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바중시(중국어: 巴中市 bā zhōng shì)는 중국 쓰촨성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바중시의 면적은 12,301km²이며 인구는 2,712,894명(2020)이다. 동쪽은 다저우시(达州市), 남쪽은 난충시(南充市), 서쪽은 광위안시(广元市), 북쪽은 산시성 (섬서성)(陕西省) 한중시(汉中市)와 접한다. 시인민정부는 바저우구(巴州区, 파주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2개 시할구(市辖区)와 난장현(南江县, 남강현), 핑창현(平昌县, 평창현), 퉁장현(通江县, 통강현)의 3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광지로는 난칸석굴, 촨산혁명근거박물관 등이 있다. 남쪽 언양구에는 옛 마을이 남아있고, 동쪽 퉁장현에 있는 홍군열사능원 (紅軍烈士陵園)은 중국 최대의 홍군 열사능이다. 2011년과 2015년, 2021년 폭우와 홍수로 인한 수해를 입었다.[3][4][5]
자연환경[편집]
바중시 지형은 전형적인 분주(盆周) 산악지대이며,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아지는 경사를 이룬다. 북부는 깊게 침식된 중산(中山)과 중간 침식 중산으로, 중부는 중간 및 얕은 침식 저산(低山), 남부는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하천 주변과 평탄한 지형은 평지 및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지 면적은 약 1243km²로 시 면적의 10%를 차지한다. 나머지 90%는 산지이다.
바중시는 아열대 몬순성 습윤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다. 강수량이 풍부하고 일조량은 적당하나, 연간 강수 분포가 고르지 않아 가뭄과 홍수가 교대로 발생한다. 연평균 기온은 16.9~17.4℃, 겨울 평균 기온은 6.1~6.8℃, 봄 평균 기온은 17.0~17.7℃, 여름 평균 기온은 25.4~26.2℃이다.
바중시의 지질 구조는 미창산대(米仓山台穹), 다바산 호형(弧形), 쓰촨 북부 대(台) 및 쓰촨 동부 신화하샤 구조대(新华夏构造带)의 네 개 2차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구조적 특징은 주로 습곡(褶皱)으로, 단층은 발달하지 않았다. 습곡의 곡선은 호형을 이루며, 암층의 경사가 빈번하게 변화하며 뒤틀림 현상이 나타난다. 북서부는 룽먼산 북동 습곡대에 속하고, 북부는 미창산 동서 습곡대, 북동부는 다바산 서쪽 습곡대와 연결된다. 동남부는 화잉산(华蓥山) 북동 습곡대와 인접하며, 남서부는 쓰촨 중부 북서 습곡대에 속한다. 이러한 구조의 영향으로 중심에 가까울수록 구조력이 약해지며, 습곡은 연꽃 모양으로 배열되어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30개의 향사(向斜)와 배사(背斜) 습곡대가 형성되었다.
바중시의 연평균 강수량은 1189mm이며, 평균 수자원량은 716억 8000만 m³이다. 이 중 지표수 자원량은 716억 8000만 m³, 지하수 자원량은 106억 6000만 m³이며, 1인당 수자원량은 1611m³이다. 바하(巴河) 유역은 다바산(大巴山) 폭우 지대에 속하며, 연 강수량이 풍부하다. 바하 유역은 산악 하천으로, 조절 및 저장 능력이 작고 폭우로 인한 홍수 발생이 뚜렷하다. 하천 길이는 짧고, 유속이 빨라 대홍수나 초대형 홍수가 쉽게 발생하며, 홍수의 피크는 높고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다.
바중시는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11개의 Ⅴ급 광물대가 있으며, 현재 50여 종의 광물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자원 매장량을 가진 광물은 25종이며, 대형 광산 7곳, 중형 광산 3곳, 소형 광산 5곳, 광물지 485곳이 있다. 바중시의 식물 자원은 매우 풍부하며, 특히 북부 지역이 가장 많다.
바중시의 가축으로는 돼지, 황소, 물소, 양, 남장 황양(南江黄羊), 닭, 오리, 거위, 말, 당나귀, 꿀벌, 누에, 개, 고양이, 토끼 등이 있다. 야생 동물은 북부 숲에 많이 서식하며, 중남부에는 드물다. 근대 들어 삼림 면적 감소, 과도한 사냥 및 포획으로 인해 동물 자원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호랑이와 표범은 거의 멸종 직전에 이르렀고, 희귀 동물도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중남부 지역에는 현재 약 290종의 야생 동물이 남아 있으며, 그중 포유류 22종, 조류 49종, 어류 및 양서·파충류 43종, 곤충 약 170종이 서식하고 있다.
고대 사천 지방에 있던 파나라 (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진나라의 정복 이후 파군 (巴郡)에 속하였고, 후한 대인 서기 91년 한창현 (漢昌縣)이 설치되었다. 남북조 시기에는 탕거군에 이어 대곡군에 속하였고, 517년 파주 (巴州)의 치소가 되었으며, 이는 현 파저우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한편 한창현은 양광현을 거쳐 북주 대인 580년 화성현 (化成縣)으로 개칭되었다. 수당대에 파주 혹은 청화군에 편성되었다.
송대에는 광위안을 중심으로 한 이주로에 속하였다. 원대에도 역시 광원로에 속했다가 명대에 들어 파주가 재설치되고 화성현은 파현으로 개칭되었다. 신해혁명 후 1913년 파현은 현 지명인 바중으로 개칭되었다.
1933-35년에는 광위안, 다저우, 랑중처럼 중국 공산당의 소비에트 정부가 있었고 1949년 12월 27일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다. 이후 다저우에 속했다가 1993년 현급시를 거쳐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바중시는 에너지 화학, 첨단 소재, 식품 음료, 전자 정보, 의료 건강을 주력 산업으로, 문화 관광 및 현대 농업을 특화 산업으로, 물류, 금융, 정보 서비스를 지원 산업으로 하는 '5+2+3' 산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시가지를 관통하는 바허강은 취장강과 합류하여 충칭 방면으로 흘러간다. 자동차 공장 외에는 별다른 공업이 없으며, 주요 수입은 농업과 관광업이다. 그러다보니 바중시는 쓰촨성에서 제일 경제력이 낮으며, 2018년 기준 1인당 GDP는 $3,021로 책정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2,000달러대로 책정되기도 하는 수준이다.
다만 바중시는 자원이 많은데, 석탄이 약 6,200만여톤, 자철석 약 8,400만여톤이 존재하고 천연가스 및 석유도 매장된 것으로 보여 현재 자원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시가지 서남쪽 12km 지점에 국내선 전용인 바중 언양 공항(巴中恩阳机场)이 있다. 철도로는 광바철도(广巴铁路), 바다철도(巴达铁路), 광바철도(广巴铁路) 그리고 해당 역을 지나는 난충과의 고속철이 완공을 목적으로 공사 중이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바중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충칭시 중심지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