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썸네일|300픽셀|청사 '''청사'''(廳舍)은 고관청의 사무실로 쓰는 건물을 뜻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2%AD%...)
 
(차이 없음)

2023년 7월 4일 (화) 15:54 기준 최신판

청사

청사(廳舍)은 고관청의 사무실로 쓰는 건물을 뜻한다.[1]

개요[편집]

청사는 공공기관인 정부청사의 줄임말로도 쓰인다.(예: 정부서울청사,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 정부과천청사 등)

당연하지만 정부청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전원 국가공무원이다. 지방청 소속이라고 해도 국가공무원이다.[2]

정부종합청사[편집]

정부종합청사(政府綜合廳舍 / Government Complex)는 정부 산하 각 행정기관을 수용하여 행정의 능률성을 높이고 국민의 행정기관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한 건물이다. 엄밀한 경우 지방정부가 입주한 건물도 정부종합청사로 분류할 수 있지만 본문의 경우 방대한 행정조직들을 수용하는 중앙정부 위주로 서술한다. 중앙정부의 경우 크게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이 모여 있는 정부종합청사와 정부 부처의 지방 소속기관들을 모아놓은 정부지방통합청사로 나뉜다.

최초의 정부종합청사는 1970년 건립된 정부서울청사(구 정부중앙청사)이다. 이전에는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 등 정부 기관이 흩어져 있어서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이후 수도권 인구 분산을 시행하기 위해서 1975년 정부과천청사 설립이 계획되었고 1982년부터 1994년까지 건설되었다. 이후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서 대전광역시의 둔산신도시에 1997년 정부대전청사가 지어졌다. 무려 20층 건물 4개 동으로 외청들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였다. 이후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에 따라 현 세종특별자치시에 정부세종청사가 새로 건립되었다.

정부의 모든 종합 및 합동청사는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 소속 각 청사관리소(또는 지소)에서 관리한다.

중앙행정기관 청사[편집]

수도권의 정부서울청사, 정부과천청사, 충청권의 정부세종청사, 정부대전청사 등 중앙행정기관이 밀집된 청사는 수도권과 충청권이 양분하며 상당한 혜택을 입고 있다.

정부서울청사[편집]

정부서울청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에 있는 정부종합청사. 정확히는 정부서울청사 본관, 정부서울청사 별관,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옛 이름은 건축 당시에는 정부종합청사였으며, 이후 정부과천청사가 만들어지자 정부중앙청사가 되었다. 2013년 1월 1일, 대부분의 부처가 행정중심복합도시 계획으로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면서 명칭을 '정부서울청사'로 바꾸었다. 명칭 변경 당시 일부 사람들은 '수도 서울을 버리는 속셈이지 않겠냐'며 반발했다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처음에 삼군부 청사가 들어섰다가 예조 청사로 바뀌었고,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당시 예조가 이전하고 다시 삼군부 청사가 들어섰다. 삼군부 청사 건물은 일제강점기 이후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삼군부 총무당과 청헌당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 남아 있다.

중앙행정기관은 과거 광화문과 경복궁 자리에 있던 중앙청(구 조선총독부 청사)을 중심으로 사무공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정부 기능의 다원화로 행정기구가 확대됨에 따라 청사 공간이 부족해졌고, 일반인 소유의 건물을 임차하여 사용하게 되었으며 청사 자체 보유 기관도 노후했다. 이에 각 부처를 집중 수용함으로써 행정 능률을 높이고 국민의 이용 편의를 증진하고자 정부청사 건립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3]

특별지방행정기관 청사[편집]

위의 종합청사들과는 달리 중앙 부처의 지방청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자체 청사가 없어 여기저기 임대해 가며 돌아다녔거나, 청사가 있더라도 낡고 비좁아 확장이나 재건축이 필요했던 여러 지방청들을 위해 정부가 국가기관청사 합동화 계획을 세웠고, 이에 따라 지역별로 큰 청사를 지어 한 곳에 입주시켜 놓은 것이다.

정부지방합동청사는 대외적으로는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의 특별지방행정기관들을 모아 행정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명분으로 설치가 시작되었으나, 한편으로는 설치가 춘천, 제주, 광주 순으로 진행된 것처럼 비경부축의 개발 소외 권역에 우선 설치하여 균형 발전을 꾀하려는 숨은 목적도 있었다. 하지만, 여느 국책 사업이 그렇듯 점차 지역구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등 정치인들의 국비 따먹기 먹잇감이 되어 설계 혹은 착공에 들어간 청사를 포함하여 경상권 4개(대구, 경북, 부산-설계 중, 경남), 수도권 2개(인천, 고양), 전라권 1개(광주), 충청권 2개(충남, 천안-계획 중), 강원권 1개(춘천) 등 경상권에 무려 4개의 정부지방합동청사가 지어지는 등 정부지방합동청사와 관련하여 경상권이 가장 많은 혜택을 입게 되었다. 심지어 울산도 정부지방합동청사를 만들어놓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수도권과 충청권은 정부지방합동청사 개수는 경상권보다 적지만 더 파급 효과가 큰 중앙행정기관이 들어서 있는 정부종합청사를 2개씩이나 보유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정부지방합동청사 역할을 하고 있는 나라키움 청사가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대전에 2곳이나 있으니 실질적으로 청사로 인한 혜택은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순이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경부축인 강원권, 전라권, 제주권은 정부청사(정부지방합동청사 포함) 관련 사업에서도 후순위로 밀려버린 셈이고, 정부지방합동청사 건설로 해당 지역에는 건설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 돈이 돌아 이득을 볼 수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입주 기관 간의 교류가 크지는 않아 효과를 거두었다고 보긴 어려운 실정이다. 행정안전부 내부적으로는 조직이 확장되어 예산과 보직이 늘었으니 이득이긴 하다.

