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류성룡(柳成龍)은 조선 중기에, 이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징비록』 등을 저술한 문신이다
개요
- 류성룡은 조선의 문신, 외교관, 학자이다.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과 구 안동 김씨 진사(進士) 김광수(金光粹)의 딸 김소강(金小姜)의 아들로 외가가 있던 경상북도 의성에서 태어났다. 그 후 안동에서 지내다가 20대에 퇴계 이황의 제자로 들어갔다. 책을 읽을 때 한 번 눈을 스치면 환히 알아 한 글자도 잊어버리는 일이 없었을 정도로 머리가 좋아 이황의 수제자로 명망이 높았으며 이황도 "이 사람은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天之所出者)"라며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어린 시절 한양으로 올라와서 지냈다고 하는데 이때 충무공 이순신과도 친밀하게 지냈다. 1564년 명종 때에 사마시(소과)에 합격했고 1566년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여러 내직을 거쳤으며 선조가 즉위한 뒤에도 중용되어 그럭저럭 순탄한 관직 코스를 밟았으며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다만 그가 활동을 시작한 시기는 선조의 즉위와 함께 갓 집권한 사림파가 다시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지는 시기였고 류성룡도 당쟁에 휩쓸리게 되었는데 그는 상대적으로 이황과 조식의 제자가 많았던 동인에 속했다. 특히 정여립의 난과 관련한 기축옥사와 그와 관련한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있었는데 그는 원만한 처신과 선조의 비호로 별 피해를 입지 않았다. 그러나 건저 문제(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의 영수 정철이 실각하자 이후 서인에 대한 처우를 두고 동인이 이산해, 정인홍이 이끄는 강경파 북인과 온건파 남인으로 분열하는데 류성룡은 남인의 영수가 되었으며 이 무렵 우의정에 임명되어 마침내 정승이 되었다. 1604년 은거하던 안동 하회마을이 수해를 입는 바람에 하회마을에서 풍산 서미동으로 옮겨 살았고 1607년 5월 6일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류성룡의 문집 《서애집》의 '서애 선생 연보'에는 말년에 "조용히 살다가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다"며 손님들을 물리치며 살았다고 하며 류성룡이 임종하는 모습이 상세히 적혀 있다.[1]
- 류성룡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의학자, 저술가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경상도 의성의 외가에서 태어났으며,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의 손자이며,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의 차남이다. 이황의 문하에서 후에 1590년 통신사로 갔던 조목(趙穆)·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으며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과거를 통해 관료로 등용되어 서인이 아닌 이산해와 같은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를 계기로 강경파인 아계 이산해, 정인홍 등과 결별하고 남인을 형성하였다. 죽을 때까지 청렴하고 정직한 삶을 살았던 청백리이면서 '조선의 5대 명재상(名宰相)'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순신과는 어려서부터 같은 동네에서 함께 자란 절친한 사이로서 후견인 역할을 하였으며 이순신의 형 이요신과 친구 사이기도 하다. 1604년(선조 37) 호성(扈聖) 공신에 책록되었다.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에 66세(만 6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사당을 병산서원 뒤에 세우고 여산(廬山)의 퇴계묘(退溪廟)에 함께 모셨다.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풍원 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호계서원(虎溪書院)과 병산서원(屛山書院) 남계서원 삼강서원 도남서원 빙계서원 등에 위패가 모셔져 제향하게 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2]
