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시내버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시내버스.png|500픽셀|오른쪽|썸네일|시내버스]]
+
'''시내버스'''<!--시내 버스-->(市內버스, Transit Bus, City Bus)는 [[시내]]에서 일정한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이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e27e271fe3f468a80e26c9db1587d59 시내-버스]〉, 《네이버 국어사전》</ref> 반대말은 [[시외버스]]이다.
 +
{{:자동차 배너|승합차}}
  
'''시내버스'''<!--시내 버스-->(市內버스, Transit Bus, City Bus)는 [[시내]]에서 일정한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이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e27e271fe3f468a80e26c9db1587d59 시내-버스]〉, 《네이버 국어사전》</ref> 반대말은 [[시외버스]]이다.
 
 
 
==개요==
 
==개요==
시내버스는 대도시와 주요 도시의 지역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는 버스다. 시내에서 승객을 수송하는 자동차로, 승객은 서거나 앉는다. 시내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도시 내의 교통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통 수단이며 국내에서는 도시 별로 시내버스의 운영 방식이 다르다.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며, 도시 철도가 있는 지역은 무료 [[환승]]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고 있다.<ref> 〈[https://namu.wiki/w/%EC%8B%9C%EB%82%B4%EB%B2%84%EC%8A%A4 시내버스]〉, 《나무위키》</ref>
+
[[파일:시내버스.png|500픽셀|오른쪽|썸네일|'''시내버스''']]
 +
 
 +
시내버스는 대도시와 주요 도시의 지역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는 버스이다. 시내에서 승객을 수송하는 자동차로, 승객은 서거나 앉는다. 시내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도시 내의 교통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통수단이며 [[대한민국]]은 도시별로 시내버스의 운영 방식이 다르다.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며, 도시 철도가 있는 지역은 무료 [[환승]]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고 있다.<ref> 〈[https://namu.wiki/w/%EC%8B%9C%EB%82%B4%EB%B2%84%EC%8A%A4 시내버스]〉, 《나무위키》</ref>
  
 
==역사==
 
==역사==
[[파일:시내버스.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서울 시내버스 1962년]]
+
[[파일:시내버스.jpg|300픽셀|썸네일|'''서울 시내버스 1962년''']]
  
시내버스의 역사는 1920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에서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다. 버스가 처음 국내에 도입되어 운행한 것은 일제 강점기 시절이지만, 지역 간 버스로만 사용되었다. 서울에서는 1928년 경성부 [[부영버스]]가 최초였으며, 버스보다는 마차에 가까운 모양새였다. 하지만 부족한 노선과 비싼 요금 때문에 시민들은 전차를 선호했고, 부영버스는 1932년 전차 운영업체인 [[㈜경성전기]]에 인수돼 전차의 보조수단으로 이용됐다. 한국 전쟁 이후부터 서울 시내버스 승객은 지속적으로 늘어 전차를 앞질렀다. 교통부에서는 버스 안내원을 도입해 승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고 요금을 받았으며 출입문을 직접 여닫기도 했다. 하지만, 1989년 12월 관련 법 조문이 삭제되면서 버스 안내원은 [[대한민국]]에서 사라진 직업이 되었다. 2000년대에는 대기오염 개선 목적으로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적극 권장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많이 도입되었다. 또한, 교통약자가 쉽게 승하차 할 수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도 승하차 가능하도록 무계단 형식의 [[저상버스]]도 도입하기 시작하여 저상버스 비중도 높아졌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82%B4%EB%B2%84%EC%8A%A4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시내버스의 역사는 1920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서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다. 버스가 처음 국내에 도입되어 운행한 것은 일제 강점기 시절이지만, 지역 간 버스로만 사용되었다. 서울에서는 1928년 경성부 [[부영버스]]가 최초였으며, 버스보다는 마차에 가까운 모양새였다. 하지만 부족한 노선과 비싼 요금 때문에 시민들은 전차를 선호했고, 부영버스는 1932년 전차 운영업체인 [[㈜경성전기]]에 인수돼 [[전차]]의 보조수단으로 이용됐다. 한국 전쟁 이후부터 서울 시내버스 승객은 지속해서 늘어 전차를 앞질렀다. 교통부에서는 버스 안내원을 도입해 승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고 요금을 받았으며 출입문을 직접 여닫기도 했다. 하지만, 1989년 12월 관련 법 조문이 삭제되면서 버스 안내원은 국내에서 사라진 직업이 되었다. 2000년대에는 대기오염 개선 목적으로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많이 도입되었다. 또한, 교통약자가 쉽게 승하차할 수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도 승하차할 수 있도록 무 계단 형식의 [[저상버스]]도 도입하기 시작하여 저상버스 비중도 높아졌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82%B4%EB%B2%84%EC%8A%A4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구조==
 
