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용주사'''(龍珠寺)는 [[경기도]] [[화성시]] 화산(花山)에 있는 조선후기 현륭원의 능사로 창건된 | + | [[파일:용주사 전경.jpg|썸네일|300픽셀|'''용주사'''(龍珠寺)]] |
+ | [[파일:용주사.jpg|썸네일|300픽셀|'''용주사'''(龍珠寺)]] | ||
+ | [[파일:홍살문과 삼문. 용주사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jpg|썸네일|300픽셀|홍살문과 삼문. 용주사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 | ||
+ | [[파일:용주사 대웅보전.jpg|썸네일|300픽셀|용주사 대웅보전]] | ||
+ | [[파일:부모은중경탑.jpg|썸네일|300픽셀|부모은중경탑]] | ||
+ | [[파일:용주사 사천왕문.jpg|썸네일|300픽셀|용주사 사천왕문]] | ||
+ | [[파일:전강대종사 사리탑.jpg|썸네일|300픽셀|전강대종사 사리탑]] | ||
+ | |||
+ | '''용주사'''(龍珠寺)는 [[경기도]] [[화성시]] 화산(花山)에 있는 조선후기 현륭원의 능사로 창건된 [[사찰]]이다. |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가 묻힌 융건릉 근처에 있다.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 확장되었다. 조선 정조때에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가 묻힌 융건릉 근처에 있다.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 확장되었다. 조선 정조때에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 ||
+ | |||
+ | == 개요 == | ||
+ | 본래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 ||
+ | |||
+ | 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 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불교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낙성식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고 그리하여 용주사는 효심의 본찰로서 불심과 효심이 한데 어우러지게 되었다. 전국 5규정소(糾正所:승려의 생활을 감독하는 곳) 중의 하나가 되어 승풍을 규정했으며, 팔로도승원(八路都僧院)을 두어 전국의 사찰을 통제했다. | ||
+ | |||
+ | 또한 일찍이 31본산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수원, 용인, 안양 등 경기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80여개의 말사,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현재 절의 신도는 약 7천여 세대에 달하며 정기, 비정기적으로 많은 법회가 이루어지고 또 법회를 통해 교화활동을 행하고 있다. 용주사는 이와 같은 수행자들이 모여 면벽참선하면서 진리를 찾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대중포교 활동을 통해 부처님의 지혜를 전하며, 또한 정조의 뜻을 받들어 효행교육원을 설립, 운영을 통해 불자교육을 서원으로 일반인도 누구든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효행교육으로 불교신행관과 인성교육을 사회로 회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
== 역사 == | == 역사 == | ||
13번째 줄: | 28번째 줄: | ||
일반적으로 절을 창건할 때에는 승려들이 시주받아 승려장인들이 설계와 시공을 전적으로 담당하였지만, 용주사를 창건할 때에는 관아 주도로 비용을 전국에서 모았을 뿐만 아니라 관청에 속한 장인과 승려장인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2006년쯤에 일주문(인왕(불교) 벽화가 그려져 있었던 이 문)이 천왕문으로 개조되었고, 사천왕이 만들어졌다. | 일반적으로 절을 창건할 때에는 승려들이 시주받아 승려장인들이 설계와 시공을 전적으로 담당하였지만, 용주사를 창건할 때에는 관아 주도로 비용을 전국에서 모았을 뿐만 아니라 관청에 속한 장인과 승려장인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2006년쯤에 일주문(인왕(불교) 벽화가 그려져 있었던 이 문)이 천왕문으로 개조되었고, 사천왕이 만들어졌다. | ||
+ | |||
