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방
이의방(李義方)은 고려의 무신 (武臣)이며 무신정권의 실질적인 첫 번째 집권자이다.
개요[편집]
- 이의방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다. 무신란을 일으켰고 이고가 정권을 마음대로 하려 하자 그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중방(重房)을 강화하고 지방관에 하급 무신을 임명하여 그들을 회유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본관 전주(全州). 1170년(의종 24) 견룡행수(牽龍行首)로서 정중부(鄭仲夫) ·이고(李高)와 함께 무신란을 일으켰으며,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세운 뒤에 대장군 ·전중감(殿中監) 겸 집주(執奏)에 임명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책록되었다. 이고가 정권을 마음대로 하려 하자 1171년(명종 1) 그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고 중방(重房)을 강화하여 고위 무신들을 끌어들이는 한편, 원래 문신들만 임명했던 지방관에 하급 무신을 임명하여 그들을 회유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1173년 문신 김보당(金甫當)이 의종의 복위를 내세워 난을 일으키자 이를 토벌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의민(李義旼)을 통해 의종을 살해하였고, 위위경 흥위위 섭대장군 지병부사(衛尉卿興威衛攝大將軍知兵部事)가 되었다. 1174년에는 귀법사(歸法寺)의 승려 100여 명이 공격해 오자 이들을 물리쳤고, 중광사(重光寺) ·홍호사(弘護寺) 등의 승려 2000여 명이 자신을 죽이려 하자 이들을 죽이고 여러 절을 불사르며 재산을 빼앗았다. 이때 서북면에서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키자 상서(尙書) 윤인미(尹仁美) 등 서경 출신을 함부로 살해하여 인심을 잃었으며, 윤인첨(尹鱗瞻)을 원수로 삼아 토벌했으나 실패하였다. 이 상황에서 좌승선에 임명되자 정권을 강화하기 위해 딸을 바쳐 태자비를 삼았는데, 이는 오히려 정치적 입장을 더욱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래서 조위총 토벌을 위한 두 번째 토벌군이 출동한 가운데 정중부의 아들 균(筠)과 승려 종참(宗旵)에게 살해되었으며, 형 준의(俊義)를 비롯하여 같은 세력인 고득원(高得元) 등이 죽었으며, 그의 딸도 태자비에서 축출되었다.[1]
- 이의방은 1170년(의종 24), 정중부, 이고와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무신이다. 이의방(李義方)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의종(毅宗) 말에 산원(散員)으로 견룡행수(牽龍行首)가 되었다. 1170년(의종 24) 보현원(普賢院)에서 대장군 정중부(鄭仲夫), 견룡행수이고(李高) 등과 더불어 무신란(武臣亂)을 일으켜 성공한 뒤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中郞將)에 임명되고, 형 이준의(李俊儀)는 승선(承宣)에 임명되었다. 정중부 등과 더불어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明宗)을 맞아 무신정권(武臣政權)을 수립한 뒤 대장군 전중감 겸 집주(大將軍殿中監兼執奏)에 임명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각상(閣上)에 그려졌다.[2]
- 이의방은 고려의 무신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1170년(고려 의종 23년) 정중부, 이고와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켜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中郞將)에 임명되고, 무신정권을 수립한 뒤 대장군(大將軍) 전중감(殿中監) 겸 집주(執奏)에 임명되었다. 좌승선(左承宣)으로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정중부의 아들인 정균에 의해 피살되었다. 이의방은 전라도 전주에서 대장군 이용부(李勇夫)와 이씨(李氏, 정승 이형(李珩)의 딸)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전주에서 대대로 살아온 토착 세력으로 전주의 호족이였다. 