==구조==
시내버스의 구조는 [[공기 흡입구]](air intake), [[두 짝 문]](two-leaf door), [[노선표시판]](route sign)으로 나눌 수 있다. 공기 흡입구는 루프에 있는 개구부로, 덮개가 있고, 버스 안에 신선한 공기를 들여 보낸다. 두 짝 문의 움직이는 넓은 문으로, 각각 뒤로 접혀 한꺼번에 여러 명의 승객이 내리고 탈 수 있다. 노선표시판은 보통 버스의 앞과 뒤, 그리고 오른쪽 측면에 있는 스크린이며, 버스의 노선 번호를 나타낸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5343&cid=49068&categoryId=49068 시내 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ref> 또한, 시내버스 운전석 시트에는 [[에어 서스펜션]]을 장착한다. 이는 노면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며, 압축공기를 활용해 더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시트와 차량 바닥 사이에 에어스프링을 장착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노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노동자의 척추 보호에 도움을 준다.<ref> 한국교통연구원, 〈[https://blog.naver.com/koti10/222448448725 시내버스 운전석에서는 왜 바람소리가 날까?]〉,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ref>
+
시내버스의 구조는 [[공기흡입구]](air intake), [[두짝문]](two-leaf door), [[노선표시판]](route sign)으로 나눌 수 있다. 공기흡입구는 [[루프]]에 있는 [[개구부]]로, [[덮개]]가 있고, 버스 안에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낸다. 두짝문은 움직이는 넓은 문으로, 각각 뒤로 접혀 한꺼번에 여러 명의 승객이 내리고 탈 수 있다. 노선표시판은 보통 버스의 앞과 뒤, 그리고 오른쪽 측면에 있는 [[스크린]]이며, 버스의 노선 번호를 나타낸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5343&cid=49068&categoryId=49068 시내 버스]〉, 《네이버 지식백과》</ref> 또한, 시내버스 운전석 시트에는 [[에어서스펜션]]을 장착한다. 이는 노면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며, 압축공기를 활용해 더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시트와 차량 바닥 사이에 [[에어스프링]]을 장착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노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기사]]의 척추 보호에 도움을 준다.<ref> 한국교통연구원, 〈[https://blog.naver.com/koti10/222448448725 시내버스 운전석에서는 왜 바람소리가 날까?]〉,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ref>
  
 
==종류==
 
==종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서울특별시 대중교통의 한 부분을 담당하며, 1889년 [[노면전차]]가 첫 운행됨으로써 근대적 대중교통이 시작하게 되었다. 1912년 일본인들이 [[정기버스]]를 운영하게 됨으로써 서울에서 처음 버스가 선보였고,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광역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등의 여섯 종류로 나뉘어 있으며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요금은 현금 또는 교통 카드로 지불하고, 한 번 승차하는 경우는 현금과 교통 카드 모두 정액요금만 징수하며, 시계외 추가 요금은 2004년 7월 1일부터 폐지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1월 29일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서울특별시 대중교통의 한 부분을 담당하며, 1889년 [[노면전차]]가 첫 운행 됨으로써 근대적 대중교통이 시작하게 되었다. 1912년 일본인들이 [[정기버스]]를 운영하였고, 서울에서 처음 버스가 선보였다.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여,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광역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등의 여섯 종류로 나뉘어 있으며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요금은 현금 또는 교통 카드로 지불하고, 한 번 승차하는 경우는 현금과 교통 카드 모두 정액요금만 징수하며, 시계외 추가 요금은 2004년 7월 1일부터 폐지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1월 29일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134번째 줄: 135번째 줄:
 
|align=center|240
 
|align=center|240
 
|}
 
|}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로, 인천 지하철과 더불어 인천광역시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통수단이다. 1974년 11월 25일 인천광역시는 민간자본 4억 3천만 원을 들여 용현동에 종합터미널 착공하였고, 1976년 9월에 개장하였다. 운영체계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시행된 준공영제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요금은 2009년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로, 인천 지하철과 더불어 인천광역시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통수단이다. 1974년 11월 25일 인천광역시는 민간자본 4억 3천만 원을 들여 용현동에 종합터미널을 착공하였고, 1976년 9월에 개장하였다. 운영체계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시행된 [[준공영제]]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요금은 2009년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152번째 줄: 154번째 줄:
 
|align=center|1,250
 
|align=center|1,250
 
|align=center|1,300
 
|align=center|1,300
|align=center rowspan=3|1~87, 103, 103-1, 111-2, 112, 202, 203, 204, 222, 223, 300, 700-1, 721, 754, 760, 760-1, 770-1, 780, 780-1, 780-2, 900번대
+
|align=center rowspan=3|1~87, 103, 103-1, 111-2,<br> 112, 202, 203, 204, 222,<br> 223, 300, 700-1, 721, 754,<br> 760, 760-1, 770-1, 780,<br> 780-1, 780-2, 900번대
 
|-
 
|-
 
|align=center|청소년  
 
|align=center|청소년  
206번째 줄: 208번째 줄:
 
