에 달한다. 연간 일조 시간은 2,228.9시간으로, 대부분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겨울에는 혹한이 없고, 여름에는 무더위가 없어 살기 좋은 기후를 자랑한다. 강수량은 풍부하지만 분포가 고르지 않아 서남부에 비해 동북부와 중서부의 강수량이 적다. 산지에 비해 계곡지대의 강수량이 적고, 밤에 비가 많이 오며, 낮에는 적다. 지역적으로 집중호우와 폭우가 자주 발생하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로 연 강수량의 82%가 이 시기에 집중된다.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건기로 연 강수량의 18%를 차지한다.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이나 홍수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태양 복사 에너지가 풍부하여 열량 자원이 충분하며, 열량의 시·공간적 분포 차이가 뚜렷하다. 겨울 기온은 비교적 높고, 봄철 기온은 빠르게 상승한다. 2월에서 4월까지는 월평균 기온이 약 4℃씩 상승하며, 3월에는 기온이 대체로 15℃ 이상을 유지한다. 여름철 고온 현상은 심하지 않아, 대부분 지역의 7월 평균 기온이 21~23℃에 불과하다. 7월 이후에는 기온이 하강하며, 가을철에는 기온이 빠르게 떨어진다. 9월 평균 기온은 7월보다 2℃ 이상 낮아지며, 일부 지역의 평균 최저 기온은 16℃ 이하로 내려간다. 하지만 낮은 구름과 안개비의 영향을 받아 태양 복사가 약화되기도 한다. 지형의 고저 차가 커서, 서로 다른 지역과 해발, 사면 방향에 따라 태양 복사량과 열량 조건에 차이가 있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의 대부분 지역은 겨울에 혹한이 없고, 여름에 무더위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건조하면서 서늘하고 비와 열이 동시에 나타나는 계절적 특성을 보이며, 연간 기온 차는 작고 일교차는 크다. 대륙성 기후는 40% 이하로 약하며,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뚜렷하다. 봄철 기온이 가을보다 높고, 무상 기간이 길며, 서리와 눈은 드물다. 연평균 기온은 12.0~23.1℃이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에는 1727종의 다양한 농작물이 있다. 그중 광남현의 팔보미(八宝米)는 알이 굵고, 쌀이 희며, 밥을 지으면 향긋하고 부드럽기로 유명하다. 과거에는 조정에 공물로 바쳐졌던 공미(贡米)였다.

추북현의 고추는 색이 선명하고, 향이 강하며, 기름이 많고 길이가 긴 특징을 지니고 있다. 문산과 안산의 삼칠초(三七)는 귀중한 약재로, 국내외에서 오랫동안 명성이 높다. 푸닝의 팔각(八角)은 최상급 조미료 및 산업 원료로, 품질은 전국 1위이며 국내외로 널리 수출된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에는 화개목, 녹나무, 난목, 홍춘, 향목련 등 76과 300여 종의 희귀 수종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난초가 꽃 자원 중 가장 유명하다.

야생동물로는 표범, 멧돼지, 늑대, 사슴, 노루, 원숭이, 암양, 합계(蛤蚧), 천산갑(穿山甲), 뱀, 비단뱀, 올빼미, 긴꼬리꿩, 야생닭, 앵무새 등 4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는 자연이 부여한 풍부한 지하 자원을 자랑한다. 현재까지 확인된 흑색, 유색, 희귀·귀중 금속 및 비금속 광물은 11개 유형, 55종, 670개 광산 지점에 이른다. 그중 안티모니와 주석의 매장량은 각각 전국 2위와 3위, 망간의 매장량은 전국 8위, 보크사이트 매장량은 윈난성에서 1위를 차지한다.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는 광물 종류가 다양하고 매장량이 풍부하며 품질이 뛰어나다. 이로 인해 문산주는 "유색 금속 왕국 중의 왕국"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주요 유색 금속 자원으로는 주석, 안티모니, 망간 등이 있으며, 매장량은 각각 전국에서 2위, 3위, 8위를 차지한다.

역사[편집]

과거 백월의 거주지였던 곳으로, 한나라 대에 중국이 정복하여 강가군(牂牁郡) 산하로 들어간다.

촉한 대에 익주군(益州郡), 월수군(越嵩郡), 군가군(郡舸郡), 영창군(永昌郡)의 4개군이 나누어서 가지고 있었으며 서진 대에 일괄 영주(宁州) 산하로 편성시킨다.

당나라 대에는 남녕주(南宁州) 산하였으며, 송나라 대에는 광원주(广源州)라는 명칭으로 불리었고 명나라 대에는 광남부(广南府) 산하였다.

중화민국 대에는 원산현(文山县)이었으며, 1950년 원산전구(文山专区)가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1960년 원산 퉁족 먀오족 자치주(文山僮族苗族自治州)로 명칭이 변경되고 1965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된다.

교통[편집]

관내에 원산 푸저헤이 공항(文山普者黑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철도의 경우 난쿤고속철도(南昆客运专线)가 푸저헤이역(普者黑站), 광난셴역(广南县站), 푸닝역(富宁站)을 지나간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위키백과》
  2.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윈산좡족먀오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원산좡족먀오족자치주〉, 《네이버 지식백과》
  5. 文山壮族苗族自治州〉,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