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푸얼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윈난성 위치

푸얼시(중국어: 普洱市 pǔ ěr shì)는 중국 윈난성 서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푸얼시의 면적은 44,264.79km²이며 인구는 2,404,954명(2020)이다. 동쪽으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위시시, 서쪽으로 미얀마, 남쪽으로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북쪽으로 추슝 이족 자치주와 접한다. 시 인민 정부는 쓰마오구(思茅区, 사모구)에 소재하며 쿤밍시(昆明市, 곤명시)로부터 570㎞ 거리에 있다.

행정구획은 쓰마오구(思茅区, 사모구)의 1개 시할구(市辖区)와 닝얼하니족이족자치현(宁洱哈尼族彝族自治县, 영이합니족이족자치현), 모장하니족자치현(墨江哈尼族自治县, 묵강합니족자치현), 징둥이족자치현(景东彝族自治县, 경동이족자치현), 징구다이족이족자치현(景谷傣族彝族自治县, 경곡태족이족자치현), 전위안이족하니족라후족자치현(镇沅彝族哈尼族拉祜族自治县, 진원이족합니족랍호족자치현), 장청하니족이족자치현(江城哈尼族彝族自治县, 강성합니족이족자치현), 멍롄다이족라후족와족자치현(孟连傣族拉祜族佤族自治县, 맹련태족랍호족와족자치현), 란창라후족자치현(澜沧拉祜族自治县, 란창랍호족자치현), 시멍와족자치현(西盟佤族自治县, 서맹와족자치현)의 9개 자치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푸얼시는 4A급 관광지 7곳, 3A급 관광지 15곳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습지공원 1곳, 국가삼림공원 3곳, 자연보호구역 18곳이 있으며, 전국 약 3분의 1의 생물종이 보존되어 있어 "윈난 동식물 왕국의 궁전"으로 불린다. 중국-라오스 철도와 쿤만 대통로가 관통하며, 고속도로 총 연장은 585km이다. 또한 푸얼 쓰마오 공항과 란창 징마이 공항 두 개의 공항이 있다.

푸얼시는 국가 녹색경제 시험 시범구로, 특색 생물 산업, 청정에너지 산업, 현대 임산업, 휴양 관광 산업의 네 가지 녹색 산업 기반을 구축하였다. 지구 조산대 동력장을 기준으로 푸얼시는 테티스-히말라야 구조 영역과 환태평양 구조 영역의 접합 지점에 위치하며, 지사적 구조 체계에서는 유라시아 판 남부와 곤드와나 판의 충돌 지역에 속한다. 지역 내 지층은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으며, 화산 활동이 강하고 지질 구조가 복잡하며 변성암이 발달해 있다.

푸얼시의 제1민족은 한족이지만, 한족이 비율의 과반을 차지하지는 않으며 약 60% 정도가 소수민족의 거주지이다. 푸얼시는 마땅히 이 지역에 확실한 지주 역할을 하는 민족이 없으며, 위 표에서 나열된 민족구성에서 보듯 인구의 10%를 넘는 민족이 무려 4개나 된다.

행정구역으로써의 푸얼시는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시의 명칭을 사용하는 식품은 대부분 한 번 쯤 들어보았을 이름이다. 이 식품은 바로 고급 차의 일종인 보이차(普洱茶)로, 이름 그대로 보이차 자체가 푸얼시에서 자라나는 차나무를 재료로 하여 푸얼시 토착 차 가공법으로 제조한 차를 말하는 것이다.[3][4][5]

자연환경[편집]

푸얼시 경내는 산이 연이어 이어져 있으며, 전체 지역의 98.3%가 산지이다. 해발고도는 317m에서 3370m까지 분포하며, 중심 도심의 해발고도는 1302m이다. 푸얼시는 북열대, 남아열대, 중아열대, 북아열대, 온대 등 다섯 가지 기후대 유형을 가지고 있다. 아열대 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아 대다수 지역이 연중 서리가 없고 겨울이 춥지 않으며 여름이 덥지 않아 "녹해의 진주", "천연 산소바"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푸얼시의 연평균 기온은 15℃~20.3℃, 연간 무상기(서리 없는 기간)는 315일 이상이며, 연간 강수량은 1100~2780mm이다. 공기 중 음이온 함량은 7등급 이상을 유지한다. 북회귀선이 푸얼시 중부를 관통하며, 지형과 해발고도의 영향을 받아 뚜렷한 수직 기후 특징을 보인다.