위로 형 이준의가 있었고, 아래로는 여동생 1명과 남동생 이린, 이거가 태어났다. 또한 그의 숙부 이단신(李端信)은 문하시중을 지냈다고 하나, 씨족원류에서는 호장(戶長), 비록 조선 시대에는 지방세력들이 격하되어 오해하는 이들이 있지만 고려 시대에 호장(戶長)은 과거 당대등(黨大等)이라는 직책으로 그 지역 토호들이 임명되는 최고위직이였으니, 호장(戶長)을 지낸 이궁진(李宮進)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고, 조선 왕조의 입장에서 기록된 '고려사'에서는 이의방과의 관계를 숨기고자 함인지 등장하지 않는다. 의종(毅宗) 말에 군관직인 산원으로 출사하여 견룡행수(牽龍行首)에 올랐다.[3]
- 이의방은 고려 후기 김제 출신의 어머니를 둔 집권 무신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의종 말기에 산원(散員)으로 견룡행수(牽龍行首)를 지냈다. 1170년(의종 24) 보현원(普賢院)에서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과 무인정변을 일으켜 성공한 뒤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에 임명되었다. 이 해에 이의방은 어머니의 고향이라고 하여 전주의 영현으로 있던 금구(金溝)를 현(縣)으로 승격시켰다. 좌승선이 된 이의방은 1174년 3월에 자신의 딸을 태자비로 올렸다. 그리하여 더욱 기세등등하여 국정을 함부로 하므로 정중부와의 사이도 나빠졌다. 그해 12월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이의방과 정중부를 토벌하기 위해 거병을 하였다. 이에 토벌군을 출동시키는 혼란 중에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의 명령을 받은 승려 종참(宗旵)에게 죽음을 당했다. 이때 이의방의 형제와 일파는 정중부에 의해 모두 살해당했고, 딸 역시 적신(賊臣)의 자식이라 하여 태자비에서 폐출되었다. 1176년(명종 6) 이의방의 문객들인 장군 이영령(李永齡), 별장 고득시(高得時), 대정 돈장(敦章) 등이 그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중부의 암살을 모의하다가 섬으로 추방당했다.[4]
이의방의 생애 활동[편집]
- 1171년(명종 1)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 · 신대예(申大譽) · 사직재(史直哉) · 차중규(車仲規) 등이 비방하자, 평소 친분이 있던 차중규는 귀양을 보내고 나머지는 모두 죽였다. 또한 이고(李高)가 무뢰배들, 법운사(法雲寺)의 승려 수혜(修惠), 개국사(開國寺)의 승려 현소(玄素) 등과 결탁해 분수에 넘치는 뜻을 나타내므로 미워하게 되었다. 여정궁(麗正宮)에서 태자(太子)에게 원복(元服)을 가하는 잔치가 베풀어지자 선화사(宣花使)로 참여해 난을 일으키려 한 이고를 죽이고, 순검군(巡檢軍)을 풀어 이고의 어머니와 나머지 무리들을 잡아 죽이고 아버지는 귀양을 보냈다.
- 1173년(명종 3)에 왕녀를 봉해 궁주(宮主)를 삼았다. 중방(重房)에서 여러 장수들과 함께 기생들을 데리고 술을 마시며 떠들고 북 치는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렸으나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리고 벼슬은 위위경(衛尉卿) 흥위위섭대장군(興威衛攝大將軍) 지병부사(知兵部事)에까지 올랐다. 이해 8월 무신정권에 반대하는 김보당(金甫當)의 난이 일어나자 다수의 문신을 살해하였다. 1174년(명종 4)에 귀법사(歸法寺)의 승려 백여 명이 성(城)의 북문을 침범해 승록(僧錄) 선유(宣諭)를 죽이자 병사를 거느리고 이들을 물리쳤다. 또 중광(重光) · 홍호(弘護) · 귀법 · 홍화(弘化) 등 여러 절의 승려 2천여 명이 숭인문(崇仁門)을 불사르고 자신과 형을 죽이려 하므로 부병(府兵)을 모아 승려 백여 명을 죽이고, 나아가 중광 · 홍호 · 귀법 · 용흥(龍興) · 묘지(妙智) · 복흥(福興) 등 여러 절을 허물고 불사르며 많은 재물을 빼앗았다.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에 반발해 군대를 일으켜 개성 근교에까지 이르자, 서경 사람인 상서(尙書) 윤인미(尹仁美), 대장군 김덕신(金德臣), 장군 김석재(金錫才) 등을 모두 잡아 죽여 저잣거리에 효수하였다. 이후 서경의 반란군을 무찌르고 대동강까지 갔으나, 흩어졌던 서경 군대가 다시 모여 성을 굳게 지키므로, 성 밖에서 한 달 정도 주둔하다가 모진 추위로 인해 돌아왔다.