|align=center|1,650
 
|align=center|1,650
 
|align=center|2,400
 
|align=center|2,400
|align=center rowspan=3|111, 117, 302, 303, 303-1, 304, 306, 307, 308, 310, 320, 330
+
|align=center rowspan=3|111, 117, 302, 303, 303-1,<br> 304, 306, 307, 308, 310,<br> 320, 330
 
|-
 
|-
 
|align=center|청소년  
 
|align=center|청소년  
270번째 줄: 272번째 줄:
 
|align=center|1,300
 
|align=center|1,300
 
|}
 
|}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52년 [[계룡버스]]의 운행을 시작으로 처음 도입된, 대전광역시의 핵심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2005년 7월 4일부터 [[준공영제]] 및 무료 환승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버스운행은 민간사업자가 전담하되 버스노선과 배차간격 등 운행계획과 실적 관리, 운송수입금과 운송원가관리 등은 대전시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요금은 201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시내 구간만을 이용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시내 외곽 지역은 지역별로 추가 운임을 징수하고, 2015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52년 [[계룡버스]]의 운행을 시작으로 처음 도입된, 대전광역시의 핵심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2005년 7월 4일부터 준공영제 및 무료 환승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버스 운행은 민간사업자가 전담하되 버스 노선과 배차 간격 등 운행계획과 실적 관리, 운송 수입금과 운송원가 관리 등은 대전시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요금은 201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시내 구간만을 이용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시내 외곽 지역은 지역별로 추가 운임을 징수하고, 2015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319번째 줄: 322번째 줄:
 
|align=center|350
 
|align=center|350
 
|}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20년 7월 1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운행한 시내버스이다. 대구역을 기점으로 시내 각 방향과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일원 및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구미시 와 경상남도 창녕군 외 일부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로, 준공영제 및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요금은 거리비례식 요금이 아닌 단일 요금제이며, 교통카드 또는 현금으로 운임을 지불한다. 다음 표는 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로 전환하여 시행 중인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20년 7월 1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운행한 시내버스이다. 대구역을 기점으로 시내 각 방향과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일원 및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구미시와 경상남도 창녕군 외 일부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로, 준공영제 및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요금은 거리비례식 요금이 아닌 단일 요금제이며, 교통카드 또는 현금으로 운임을 지불한다. 다음 표는 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로 전환하여 시행 중인 요금이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359번째 줄: 363번째 줄:
 
|align=center|500
 
|align=center|500
 
|}
 
|}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서구, 광산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한다.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환승제가 시행되고 있고,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좌석버스 제도가 좌석02번을 제외하고 모두 폐지되어 [[도시형버스]]로 운영되었다. 따라, 운임은 버스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다. 다음 표는 2016년 8월 1일 시행한 시내버스 요금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ref>
+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서구, 광산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한다.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 환승제가 시행되고 있고,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좌석버스 제도가 좌석 02번을 제외하고 모두 폐지되어 [[도시형버스]]로 운영되었다. 따라, 운임은 버스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다. 다음 표는 2016년 8월 1일 시행한 시내버스 요금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395번째 줄: 400번째 줄:
 
|align=center|400
 
|align=center|400
 
|}
 
|}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울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체계이다. 지역적으로 울산광역시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나 일부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부산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운행한다. 2019년 1월 1일부터 일부 노선에서 지정배차제를 시행하기 시작했고, 2019년 7월 1일에 개별노선제 전면시행으로 단독배차가 되었다. 요금은 거리에 관계 없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요금을 수수하고 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며, 종전의 신분제를 폐지하고 연령제를 적용하였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울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체계이다. 지역적으로 울산광역시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나 일부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부산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운행한다. 2019년 1월 1일부터 일부 노선에서 지정배차제를 시행하기 시작했고, 2019년 7월 1일에 개별노선제 전면시행으로 단독배차가 되었다. 요금은 거리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요금을 수수하고 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며, 종전의 신분제를 폐지하고 연령제를 적용하였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big>'''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big>'''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big>
457번째 줄: 463번째 줄:
 
|align=center|380
 
|align=center|380
 
|}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부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일부 시내버스는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김해시·거제시·양산시·창원시 지역을 운행하고, 일반적으로 시내버스라고 하면 일반버스, 급행버스, 좌석버스, 심야버스 모두를 지칭한다. 요금은 현금과 선불, 후불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고, 예전에 발행되었던 승차권과 토큰의 경우는 현재의 가격보다 낮으므로, 추가 요금을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요금제는 전 구간 균일요금제로, 이용한 구간에 상관없이 균일한 요금을 부과하지만, 환승을 하는 경우에는 이용한 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최고액을 부담한다. 다음 표는 2013년 기준 요금이며, 2021년까지 이어오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따라 주로 부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일반적으로 부산시의 시내버스라고 하면 일반 버스, 급행버스, 좌석버스, 심야버스 모두를 지칭한다. 요금은 현금과 선불, 후불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고, 예전에 발행되었던 승차권과 토큰의 경우는 현재의 가격보다 낮으므로, 추가 요금을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요금제는 전 구간 균일요금제로, 이용한 구간에 상관없이 균일한 요금을 부과하지만, 환승하는 경우에는 이용한 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최고액을 부담한다. 다음 표는 2013년 기준 요금이며, 2021년까지 이어오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ref>  
 