2020년 8월 20일 호성전에서 화재가 발생해서 전소했다. 이 호성전은 사도세자, 정조, 혜경궁 홍씨, 효의왕후 김씨의 위패를 봉안하던 곳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위패들도 진품들은 용주사 내 효행박물관에 따로 보관하고 있었고, 특히 정조의 위패는 전시를 위해서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하고 있었다. 호성전에는 리플리카(복제품)를 전시했다. 그래서 진품 위패들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 2020년 8월 20일 호성전에서 화재가 발생해서 전소했다. 이 호성전은 사도세자, 정조, 혜경궁 홍씨, 효의왕후 김씨의 위패를 봉안하던 곳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위패들도 진품들은 용주사 내 효행박물관에 따로 보관하고 있었고, 특히 정조의 위패는 전시를 위해서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하고 있었다. 호성전에는 리플리카(복제품)를 전시했다. 그래서 진품 위패들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 ||
31번째 줄: | 47번째 줄: | ||
정조가 아버지를 위해 지은 절답게 장려한 감로탱화가 있다. | 정조가 아버지를 위해 지은 절답게 장려한 감로탱화가 있다. | ||
+ | [[파일:용주사 가람 전경.gif|썸네일|800픽셀|용주사 가람 전경]] | ||
== 소장 문화재 == | == 소장 문화재 == | ||
59번째 줄: | 76번째 줄: | ||
* 화성 용주사 목조소대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 * 화성 용주사 목조소대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 ||
* 화성 용주사 청동시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6호 | * 화성 용주사 청동시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6호 | ||
+ | |||
+ | == 이용안내 == | ||
+ | * 용주사문화재구역 입장료 : 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700원 | ||
+ | * 효행박물관 | ||
+ | :* 이용시간 : 오전 10시~ 오후 17시(동절기) 오전 10시~ 오후 18시까지 (하절기) | ||
+ | * 템플스테이 : 용주사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안내는 〈[http://kb5.templestay.com/index.asp?t_id=yongjoosa '''여기클릭''']〉 | ||
+ | |||
+ | == 교통안내 == | ||
+ | === 자가용 이용시 === | ||
+ | ;수원에서 | ||
+ | * (남쪽) 오산방면→8K병점→서쪽 수원대학 방면→3Km 용주사 | ||
+ | * 수원역(남쪽에서) 서쪽방면으로 →6Km(수원)한국방송통신대학→3Km융건릉→2Km용주사 | ||
+ | |||
+ | ;경부고속도로에서 | ||
+ | * 기흥IC(서쪽)→6Km수원→3Km병점→3Km용주사 | ||
+ | * 오산IC(북쪽)→7Km병점→3Km용주사 | ||
+ | * 수원IC(남쪽)→9Km병점→3Km용주사 | ||
+ | |||
+ | ;서울에서 | ||
+ | * 경부고속도로 이용표 참조 | ||
+ | * 과천↔봉담 고속화도로 이용 → 봉담(종점에서 좌향:동쪽) →1km수영리사거리→우회하여 3km 융건릉(사도세자릉) →2km용주사 | ||
+ | |||
+ | ;서해안고속도로에서 | ||
+ | * 비봉IC(좌향:동쪽)→6km(수원 한국방송통신대)→4km융건릉 →2km용주사 | ||
+ | |||
+ | === 대중교통 이용시 === | ||
+ | ;전철 이용시 | ||
+ | * 병점역 하차 →병점역 후문, 버스 이용 | ||
+ | |||
+ | ;버스 이용시 | ||
+ | * 수원남문(팔달문), 수원역 46번 | ||
+ | * 수원영통, 화성시 병점 34, 34-1 | ||
+ | * 화성동탄, 병점 50번, 35-1 | ||
+ | |||
+ | ; 정기법회일 차량운행안내 | ||
+ | * 병점초교앞→홈에버앞→병점역후문→용주사 | ||
+ | ::(08:20 08:25 08:30 12:10) | ||
+ | ::(09:00 09:05 09:15 12:50) | ||
+ | ::(09:40 09:45 09:45 13:30) | ||
+ | |||
+ | == 지도 == | ||
+ | {{지도|용주사}} | ||
+ | |||
+ | == 동영상 == | ||
+ | <youtube>29QfJN9VBdA</youtube> | ||
+ | <youtube>V9fsiVau9J0</youtube> | ||
+ | <youtube>XzjekUSi8Sg</youtube> | ||
+ | <youtube>WqcFrI5QkE4</youtube> | ||
+ | |||
+ | == 참고자료 == | ||
+ | * 용주사 공식 홈페이지 - http://www.yongjoosa.or.kr/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C%A3%BC%EC%82%AC#%EA%B0%81%EC%A3%BC 용주사]〉, 《위키백과》 | ||
