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바난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충칭시 위치

바난구(중국어: 巴南区 bā nán qū)는 중국 충칭시 남부에 위치해 있는 구이다. [1][2]

개요[편집]

바난구의 면적은 1,822.84km²이며 인구는 1,178,856명(2020)이다. 동쪽은 푸링구(涪陵区)와 난촨구(南川区)와 접하고, 남쪽은 치장구(綦江区), 서쪽은 장진구(江津区), 주룽포구(九龙坡区), 다두커우구(大渡口区), 북쪽은 난안구(南岸区), 장베이구(江北区), 위베이구(渝北区), 창서우구(长寿区)와 인접해 있다. 2022년 10월 기준, 바난구는 9개의 가도(街道)와 14개의 진(镇)을 관할하며, 구정부는 룽저우완 가도(龙洲湾街道)의 룽하이다오(龙海大道) 6번지에 위치한다.

바난구라는 이름은 충칭시의 남쪽에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바난구는 베이베이구, 위베이구와 함께 법적으로는 충칭시 시내에 속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시내취급을 하지 않는 3개구 중 하나이다. 바난구의 시가지는 창장 강(长江)에 접한 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지역은 도시화가 잘 이루어져있어 충칭 궤도교통 노선이 들어간다. 다만 바난구 중부의 산악지대를 넘어가면 순식간에 농촌지대로 변한다.

1949년 중국공산당의 서남 지역 점령이후 1950년 서남군정위원회(西南軍政委員會)가 출범하면서 충칭은 중앙정부의 직할시로 지정되었다. 국민정부(國民政府) 시기의 18개 구는 합병되어 8개구로 변경되었다. 1954년 충칭시는 쓰촨성(四川省)의 직할시로 변경되어, 이듬해에 스중구(市中區), 장베이구(江北區), 사핑바구(沙坪壩區), 주룽포구(九龍坡區), 난안구(南岸區), 베이베이구(北碚區), 난퉁광구(南桐礦區)의 7개 구로 변경되었다. 1997년 충칭시는 쓰촨성의 푸링시(涪陵市)‧완셴시(萬縣市)‧첸장지구(黔江地區)와 합병되며 중앙정부 직할시로 재승격되었다. 현재의 충칭시는 26개의 구, 8개의 현, 그리고 4개의 민족자치현(民族自治縣)을 관할한다.[3][4]

자연환경[편집]

바난구는 쓰촨 분지 동부 지대구 중 타이안구-촨둥남 구역에 위치하며, 세 개의 큰 습곡 구조가 구역 남북을 관통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배사와 향사를 교차 배치하는 습곡 구조를 형성한다. 구역 내는 쓰촨 분지 동부 지대구 중 타이안구-촨둥남 습곡구역에 속하며, 지대의 일반적인 특징을 지닌다. 지대의 상승 및 하강 폭이 작고, 침적 형성 두께가 작으며, 화산활동이 미미하고, 변질작용이 없으며 풍부한 침적 광물을 보유하고 있다. 구조 변동은 강하지 않다.

바난구는 쓰촨 분지 동부 평행릉곡이 남쪽으로 침하하여 분지 남부 산악지대와 접하는 지대에 위치한다. 구역 내는 좁은 조각형 저산과 완만한 향사 구릉곡지가 교차 배치되어 있으며, 지형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으며, 남북으로 기복이 있다. 지형은 복잡하고 다양하며 산, 구릉, 평지, 계단지, 하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구릉이 주를 이루며, 산맥은 연속적으로 기복을 이루고 계곡은 종횡으로 교차한다. 지형은 저산, 구릉, 하곡이 교차 배치된 형태를 보인다. 바난구는 아열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고 봄이 일찍 오고 가을이 늦으며, 여름은 덥고 겨울은 온난하다. 한여름에는 가뭄이 자주 발생하며, 가을에는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고, 겨울에는 안개가 많으며 서리와 눈은 드물다. 무상기는 길고 일조량은 적으며, 바람은 약하고 습도가 높다.

바난구는 쓰촨 분지 아열대 습윤 기후구 중 쓰촨 분지 동남부 장강 하곡지대에 속하며, 연강수량이 많고 유량이 풍부하다. 장강이 구역 북부 경계를 따라 60km 이상 흐르며, 구역 내에는 크고 작은 하천이 100여 개 존재하며, 유역 면적은 1702.24㎢로 전체 구역 면적의 93.30%를 차지한다. 구역 내 지하수 자원은 온천으로 유명하다.

구역 내 크고 작은 하천 100여 개 중 주요 하천은 10개이며, 하천 총 길이는 600km 이상이다. 이들 하천은 22개 진(镇)을 흐르며, 우부하(五布河), 화계하(花溪河), 이핀하(一品河), 어계하(鱼溪河), 쌍하(双河), 고계하(苦溪河), 어장계(鱼藏溪), 주가서하(周家瑞河), 황계구하(黄溪口河), 행자하(幸子河) 등의 10개 유역을 형성하며, 유역 면적은 1702.24㎢로 전체 면적의 93.30%를 차지한다. 이 중 우부하, 화계하, 이핀하가 구역 내 3대 주요 하천이다.