;요금
 
;요금
 
:{|class=wikitable width=600 |- ... |}  
 
:{|class=wikitable width=600 |- ... |}  
524번째 줄: 531번째 줄:
  
 
==준공영제==
 
==준공영제==
시내버스의 준공영제는  
+
시내버스의 준공영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버스 업체들의 적정 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에 노선 변경이나 증차를 할 때 관리, 감독 권한을 행사하는 제도다. 2004년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현재 전국 6대 도시에서 시행 중이다.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시행으로 50년 만에 부산의 시내버스는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버스 노선의 개편이 쉬워 수요가 있는 곳에는 언제든지 버스를 공급하는 체계가 마련되었고, 환승 시스템을 이용하면 저렴한 교통 요금으로 목적지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버스 정류장이 대폭 늘어난 덕분에, 버스 노선의 공공성 확보에도 성과를 거뒀다. 또한, 불필요한 중복 노선을 없애 전체 노선을 167개에서 134개로 줄였다. 노선 효율화로 시내버스 배차 간격이 평균 15.7분에서 11.4분으로 빨라졌고, 버스 한 대가 하루 운행하는 거리도 평균 717.9㎞에서 653.3㎞로 줄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24247&cid=55772&categoryId=55846 시내버스 준공영제]〉, 《네이버 지식백과》 </ref> 이처럼, 준공영제를 시행하여 시내버스 운송 사업자의 경영 상태와 이용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지만, 울산시는 아직 준공영제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울산시의 시내버스 업계는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울산시는 준공영제 도입 시 재정 지원이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부정적인 입장이다. 따라, 울산시는 준공영제의 대안으로, 2019년 6월 울산 시내버스 혁신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울산형 다중복합운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대중교통의 공적 책임을 강화해 교통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당부하며 장기적으로 서비스 경쟁 체제의 조성과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ref> 이춘봉 기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9403 (지역 시내버스 업계 위기, 원인과 해법은)‘준공영제 병행’ 혁신위案도 근본대책 미흡]〉, 《경상일보》, 2021-08-09 </ref>
 
 
 
 
  