+ | * 〈[https://namu.wiki/w/%EC%9A%A9%EC%A3%BC%EC%82%AC 용주사]〉, 《나무위키》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674 용주사(龍珠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 〈[https://leeesann.tistory.com/3974 펜펜의 나홀로 여정 :: 화성 용주사가 일반사찰과 다른 5가지 특이점]〉, 《티스토리》, 2014-08-29 | ||
+ | * 〈[http://www.k-heritage.tv/brd/board/256/L/CATEGORY/615/menu/254?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615&bbIdx=2165&brdType=R&tab= 용주사]〉, 《문화유산채》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64번째 줄: | 137번째 줄: | ||
* [[경기도]] | * [[경기도]] | ||
* [[화성시]] | * [[화성시]] | ||
+ | * [[정조]] | ||
+ | * [[사도세자]] | ||
+ | * [[수원화성]] | ||
+ | * [[융건릉]] | ||
− | {{한국관광지| | + | {{한국관광지|검토 필요}} |
2022년 12월 27일 (화) 20:19 판
용주사(龍珠寺)는 경기도 화성시 화산(花山)에 있는 조선후기 현륭원의 능사로 창건된 사찰이다.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가 묻힌 융건릉 근처에 있다. 이 절은 신라 말기인 854년에 廉巨和尙(염거화상)이 지었고, 원래 이름은 갈양사(葛陽寺)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 확장되었다. 조선 정조때에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이다.
목차
개요
본래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 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불교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낙성식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고 그리하여 용주사는 효심의 본찰로서 불심과 효심이 한데 어우러지게 되었다. 전국 5규정소(糾正所:승려의 생활을 감독하는 곳) 중의 하나가 되어 승풍을 규정했으며, 팔로도승원(八路都僧院)을 두어 전국의 사찰을 통제했다.
또한 일찍이 31본산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수원, 용인, 안양 등 경기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80여개의 말사,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현재 절의 신도는 약 7천여 세대에 달하며 정기, 비정기적으로 많은 법회가 이루어지고 또 법회를 통해 교화활동을 행하고 있다. 용주사는 이와 같은 수행자들이 모여 면벽참선하면서 진리를 찾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대중포교 활동을 통해 부처님의 지혜를 전하며, 또한 정조의 뜻을 받들어 효행교육원을 설립, 운영을 통해 불자교육을 서원으로 일반인도 누구든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효행교육으로 불교신행관과 인성교육을 사회로 회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역사
본래 이곳은 아무것도 없었으나, 정조가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장할 때 무덤을 돌보는 '능침사찰'로 용주사를 같이 창건하였다. 용주사에서는 사격(寺格)을 높이기 위해 근처에 있던 갈양사(葛陽寺)라는 절을 이었다고 말하지만, 실질적인 창건은 정조 임금이 하였다. 조선 전기의 세조랑 비슷한 이미지.
갈양사는 '갈양사사적기'란 기록으로 보건데 고려시대(10세기)에 확장된 듯하다. 문제는 이 기록이 이능화의 조선사찰전서에 남은 기록이라 원본을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고려시대 고승들이 지방의 사찰을 '산소(山所)'로 정하고 거기에서 말년을 보낸 전통이 여럿 있었으므로, 갈양사도 그러한 절이었던 듯하다. 그리하여 고려의 고승인 혜소가 갈양사를 자신이 거처할 장소로 삼아 후대로 내려왔으나 언제인가 망해서 폐사지가 되었다.
그러던 중 18세기 조선 시대에 뒤주에서 죽은 비운의 아버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정조가 명을 내려 용주사가 창건되었다. 1779년에 정조가 옛날 수원부 읍치(현재 화성태안3지구)를 현재의 수원 화성으로 옮기고, 그 자리에 사도세자의 묘를 새로 조성하여 현륭원(顯隆園)이라 이름 붙였다. 이름해인 1780년에는 현륭원에서 가까운 갈양사의 옛 터에 새로이 절을 지었다. 특기할 점은 용주사 창건이 정조가 직접 명하여 국가공사로 이루어졌으며, 비용도 각 궁가와 중앙 및 지방의 관가로부터 충당하였다는 것이다. 숭유억불이 기본인 조선시대에는 상당히 이례적인 사례이다.