- 류성룡은 조선 중기 문신이다.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都體察使)로 군무를 총괄, 이순신, 권율 등 명장을 등용하여 국난을 극복한 명재상이다. 본관 풍산(豊山). 자 이현(而見). 호 서애(西厓). 시호 문충(文忠). 의성 출생. 이황(李滉)의 문인. 1542년 황해도 관찰사 유중영(柳仲郢)과 진사 김광수(金光粹)의 딸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퇴계 이황에게서 성리학을 익혔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를 거쳐, 156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검열과 춘추관기사관을 겸하였고, 1569년(선조 2)에는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갔다가 1570년 귀국하였다. 1588년 양관(兩館) 대제학이 되었다. 1598년 명나라 경략(經略) 정응태(丁應泰)가 조선이 일본과 연합,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이 사건의 진상을 변명하러 가지 않는다는 북인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했다. 1600년에 복관되었으나, 다시 벼슬은 하지 않고 은거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바둑을 둘 줄 모르는 선조에게 대국을 요청하자 그는 우산에 구멍을 뚫어 훈수함으로써 이여송을 무릎 꿇게 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질 만큼 바둑의 애호가였다. 1995년 9월 특별대국에서 이창호(李昌鎬)와 맞대결한 류시훈(柳時熏)은 그의 14세손이라고 한다. 안동의 호계서원(虎溪書院) ·병산서원(屛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서애집》 《징비록(懲毖錄)》 등이, 편서에 《황화집(皇華集)》 《정충록(精忠錄)》 등이 있다.[3]
- 류성룡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 증조할아버지는 류자온(柳子溫)이고, 할아버지는 류공작(柳公綽)이다.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류중영(柳仲郢)이며, 어머니는 진사 김광수(金光粹)의 딸이다. 아들 수암 류진(柳袗)과 손자 졸재 류원지는 그의 도학(道學)을 계승하였다. 1594년(선조 27) 훈련도감이 설치되자 제조(提調)가 되어 『기효신서(紀效新書)』(중국 명나라 장수 척계광이 왜구를 소탕하기 위하여 지은 병서)를 강해(講解)하였다. 또한 호서의 사사위전(寺社位田)을 훈련도감에 소속시켜 군량미를 보충하고 조령(鳥嶺)에 관둔전(官屯田) 설치를 요청하는 등 명나라 및 일본과 화의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군비를 보완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였다. 1598년(선조 31) 명나라 경략(經略) 정응태(丁應泰)가 조선이 일본과 연합하여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사건의 진상을 알리러 가지 않는다는 북인들의 탄핵을 받아 삭탈관직 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복관되었으나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하였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김성일(金誠一)·권호문(權好文) 등과 동문수학했으며 서로 친분이 두터웠다. 도학과 문장, 덕행, 서예에 뛰어났다. 1590년(선조 23)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안동의 호계서원(虎溪書院)과 병산서원(屛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4]
류성룡에 대한 평가
- 류성룡은 친우인 이순신 덕분에 조선 시대 재상 중에서도 대중들의 인지도가 높다. 후세에는 조선 최고의 명재상 중 하나라 평가받는 인물이다. 류성룡은 퇴계 학풍을 계승한 인물로 근원적인 예학을 추구하기는 했지만, 왜란 때의 행보를 보면 현실 문제에도 관심이 많아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이라 하여 대동법의 전신격인 제도를 주장해서 실현시키기도 했다. 다만 실록에는 그의 단점을 들어 "재상으로서의 줏대가 없었으며 옳지 못한 일을 간하는 것이 없었다."는 등 다소 좋지 않은 평이 있다. 실제로 이순신이 탄핵 될 때 류성룡은 당시 분위기 때문에 이순신을 제대로 구원하지 못했다. 실록에 기록된 당시 어전에서의 발언을 보면 오히려 류성룡이 이순신의 모함에 소극적으로라도 편승하는 듯한 모양새를 취하기도 한다. 조정 신하들 중 정탁과 이원익 두 사람만이 이순신의 변호를 했고, 결국 이순신은 백의종군 처벌로 끝났다.
- 류성룡이 임진왜란 지휘와 수습에 많은 공을 세웠던 사실은 변함이 없다. 그 뛰어난 일솜씨와 전란 극복의 공적은 당대 신하들도 인정하는 바였고 특히 훈련도감의 창설로 인해 조선 후기의 군제에 영향을 끼친 것도 업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난 일을 반성하여 앞으로의 일을 경계한다."는 의미에서 역작 징비록을 저술했으니, 이것들만 봐도 류성룡은 충분히 명신 대열에 들어갈 만한 인물이다. 징비록에도 본인이 기록한 어설픈 일처리로 화를 부른 사례가 있다. 이여송의 부대가 보급을 논의할 때 평양을 탈환하면 곡식이 있을 것이라는 식으로 둘러댔다가 고니시가 철수하고 곡식이 없자, 개성에는 있을 것이라고 둘러댄 것. 그러나 개성에도 식량이 부족했다. 그 결과 명군은 식량과 말먹이가 부족하여 일본군의 군량을 빼앗아야 한다는 조급함으로 벽제관 전투에서 패하고 수많은 군마가 말먹이 부족으로 폐사한다. 결과적으로 명군 장수들은 류성룡을 아첨하는 간신으로 평가하게 된다.