 
==현황==
 
==현황==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19년부터 버스 승강장과 버스 내부에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고 시민들의 통신비 경감에 기여하고 있다. 40대 시내버스 설치를 시작으로 2019년에 총 263대의 모든 시내버스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고, 죽도시장, 도심환승센터 등 총 301개소의 시내버스 승강장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ref> 오주호 기자,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8161739050134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포항시, 시내버스 내부 및 승강장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실시]〉, 《프레시안》, 2021-08-16 </ref>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버스 한쪽에 붙어있는 안내 스티커를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를 켜서 리스트를 확인해보는 것이다. 모든 공공 와이파이는 비밀번호 없이 접속할 수 있는 PublicWifi@BUS_Free_버스 번호와 비밀번호를 통해 보안 연결하는 PublicWifi@BUS_Secure_버스 번호로 나뉜다. 공공 와이파이는 일반 개방형 와이파이 연결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를 켜고 접속하는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자동으로 접속되는 팝업에서 빨간색 원형 와이파이 버튼을 누른 이후에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누르고, EAP 방식을 PEAP 방식으로 설정한다. 사용자 이름은 wifi, 비밀번호 역시 wifi로 설정한다. CA 인증서는 사용 안 함 혹은 인증함을 선택하고, 2단계 인증 항목도 설정 안 함 또는 없음으로 선택하고 연결한다. 아이폰의 경우 연결 방식이 다른데, 동일하게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wifi를 입력한 다음, radius라는 이름의 인증서를 신뢰하면 된다.<ref> IT동아,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813354&memberNo=11778559&vType=VERTICAL 확대되는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기가급 속도에 보안까지 갖춘 'Secure'로 접속해야]〉, 《네이버 포스트》, 2019-11-06 </ref> 이처럼, 국민의 편의를 위해 무료 와이파이 망을 구축한 덕분에 어디서나 데이터 부담 없이 편리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가 쉽게 끊기는 [[트래픽]] 현상이 발생했다. 2020년 12월 기준, 18년간 와이파이 이용 현황을 조회해봤을 때, HD 급 고화질 영화를 1,400만 편 시청한 것과 같은 데이터 용량이 측정되었다. 특히 출퇴근 시간과 겹치는 아침 시간과 저녁 시간에는 41%의 트래픽이 발생했다. 많은 인원의 이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트래픽 현상의 해결은 안정적인 와이파이 망 구축을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사용법을 어려워하는 국민도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국민들을 위해 좀 더 쉽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는 누구나 통신비 걱정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며 즐거운 대중교통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버스 내부에서의 와이파이 지속적 운영에 대한 정책 방안을 2021년 상반기까지 마련할 예정이다.<ref>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blog.naver.com/with_msip/222182963009 전국 시내버스에 공공 와이파이 구축! 세계를 선도하는 K-버스]〉, 《네이버 블로그》, 2020-12-28 </ref>
+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2019년부터 버스 승강장과 버스 내부에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고 시민들의 통신비 경감에 기여하고 있다. 40대 시내버스 설치를 시작으로 2019년에 총 263대의 모든 시내버스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고, 죽도시장, 도심환승센터 등 총 301개소의 시내버스 승강장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ref> 오주호 기자,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8161739050134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포항시, 시내버스 내부 및 승강장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실시]〉, 《프레시안》, 2021-08-16 </ref>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버스 한쪽에 붙어 있는 안내 스티커를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를 켜서 리스트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모든 공공 와이파이는 비밀번호 없이 접속할 수 있는 PublicWifi@BUS_Free_버스 번호와 비밀번호를 통해 보안 연결하는 PublicWifi@BUS_Secure_버스 번호로 나뉜다. 공공 와이파이는 일반 개방형 와이파이 연결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를 켜고 접속하는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자동으로 접속되는 팝업에서 빨간색 원형 와이파이 버튼을 누른 이후에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누르고, EAP 방식을 PEAP 방식으로 설정한다. 사용자 이름은 wifi, 비밀번호도 wifi로 설정한다. CA 인증서는 사용 안 함 혹은 인증함을 선택하고, 2단계 인증 항목도 설정 안 함 또는 없음으로 선택하고 연결한다. 아이폰의 경우 연결 방식이 다른데, 동일하게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wifi를 입력한 다음, radius라는 이름의 인증서를 신뢰하면 된다.<ref> IT동아,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813354&memberNo=11778559&vType=VERTICAL 확대되는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기가급 속도에 보안까지 갖춘 'Secure'로 접속해야]〉, 《네이버 포스트》, 2019-11-06 </ref> 이처럼, 국민의 편의를 위해 무료 와이파이망을 구축한 덕분에 어디서나 데이터 부담 없이 편리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가 쉽게 끊기는 [[트래픽]] 현상이 발생했다. 2020년 12월 기준, 18년간 와이파이 이용 현황을 조회해봤을 때, HD급 고화질 영화를 1,400만 편 시청한 것과 같은 데이터 용량이 측정되었다. 특히 출퇴근 시간과 겹치는 아침 시간과 저녁 시간에는 41%의 트래픽이 발생했다. 많은 인원의 이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트래픽 현상의 해결은 안정적인 와이파이망 구축을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사용법을 어려워하는 국민도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국민들을 위해 좀 더 쉽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는 누구나 통신비 걱정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며 즐거운 대중교통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버스 내부에서의 와이파이 지속적 운영에 대한 정책 방안을 2021년 상반기까지 마련할 예정이다.<ref>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blog.naver.com/with_msip/222182963009 전국 시내버스에 공공 와이파이 구축! 세계를 선도하는 K-버스]〉, 《네이버 블로그》, 2020-12-28 </ref>
  
 
{{각주}}
 
{{각주}}
540번째 줄: 545번째 줄:
 
* 한국교통연구원, 〈[https://blog.naver.com/koti10/222448448725 시내버스 운전석에서는 왜 바람소리가 날까?]〉,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 한국교통연구원, 〈[https://blog.naver.com/koti10/222448448725 시내버스 운전석에서는 왜 바람소리가 날까?]〉,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D%8A%B9%EB%B3%84%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B2%9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546번째 줄: 551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_%EC%8B%9C%EB%82%B4%EB%B2%84%EC%8A%A4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24247&cid=55772&categoryId=55846 시내버스 준공영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이춘봉 기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9403 (지역 시내버스 업계 위기, 원인과 해법은)‘준공영제 병행’ 혁신위案도 근본대책 미흡]〉, 《경상일보》, 2021-08-09
 
* 오주호 기자,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8161739050134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포항시, 시내버스 내부 및 승강장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실시]〉, 《프레시안》, 2021-08-16
 
* 오주호 기자,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108161739050134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포항시, 시내버스 내부 및 승강장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실시]〉, 《프레시안》, 2021-08-16
 
* IT동아,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813354&memberNo=11778559&vType=VERTICAL 확대되는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기가급 속도에 보안까지 갖춘 'Secure'로 접속해야]〉, 《네이버 포스트》, 2019-11-06
 
* IT동아,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813354&memberNo=11778559&vType=VERTICAL 확대되는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기가급 속도에 보안까지 갖춘 'Secure'로 접속해야]〉, 《네이버 포스트》, 2019-11-06

2024년 8월 22일 (목) 00:06 기준 최신판

시내버스(市內버스, Transit Bus, City Bus)는 시내에서 일정한 구간운행하는 버스이다.[1] 반대말은 시외버스이다.