- 좌승선(左承宣)에 임명되자 딸을 바쳐 태자비(太子妃)를 삼았고 위복(威福)을 마음대로 하여 조정을 어지럽히는 등,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원망이 일어나 1174년 정중부의 아들 정균(鄭筠)과 공모한 승려 종참(宗旵)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형 이준의와 같은 무리인 고득원(高得元) · 유윤원(柳允元) 등도 함께 죽임을 당하였고, 딸은 태자비에서 폐출되었다. 무신정변의 핵심 인물로서 정중부를 끌어들이고 중방의 기능을 무신정권의 주요 통치 기구로 활성화하는 등 초기 무신정권의 성립 기반을 다진 인물로 평가된다.
이의방의 주요 업적[편집]
- 무신정권의 수립이다. 이의방은 1170년 정중부의 난에 참여하여 무신정권의 수립에 기여하였다. 그는 군사적 재능을 바탕으로 무신 세력을 결집하고, 귀족 중심의 정치에서 군사 중심의 정치로의 전환을 이끌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려는 새로운 정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 권력의 강화이다. 무신정권이 수립된 후, 이의방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귀족 세력의 권력을 견제하고, 자신과 같은 무신 세력의 권한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의방은 고려의 정치 구조를 변화시키며, 무신정권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 외적의 침입에 대한 방어이다. 이의방은 여진족과 같은 외적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력을 강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군사 조직을 정비하고, 전투에서의 승리를 통해 고려의 안정을 도모했다. 그의 군사적 리더십은 고려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이의방은 무신정권의 수립과 발전을 이끈 인물로, 귀족 중심의 정치에서 군사 중심의 정치로의 변화를 상징한다. 그의 활동은 고려의 정치적 변혁을 나타내며, 무신정권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이의방의 생애는 권력의 남용과 정치적 갈등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교훈이 된다. 그는 무신정권을 통해 권력을 강화하려 했지만, 자신의 권력을 남용하게 되면서 내부의 반발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는 후대 정치인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이의방의 활동은 고려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하였다. 군사적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귀족 중심의 정치가 무너지고 새로운 사회적 질서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고려의 역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무신정권[편집]
- 무신정권(武臣政權)은 고려 시대 때인 1170년부터 1270년까지 100년간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했던 시기이며, 당시 실세는 이의방, 정중부, 이의민, 최충헌으로 이어진다. 1170년 보현원에서의 난을 계기로 집권하여 출발한 무신정권은 그 후 1270년(원종 11)까지 꼭 100년간 계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꽤 여럿의 집권자들이 교체되었고, 그에 따라 정치적 성숙도도 달라지고 있어서 보통 이를 세 시기로 나누고 있다. 난을 발생시킨 이의방(李義方)·정중부(鄭仲夫)로부터 이의민(李義旼)의 집권 시기를 성립기, 최충헌(崔忠獻) 등 최씨 4대의 집권기를 확립기, 그 후를 붕괴기라고 할 수 있다. 정확히 100년간을 이어진 무신정권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그중에서도 최씨집권기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면을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인사권을 함부로 한다든가, 몽고군 침입 시에 정권의 유지를 위해서 육지를 버리고 강화도로 도읍을 옮긴 사실, 이때 육지의 백성들은 내버려 둔 채 강화에서 향락을 일삼은 사실들은 이러한 시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이의방〉, 《위키백과》
- 〈이의방〉, 《나무위키》
- 〈이의방〉, 《향토문화전자대전》
- 〈이의방(李義方,?~1174)〉, 《두산백과》
- 〈이의방(李義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전문교사, 〈무신정권의 중심에서 빛난 정치가 고려의 이의방〉, 《네이버블로그》, 2024-09-12
- 달뫼, 〈10월 12일 / 이의방, 정균에 의해 살해당함〉, 《네이버블로그》, 2023-10-12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