정조는 1795년 윤 2월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수원 화성행궁으로 행차하여 아버지가 묻힌 현륭원(현재 융건릉)에 참배하였다. 이튿날에는 화성행궁에서 어머니를 위하여 회갑연을 크게 지냈다. 혜경궁 홍씨와 사도세자는 동갑이었으므로, 먼저 아버지 무덤에 참배한 뒤 다음 날 어머니의 육순잔치를 한 것이다.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경기도유형문화재 제16호)[1]에는 '자궁저하 수만세(慈宮邸下 壽萬歲)'라는 글귀가 있는데, 여기서 자궁(慈宮)이란 임금의 어머니를 뜻한다. 따라서 '자궁저하 수만세'는 "임금님의 어머니께선 만수무강하십시오." 라는 뜻이다. 정조는 용주사를 통하여 죽은 아버지의 명복과 살아계신 어머니의 만수무강을 동시에 빈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을 창건할 때에는 승려들이 시주받아 승려장인들이 설계와 시공을 전적으로 담당하였지만, 용주사를 창건할 때에는 관아 주도로 비용을 전국에서 모았을 뿐만 아니라 관청에 속한 장인과 승려장인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2006년쯤에 일주문(인왕(불교) 벽화가 그려져 있었던 이 문)이 천왕문으로 개조되었고, 사천왕이 만들어졌다.
2020년 8월 20일 호성전에서 화재가 발생해서 전소했다. 이 호성전은 사도세자, 정조, 혜경궁 홍씨, 효의왕후 김씨의 위패를 봉안하던 곳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위패들도 진품들은 용주사 내 효행박물관에 따로 보관하고 있었고, 특히 정조의 위패는 전시를 위해서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하고 있었다. 호성전에는 리플리카(복제품)를 전시했다. 그래서 진품 위패들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조포사
조포사(造泡寺)란 말은 두부를 만드는 절이란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두부를 포(泡)라고 하였으며, 왕릉이나 원에 딸려 제사에 쓰는 두부를 만드는 절을 조포사라고 불렀다. 즉, 능침사찰을 조포사라고 한다.
조선시대 조포사로는 신덕왕후 정릉에 딸린 흥천사와 봉국사, 경국사가 있으며, 성종 선릉에 딸린 봉은사, 세조 광릉의 봉선사, 그리고 용주사 등이 있다. 이러한 절들을 위축전, 자복사라고도 불렀다.
흥선대원군의 삼각산 화계사나 태조의 회암사처럼 조포사는 아니어도 왕실인물이 개인적으로 후원하여 번창한 왕실원찰도 있었다.
가람
숭유억불이 기본정책인 조선시대지만, 왕이 세운 조포사였기 때문에 절의 규모나 문화재 등이 온전하게 남았다. 또한 거의 산으로 들어간 절과 달리 비교적 평지인 곳에 넓게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회암사처럼 본격적인 궁궐 형식은 아니지만, 그래도 일반적인 절과 다르게 궁궐, 관아 건축의 양식이 섞였다.
- 일주문과 사천왕문 : 여느 절이라면 세속과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일주문이 있어야 하지만, 용주사에는 원래 일주문과 사천왕문이 없었다. 오늘날 용주사에 있는 사천왕문은 현대에 세워진 것이다.
- 홍살문 : 국가에서 효심이 지극한 인물에게나 내렸던 홍살문이 있다. 다른 절에는 찾기 힘든 요소로, 사도세자와 정조의 위패를 모신 능침사찰이기 때문이다.
- 삼문과 돌길 : 홍살문을 지나 만나는 삼문 역시 궁궐양식이다. 좌우 행랑 7칸인 문으로, 문이 3개가 있다고 해서 삼문이라 부른다. 돌길 역시 다른 절에서 찾아보기 힘은 것으로, 마치 궁궐에 있는 어도를 연상케 한다.