테라밴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테라밴 11인승 전기승합차

개요[편집]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대도시와 주요 도시의 지역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는 버스이다. 시내에서 승객을 수송하는 자동차로, 승객은 서거나 앉는다. 시내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도시 내의 교통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통수단이며 대한민국은 도시별로 시내버스의 운영 방식이 다르다.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며, 도시 철도가 있는 지역은 무료 환승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고 있다.[2]

역사[편집]

서울 시내버스 1962년

시내버스의 역사는 1920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서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다. 버스가 처음 국내에 도입되어 운행한 것은 일제 강점기 시절이지만, 지역 간 버스로만 사용되었다. 서울에서는 1928년 경성부 부영버스가 최초였으며, 버스보다는 마차에 가까운 모양새였다. 하지만 부족한 노선과 비싼 요금 때문에 시민들은 전차를 선호했고, 부영버스는 1932년 전차 운영업체인 ㈜경성전기에 인수돼 전차의 보조수단으로 이용됐다. 한국 전쟁 이후부터 서울 시내버스 승객은 지속해서 늘어 전차를 앞질렀다. 교통부에서는 버스 안내원을 도입해 승객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돕고 요금을 받았으며 출입문을 직접 여닫기도 했다. 하지만, 1989년 12월 관련 법 조문이 삭제되면서 버스 안내원은 국내에서 사라진 직업이 되었다. 2000년대에는 대기오염 개선 목적으로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많이 도입되었다. 또한, 교통약자가 쉽게 승하차할 수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도 승하차할 수 있도록 무 계단 형식의 저상버스도 도입하기 시작하여 저상버스 비중도 높아졌다.[3]

구조[편집]

시내버스의 구조는 공기흡입구(air intake), 두짝문(two-leaf door), 노선표시판(route sign)으로 나눌 수 있다. 공기흡입구는 루프에 있는 개구부로, 덮개가 있고, 버스 안에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낸다. 두짝문은 움직이는 넓은 문으로, 각각 뒤로 접혀 한꺼번에 여러 명의 승객이 내리고 탈 수 있다. 노선표시판은 보통 버스의 앞과 뒤, 그리고 오른쪽 측면에 있는 스크린이며, 버스의 노선 번호를 나타낸다.[4] 또한, 시내버스 운전석 시트에는 에어서스펜션을 장착한다. 이는 노면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이며, 압축공기를 활용해 더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시트와 차량 바닥 사이에 에어스프링을 장착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노면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기사의 척추 보호에 도움을 준다.[5]

종류[편집]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편집]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서울특별시 대중교통의 한 부분을 담당하며, 1889년 노면전차가 첫 운행 됨으로써 근대적 대중교통이 시작하게 되었다. 1912년 일본인들이 정기버스를 운영하였고, 서울에서 처음 버스가 선보였다.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여,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광역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등의 여섯 종류로 나뉘어 있으며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요금은 현금 또는 교통 카드로 지불하고, 한 번 승차하는 경우는 현금과 교통 카드 모두 정액요금만 징수하며, 시계외 추가 요금은 2004년 7월 1일부터 폐지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1월 29일 기준 요금이다.[6]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현금 (원) 교통카드 (원) 조조할인 (원)
광역버스 어른(일반, 만 19세 이상) 2,400 2,300 1,84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800 1,360 1,09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1,200 1,200 960
간선·지선(도시형)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300 1,200 96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000 720 58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450 450 360
차등지선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200 1,100 88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800 560 45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350 350 280
순환버스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700 60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450 31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200 200
심야버스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2,250 2,15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800 1,36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1,200 1,200
마을버스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000 900 72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550 480 38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300 300 240

인천광역시 시내버스[편집]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로, 인천 지하철과 더불어 인천광역시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통수단이다. 1974년 11월 25일 인천광역시는 민간자본 4억 3천만 원을 들여 용현동에 종합터미널을 착공하였고, 1976년 9월에 개장하였다. 운영체계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시행된 준공영제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요금은 2009년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다음 표는 2020년 기준 요금이다.[7]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해당 노선
간선,

시내좌석, 급행간선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250 1,300 1~87, 103, 103-1, 111-2,
112, 202, 203, 204, 222,
223, 300, 700-1, 721, 754,
760, 760-1, 770-1, 780,
780-1, 780-2, 900번대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870 9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500 500
지선

(청라GRT)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950 1,000 순환(31, 91, 92), 500번대, 701번, 702번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600 7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350 400
좌석

(타시도)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300 2,000 60-5, 80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900 1,5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530 900
좌석