푸얼시는 과거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중요한 역참이었으며, 푸얼차(普洱茶)의 주요 산지 중 하나이자 중국 최대의 차 생산지 중 하나이다. 자연 자원이 풍부하여 "금은을 품고 보물을 잉태한 땅"이라는 찬사를 받는다. 이미 탐사된 금의 매장량은 103.7톤, 철광석 매장량은 20.3억 톤, 니켈 금속 매장량은 51.8만 톤, 칼륨염 매장량은 1633만 톤, 희토류 산화물 광물 매장량은 13.4만 톤에 달한다.

푸얼시는 수력 자원 잠재력이 1500만 킬로와트에 이르며, "서전동송(西电东送)"과 "윈난 전력 외송(云电外送)"의 중요한 거점이다. 2022년 기준, 푸얼시의 총 수자원량은 258.6억 입방미터였다. 연말 기준으로 시 전역에 건설된 저수지(농업용 저수지 포함)는 총 774개로, 그중 중형 저수지가 24개, 소형 저수지가 305개, 농업용 저수지가 445개다. 연말 기준으로 시 전체 수리 시설의 총 저수량은 6.06억 입방미터로, 전년 대비 14.6% 증가했다.

푸얼시의 삼림률은 74.59%를 초과하며, 차 재배 면적은 330.7만 묘에 달한다. 국가 습지공원 1곳, 국가 삼림공원 3곳이 있어 윈난 "동식물 왕국"의 축소판이자 전국에서 생물 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지역 중 하나로 손꼽힌다. 북회귀선 상에서 가장 큰 녹지대로, 유엔환경계획(UNEP)은 이 지역을 "세계의 천국, 천국의 세계"라고 평가하였다.

푸얼시의 임업용지는 4656만 묘에 달하며, 윈난성의 주요 임업 지역이자 중요한 상품용 목재 생산지 및 임산업 기반지로 자리 잡고 있다.

역사[편집]

고대 현지 토착민족의 국가였던 애뢰국(哀牢国)의 영토였던 곳으로, 한나라 무제 시기 이 지역을 정벌하여 익주군(益州郡) 산하로 편성되었으며, 당시 푸얼시는 확실하게 중심지 역할을 하는 지역이 없어서 삼국시대 촉한이 윈난성에 3개의 군을 분할하여 설치하였을 때에도 푸얼시는 영창군(永昌郡)과 운남군(云南郡)이 양분하고 있었다.

푸얼시에 독자적인 행정구역이 생긴 때는 대리국 시절로, 당시 대리국은 위초부(威楚府) 산하에 사마부(思摩部)를 이 푸얼시 지역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사마에서 현 푸얼시 중심지역의 명칭인 쓰마오(思茅)가 나오게 된다.

청나라 대에 푸얼시 지역에 보이부(普洱府)를 설치하였으며 이 때부터 푸얼이라는 이름이 행정구역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중화민국 대에 쓰마오현(思茅县)으로 이름이 변경되고 1950년에 이 곳은 닝얼전구(宁洱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51년에푸얼전구(普洱专区)로 변경, 1953년에 쓰먀오전구(思茅专区)로 변경되었다가 1970년 쓰먀오지구(思茅地区)를 거쳐 2003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산업[편집]

예로부터 중국 푸얼차(普洱茶)의 고향으로 유명하며, 전위안현[鎭沅縣]에 2,700년의 역사를 가진 차나무와 1,000년의 역사를 가진‘고차왕수(古茶王樹) 등이 있다. 약재·식염(食鹽)·모피·커피·사탕수수·고무·과일·차 등을 생산한다.

광물이 풍부하며, 특히 금 매장량은 중국 남서부지역에서 최고이다. 기계·전력·가죽가공·화공·제지·식품·임업 등의 공장과 발전소가 있다.

교통[편집]

교통은 쿤([昆洛)도로가 통하며, 라오스 국경까지 자동차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관내에 푸얼 쓰마오 공항(普洱思茅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푸얼시〉, 《위키백과》
  2. 푸얼시〉,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푸얼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푸얼〉, 《네이버 지식백과》
  5. 普洱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푸얼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