- 천보루 : 삼문 안쪽의 5층 석탑을 지나면 누각인 천보루가 보인다. 누각이야 다른 절에도 있지만, 천보루에는 궁궐 형식이 섞여있다. 목조기둥 아래에 높은 돌로 만들어진 석조기둥을 볼 수 있는데, 경회루 등 궁궐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또한 천보루 좌우로 행랑을 만들어 대웅전을 보호하듯이 둘렀는데, 조선시대의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다. 참고로 천보루는 창건 당시에 지어진 건물이지만, 1층 돌기둥 옆의 공간을 막아 방으로 쓰는 것은 현대에 한 개조이다.
- 대웅보전 : 크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몇 가지 요소에서 격식이 높음을 드러낸다. 자연석이 아니라 다듬어진 장대석을 기둥 밑에 두어 초석으로 삼았는데, 조선시대에는 아무 건물이나 이렇게 할 수는 없었다. 그 외에도 연화무늬 대신 삼태극 등 무늬를 쓴 모습이나 지붕에 작은 용두를 올린 것 등 여느 절과 다른 점이 좀 있데, 관아 건축을 담당한 인력들과 왕의 후원이 있었으리라 추정되는 점이다. 조선 후기 건축답게 공포가 다포식이며 팔작지붕이다. 편액 좌우로 조각된 용이 인상 깊다.
정조가 아버지를 위해 지은 절답게 장려한 감로탱화가 있다.
소장 문화재
국보
- 용주사 동종 - 국보 제120호
보물
-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보물 제1754호
-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 보물 제1942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 용주사상량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호
- 전적수사본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4호
- 용주사병풍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호
-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호
- 화성용주사오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 화성용주사대웅보전목조삼세불좌상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4호
- 화성 용주사 목조감실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2호
- 화성 용주사 지장전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일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 화성 용주사 삼장보살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 화성 용주사 중종 - 경기도 제226호
- 화성 용주사 남무대성인로왕보살번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37호
- 화성 용주사 전답양안2건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경기도 문화재자료
- 용주사천보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6호
- 화성 용주사 목조불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1호
- 화성 용주사 목조소대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 화성 용주사 청동시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6호
이용안내
- 용주사문화재구역 입장료 : 어른 1,5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700원
- 효행박물관
- 이용시간 : 오전 10시~ 오후 17시(동절기) 오전 10시~ 오후 18시까지 (하절기)
- 템플스테이 : 용주사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클릭〉
교통안내
자가용 이용시
- 수원에서
- (남쪽) 오산방면→8K병점→서쪽 수원대학 방면→3Km 용주사
- 수원역(남쪽에서) 서쪽방면으로 →6Km(수원)한국방송통신대학→3Km융건릉→2Km용주사
- 경부고속도로에서
- 기흥IC(서쪽)→6Km수원→3Km병점→3Km용주사
- 오산IC(북쪽)→7Km병점→3Km용주사
- 수원IC(남쪽)→9Km병점→3Km용주사
- 서울에서
- 경부고속도로 이용표 참조
- 과천↔봉담 고속화도로 이용 → 봉담(종점에서 좌향:동쪽) →1km수영리사거리→우회하여 3km 융건릉(사도세자릉) →2km용주사
- 서해안고속도로에서
- 비봉IC(좌향:동쪽)→6km(수원 한국방송통신대)→4km융건릉 →2km용주사
대중교통 이용시
- 전철 이용시
- 병점역 하차 →병점역 후문, 버스 이용
- 버스 이용시
- 수원남문(팔달문), 수원역 46번
- 수원영통, 화성시 병점 34, 34-1
- 화성동탄, 병점 50번, 35-1
- 정기법회일 차량운행안내
- 병점초교앞→홈에버앞→병점역후문→용주사
- (08:20 08:25 08:30 12:10)
- (09:00 09:05 09:15 12:50)
- (09:40 09:45 09:45 13:30)
지도
동영상
참고자료
- 용주사 공식 홈페이지 - http://www.yongjoosa.or.kr/
- 〈용주사〉, 《위키백과》
- 〈용주사〉, 《나무위키》
- 〈용주사(龍珠寺)〉,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펜펜의 나홀로 여정 :: 화성 용주사가 일반사찰과 다른 5가지 특이점〉, 《티스토리》, 2014-08-29
- 〈용주사〉, 《문화유산채》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