류성룡의 저서
- 류성룡은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다시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도학(道學)·문장(文章)·덕행(德行)·글씨로 이름을 떨쳤고, 특히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았다. 묘지는 안동시 풍산읍 수리 뒷산에 있다. 안동의 병산서원(屛山書院)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서애집(西厓集)』·『징비록(懲毖錄)』·『신종록(愼終錄)』·『영모록(永慕錄)』·『관화록(觀化錄)』·『운암잡기(雲巖雜記)』·『난후잡록(亂後雜錄)』·『상례고증(喪禮考證)』·『무오당보(戊午黨譜)』·『침경요의(鍼經要義)』 등이 있다. 편서로는 『대학연의초(大學衍義抄)』·『황화집(皇華集)』·『구경연의(九經衍義)』·『문산집(文山集)』·『정충록』·『포은집』·『퇴계집』·『효경대의(孝經大義)』·『퇴계선생연보』 등이 있다. 그런데 문인 정경세(鄭經世)가 유성룡의 저서에 대해, 「서애행장(西厓行狀)」에서 “평생 지은 시문이 임진 병화 때 없어졌으며, 이제 문집 10권과 『신종록』·『영모록』·『징비록』 등이 집에 보관되어 있다.”라고 한 것을 보면 대부분이 없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징비록』과 『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안동 하회 충효당
- 안동 하회 충효당(安東 河回 忠孝堂)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있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생가이다. 1964년 11월 14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후손 류시영(柳時泳) 외 7인의 소유로 되어 있으며 조선 중기에 지은 건물로 단층 기와지붕이다. 규모는 총 52칸. 행랑채에 달린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 대청 앞에 마주 서게 되며 이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대청 정면과 측면에는 난간이 있는 툇마루가 있고 기둥은 원주(圓柱)를 세웠으나 내부와 방에는 방주(方柱)를 사용하였다. 가장 안쪽에 있는 내당은 대청과 방앞에 퇴간(退間)이 있으며 높은 원주를 세우고 그 위에는 2익공(二翼工) 계통의 공포(栱包)를 배치하였다. 이 충효당은 류성룡의 장자(長子) 여(袽)가 임진왜란 후 재건한 것을 증손인 병조판서 의하(宜河)가 확장 중수하였다.
안동 병산서원
- 안동 병산서원(安東 屛山書院)은 조선 선조 때의 재상 류성룡(柳成龍)을 향사한 서원이다. 1978년 3월 3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동에 있다. 전신은 고려 말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풍산류씨의 사학(私學)이었는데, 1572년(선조 5)에 류성룡이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1613년(광해군 5) 정경세(鄭經世)가 중심이 되어 지방 유림이 류성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祠)를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863년(철종 14) '병산'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사원으로 승격되었다.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으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훼철되지 않고 남은 47개 서원의 하나이다. 제향공간으로 존덕사(尊德祠)·신문(神門)·전사청(典祀廳)이 있고, 강학공간으로 입교당(立敎堂)·동재(東齋)·서재(西齋)가 있으며, 부속건물로 장판각(藏板閣)·만대루(晩對樓)·복례문(復禮門)·주사(廚舍) 등이 있다. 류성룡의 문집을 비롯하여 각종 문헌 1,000여 종 3,000여 책이 소장되어 있다. 2019년 7월 전국 8개 서원과 함께 '한국의 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류성룡〉, 《나무위키》
- 〈류성룡〉, 《위키백과》
- 〈류성룡〉, 《향토문화전자대전》
- 〈유성룡(柳成龍,1542~1607)〉, 《두산백과》
- 〈유성룡 (柳成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마카다안동, 〈안동 하회마을 가볼 만한 곳 서애 류성룡의 충효당과 영모각〉, 《네이버블로그》, 2024-05-22
- 대희의 기록, 〈류성룡의 초판본 징비록 역사는 반복된다〉, 《네이버블로그》, 2024-01-25
- 호야, 〈안동 가을여행지 류성룡 배롱나무명소 만대루의 풍경이 아름다운 병산 서원〉, 《네이버블로그》, 2024-10-20
- 쭈이날다, 〈안동여행 병산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서예 류성룡 서원〉, 《네이버블로그》, 2024-08-20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