(영종도행)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1,650 2,400 111, 117, 302, 303, 303-1,
304, 306, 307, 308, 310,
320, 33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200 1,8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700 1,000
광역,

청라BRT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2,650 2,650 790번, 1000번대, 9000번대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500 1,5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1,100 1,100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2,200 2,500 7700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200 1,50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1,100 1,100
M버스

(국토교통부)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2,600 (2,080) 2,900 M6405, M6410, M6628, M6724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1,550 (1,240) 1,750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1,300 (1,040) 1,300

대전광역시 시내버스[편집]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52년 계룡버스의 운행을 시작으로 처음 도입된, 대전광역시의 핵심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2005년 7월 4일부터 준공영제 및 무료 환승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버스 운행은 민간사업자가 전담하되 버스 노선과 배차 간격 등 운행계획과 실적 관리, 운송 수입금과 운송원가 관리 등은 대전시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요금은 201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시내 구간만을 이용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시내 외곽 지역은 지역별로 추가 운임을 징수하고, 2015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다.[8]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BRT 대인 (만 19세 이상) 1,700 1,9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1,100 1,300
어린이 (만 7세 ~ 12세) 700 700
일반 대인 (만 19세 이상) 1,250 1,4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750 900
어린이 (만 7세 ~ 12세) 350 400
마을 대인 (만 19세 이상) 1,100 1,2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650 700
어린이 (만 7세 ~ 12세) 300 350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편집]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1920년 7월 1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운행한 시내버스이다. 대구역을 기점으로 시내 각 방향과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일원 및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구미시와 경상남도 창녕군 외 일부 지역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로, 준공영제 및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요금은 거리비례식 요금이 아닌 단일 요금제이며, 교통카드 또는 현금으로 운임을 지불한다. 다음 표는 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로 전환하여 시행 중인 요금이다.[9]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급행

(좌석형)

성인 (만 19세 이상) 1,650 1,8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1,100 1,300
어린이 (만 7세 ~ 12세) 650 800
순환

간선 지선 (도시형)

성인 (만 19세 이상) 1,250 1,400
청소년 (만 13세 ~ 18세) 850 1,000
어린이 (만 7세 ~ 12세) 400 500

광주광역시 시내버스[편집]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서구, 광산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한다.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 환승제가 시행되고 있고,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좌석버스 제도가 좌석 02번을 제외하고 모두 폐지되어 도시형버스로 운영되었다. 따라, 운임은 버스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다. 다음 표는 2016년 8월 1일 시행한 시내버스 요금이다.[10]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현금 (원) 교통카드 (원)
좌석버스 성인 1,800 1,700
청소년 1,500 1,350
어린이 1,000 850
지선버스 성인 1,400 1,250
청소년 1,000 800
어린이 500 400

울산광역시 시내버스[편집]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의해 주로 울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체계이다. 지역적으로 울산광역시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나 일부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부산 금정구, 경상남도 양산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운행한다. 2019년 1월 1일부터 일부 노선에서 지정배차제를 시행하기 시작했고, 2019년 7월 1일에 개별노선제 전면시행으로 단독배차가 되었다. 요금은 거리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요금을 수수하고 있다. 다음 표는 2015년 기준 요금이며, 종전의 신분제를 폐지하고 연령제를 적용하였다.[11]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현금 (원) 교통카드 (원)
급행버스 성인 3,700 3,500
청소년 3,200 3,000
어린이 3,200 3,000
직행좌석버스 성인 2,300 2,080
청소년 2,000 1,700
어린이 1,300 1,300
일반버스 성인 1,300 1,250
청소년 900 820
어린이 500 450
지선버스 성인 950 900
청소년 750 670
어린이 400 380

부산광역시 시내버스[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과 그 시행령에 따라 주로 부산광역시 일원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일반적으로 부산시의 시내버스라고 하면 일반 버스, 급행버스, 좌석버스, 심야버스 모두를 지칭한다. 요금은 현금과 선불, 후불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고, 예전에 발행되었던 승차권과 토큰의 경우는 현재의 가격보다 낮으므로, 추가 요금을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요금제는 전 구간 균일요금제로, 이용한 구간에 상관없이 균일한 요금을 부과하지만, 환승하는 경우에는 이용한 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최고액을 부담한다. 다음 표는 2013년 기준 요금이며, 2021년까지 이어오고 있다.[12]

요금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종류 나이 현금 (원) 교통카드 (원)
시내버스 성인 1,300 1,200
청소년 900 800
어린이 400 350
급행버스

(좌석버스)

성인 1,800 1,700
청소년 1,700 1,350
어린이 1,300 1,200
급행

심야좌석

성인 2,200 2,100
청소년 1,900 1,550
어린이 1,500 1,400
일반

심야버스

성인 1,700 1,600
청소년 1,100 1,000
어린이 600 550

준공영제[편집]