지방합동청사 중 기초자치단체의 이름을 달고 있는 곳은 춘천과 고양뿐이지만 다른 곳도 광역자치단체의 이름만 달고 있을 뿐 관할 지역 내의 모든 지방청을 모두 모아둔 곳은 아니다. 또 춘천은 강원도, 고양은 경기도 북부의 대표성을 가졌다고 짐작해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경기도는 인구가 많고 강원도는 지리적 단절 문제로 경기도나 강원도에는 향후 추가로 지방합동청사가 더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수원, 강릉 등).

청사 내 입주한 기관들은 거의 대부분 정부 기관이자 관공서이지만 제주청사에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은 지방자치단체(제주특별자치도) 산하의 관공서이며, 제주스마트쉼센터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고양센터는 공공법인 소속이다. 그러나 여성가족부 관할인 건 함정. 짓긴 지어놨는데, 공간이 남아도니까 이것저것 집어넣는 듯하다. 처음에 입주한다고 했다가 부처별 기관별 예산 등 제반 사정 변경으로 못 들어가겠다고 하는 기관도 있고 처음부터 입주 의사가 없는데 지역구 국회의원이나 단체장 등이 우겨서 유치해놓고 억지로 들어가라고 강요하는 곳도 있다.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편집]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위치하고 있는 정부지방합동청사이다. 중앙행정기관 소속 광주, 전남 지역 관할 특별지방행정기관들의 사무공간 통합을 통한 행정업무의 효율화를 위해 만들어졌다. 비슷한 시기에 계획된 제주합동청사와 함께 노후화된 청사나 임대청사를 쓰던 각 기관들을 예산 절감과 효율화를 위해 통합화한 사례의 시작으로 지방의 행정중심지에 합동청사가 계획되기 시작했다.

2005년 설계 완료 후 2008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47,480m²의 대지에 연면적 50,310m² 규모의 지하 2층, 지상 17층의 건물이다. 저층부와 고층부로 나뉘어져 있어 겉보기에는 2개의 건물로 보이기도 한다.[4]

질병관리청[편집]

질병관리청 청사

질병관리청은 사람의 보건향상을 위해 설립된 보건복지부 소속 기관이다. 약칭은 '질병청'이다.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생물 안전도 4등급(BSL level 4)의 전염성 매개체를 다룰 수 있는 실험실을 청사 내에 갖추고 있다.

매년 지역사회건강조사(매년 8월 16일-10월 31일)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전국 보건소와 함께 주관, 실시한다.

이승만 정부 이래 질병, 보건의 연구관리 기관의 통합과 분리가 이루어져 왔다.

1945년 해방 직후 모범 연구소, 조선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설립이 되었다가 1959년 중앙보건원으로 통합 출범,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63년 국립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보건요원양성소, 국립생약시험소가 국립보건원으로 통합되고 1966년 국립보건연구원으로 개칭되면서 보건, 질병 연구기관의 기틀이 만들어 졌다.

전두환 정부 시절인 1981년 국립보건원으로 개칭되고 국민의 정부가 집권한 1999년 전염병관리부가 신설되었지만,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확대 개편은 2004년에 이루어졌다. 2003년 사스 사건 당시 감염병 및 방역 담당 부서는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원의 2-3명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체계적인 감염병 대책을 위한 기구 신설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정은경 청장에 따르면 사스 극복 후 노무현 前 대통령과 평가 대회를 하는 과정에서 질본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를 모델로 하여 질병관리본부(KCDC)가 설립되었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 세계적인 대유행과 신천지 대구교회 집단감염으로 시작된 국내 대규모 감염이 발생하면서, 정부의 방역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커지게 된다. 2020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이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할 것을 예고했고, 2020년 8월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그리고 2020년 9월 12일에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되었다. 두세 명으로 시작한 조직이 16년 만에 '본부'를 지나 1,500여 명이 일하는 '청'급으로 승격된 것이다.[5]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청사〉, 《위키백과》
  2. 청사〉, 《나무위키》
  3. 정부서울청사〉, 《나무위키》
  4.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나무위키》
  5. 질병관리청〉,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청사 문서는 건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