시내버스의 준공영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버스 업체들의 적정 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에 노선 변경이나 증차를 할 때 관리, 감독 권한을 행사하는 제도다. 2004년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현재 전국 6대 도시에서 시행 중이다.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시행으로 50년 만에 부산의 시내버스는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버스 노선의 개편이 쉬워 수요가 있는 곳에는 언제든지 버스를 공급하는 체계가 마련되었고, 환승 시스템을 이용하면 저렴한 교통 요금으로 목적지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버스 정류장이 대폭 늘어난 덕분에, 버스 노선의 공공성 확보에도 성과를 거뒀다. 또한, 불필요한 중복 노선을 없애 전체 노선을 167개에서 134개로 줄였다. 노선 효율화로 시내버스 배차 간격이 평균 15.7분에서 11.4분으로 빨라졌고, 버스 한 대가 하루 운행하는 거리도 평균 717.9㎞에서 653.3㎞로 줄었다.[13] 이처럼, 준공영제를 시행하여 시내버스 운송 사업자의 경영 상태와 이용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지만, 울산시는 아직 준공영제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울산시의 시내버스 업계는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울산시는 준공영제 도입 시 재정 지원이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부정적인 입장이다. 따라, 울산시는 준공영제의 대안으로, 2019년 6월 울산 시내버스 혁신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울산형 다중복합운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대중교통의 공적 책임을 강화해 교통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당부하며 장기적으로 서비스 경쟁 체제의 조성과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4]

현황[편집]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2019년부터 버스 승강장과 버스 내부에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유도하고 시민들의 통신비 경감에 기여하고 있다. 40대 시내버스 설치를 시작으로 2019년에 총 263대의 모든 시내버스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고, 죽도시장, 도심환승센터 등 총 301개소의 시내버스 승강장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15]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버스 한쪽에 붙어 있는 안내 스티커를 확인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를 켜서 리스트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모든 공공 와이파이는 비밀번호 없이 접속할 수 있는 PublicWifi@BUS_Free_버스 번호와 비밀번호를 통해 보안 연결하는 PublicWifi@BUS_Secure_버스 번호로 나뉜다. 공공 와이파이는 일반 개방형 와이파이 연결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를 켜고 접속하는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자동으로 접속되는 팝업에서 빨간색 원형 와이파이 버튼을 누른 이후에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누르고, EAP 방식을 PEAP 방식으로 설정한다. 사용자 이름은 wifi, 비밀번호도 wifi로 설정한다. CA 인증서는 사용 안 함 혹은 인증함을 선택하고, 2단계 인증 항목도 설정 안 함 또는 없음으로 선택하고 연결한다. 아이폰의 경우 연결 방식이 다른데, 동일하게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에 wifi를 입력한 다음, radius라는 이름의 인증서를 신뢰하면 된다.[16] 이처럼, 국민의 편의를 위해 무료 와이파이망을 구축한 덕분에 어디서나 데이터 부담 없이 편리하게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가 쉽게 끊기는 트래픽 현상이 발생했다. 2020년 12월 기준, 18년간 와이파이 이용 현황을 조회해봤을 때, HD급 고화질 영화를 1,400만 편 시청한 것과 같은 데이터 용량이 측정되었다. 특히 출퇴근 시간과 겹치는 아침 시간과 저녁 시간에는 41%의 트래픽이 발생했다. 많은 인원의 이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트래픽 현상의 해결은 안정적인 와이파이망 구축을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또한, 사용법을 어려워하는 국민도 다수 존재하며, 이러한 국민들을 위해 좀 더 쉽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는 누구나 통신비 걱정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하며 즐거운 대중교통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버스 내부에서의 와이파이 지속적 운영에 대한 정책 방안을 2021년 상반기까지 마련할 예정이다.[17]

각주[편집]

  1. 시내-버스〉, 《네이버 국어사전》
  2. 시내버스〉, 《나무위키》
  3. 시내버스〉, 《위키백과》
  4. 시내 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5. 한국교통연구원, 〈시내버스 운전석에서는 왜 바람소리가 날까?〉, 《네이버 블로그》, 2021-07-28
  6.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7.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8.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9.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10.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11.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12.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13. 시내버스 준공영제〉, 《네이버 지식백과》
  14. 이춘봉 기자, 〈(지역 시내버스 업계 위기, 원인과 해법은)‘준공영제 병행’ 혁신위案도 근본대책 미흡〉, 《경상일보》, 2021-08-09
  15. 오주호 기자, 〈포항시, 시내버스 내부 및 승강장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 확대실시〉, 《프레시안》, 2021-08-16
  16. IT동아, 〈확대되는 시내버스 공공 와이파이, 기가급 속도에 보안까지 갖춘 'Secure'로 접속해야〉, 《네이버 포스트》, 2019-11-06
  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국 시내버스에 공공 와이파이 구축! 세계를 선도하는 K-버스〉, 《네이버 블로그》, 2020-12-2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시내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