바난구는 아열대 습윤 상록 관엽수림구에 속하며, 지형 유형이 다양하고 나무 종류도 풍부하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원시 식생은 여러 차례 훼손되었고, 점차 2차 식생 및 인공 식생으로 대체되었다. 현재 주요 식생 유형으로는 활엽수림, 침엽수림, 대나무 식생, 관목 식생, 초본 식생 등이 있다.

바난구(巴南区)는 쓰촨 분지 아열대 습윤 기후 구역 중 쓰촨 분지 동남부 장강 하곡 지대에 속하며, 연간 강수량이 많고 유량이 풍부하다. 이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081.7mm로 수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장강이 북부 경계를 따라 60km에 걸쳐 관통하며, 크고 작은 하천이 100여 개에 달하고, 유역 면적은 1702.24㎢로 전체 면적의 93.30%를 차지한다. 다년간 평균 지표수 유량은 9.58억㎥, 지하수 보충량은 1.17억㎥이며, 장강(촌난수문소 단면)을 지나는 물의 양은 3448억㎥에 달한다.

구역 내에는 5225개의 다양한 수리공사가 있으며, 총 저수량은 1.38억㎥이고, 유효 관개 면적은 2017㎢로 농업 생산에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을 제공한다.

바난구의 산림 면적은 135만 묘(亩), 산림 덮개율은 47.6%이다. 이 지역에는 73과(科), 227종의 나무가 분포하며, 희귀 수종으로는 홍두수(红豆树), 은행나무, 수이화산(穗花杉), 홍두산(红豆杉), 정남(桢楠), 대엽황형(大叶黄荆) 등이 있다.

구역 내에는 수백 종의 동물이 서식한다. 가축과 가금류, 어류 등의 양식 품종 외에도 흔히 볼 수 있는 야생 포유류로는 여우, 사향노루, 노루, 다람쥐, 토끼, 천산갑, 멧돼지 등이 있다. 조류로는 가마우지, 왜가리, 백로, 청둥오리, 긴꼬리새, 올빼미, 금계, 멧비둘기, 화미새, 까치, 까마귀, 참새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생 동물, 양서류, 파충류가 풍부하게 분포한다.

국가 2급 보호 동물로는 백로, 올빼미, 천산갑 등이 있으며, 3급 보호 동물로는 사향노루, 노루, 금계 등이 포함된다.

바난구의 광물 자원은 분포 구역이 뚜렷하며, 비교적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주요 광물 자원은 구역 내 세 개의 배사(背斜) 주변에 위치하며, 여기에는 남온천 지열 광화대, 타오쯔당(桃子荡) 석회암·지열·철광 광화대, 펑성창(丰盛场) 석회암·석탄·지열 광화대 등 세 개의 광화 구역이 있다.

충칭시 내에서 바난구는 비교적 광물 자원이 적은 지역에 속하지만, 지열, 시멘트용 석회암, 건축 자재용 석회암, 벽돌과 기와용 점판암 등의 특화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유리용 사암, 건축용 사암, 석탄 및 철광 등에서 잠재적인 자원 탐사 가능성을 지닌다.

구역 내 발견된 광물은 총 20종(세부 종류 포함)이며, 그중 17종의 자원이 확인되었다. 에너지 광물과 금속 광물은 비교적 적지만, 비금속 광물 중에서는 시멘트용 석회암, 건축 자재용 석회암, 벽돌과 기와용 점판암의 자원이 풍부하다. 지열 자원은 충칭시 내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가지고 있으며, 유리용 사암, 건축용 사암, 석탄 및 철광은 일정한 자원 잠재력을 지닌다.

역사[편집]

충칭은 기원전 11세기에 세워졌다고 하는, 반 정도는 전설적인, 파(巴)나라가 있었던 자리이다. 파나라는 중원과는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노예제 부족연맹국가였다고 여겨지고 있다. 기원전 316년에 진나라의 장의(張儀)가 파나라를 정복하고, 파군(巴郡)을 설치한다.

한나라 때에는 익주(益州)에 속하다가, 삼국 시대에는 유비가 세운 촉나라에 속하게 되었다. 유비는 오나라를 치러 갔다가 실패하고, 펑제 근처의 백제관에서 죽는다. 위진남북조시대에는 형주, 익주, 파주, 초주 등으로 불렀다.

수나라는 581년에 자링강(嘉陵江)의 당시 이름인 유수(渝水)의 이름을 따서 초주를 유주(渝州)로 바꾼다. 송나라 때인 1102년에는 이름이 다시 공주(恭州)로 바뀐다. 전설에 따르면 이 곳에서 반란의 낌새가 있었는데, 대천황이 이 지역의 이름을 공손하다는 뜻으로 바꾸자 반란 계획이 탄로났음을 알고 중단했다고 한다. 1189년 남송 시대의 황태자였던 조돈이 황태녀의 대국왕에 봉해진 후 한 달 만에 광종으로 즉위하게 되었기 때문에, '경사가 두 번 겹쳤다(雙重喜慶, 쌍중희경)'는 뜻에서 충칭(重慶)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원나라 말기인 1362년에 명옥진을 중심으로 하는 농민 반란이 일어나 하(夏)나라를 세우고 잠시 이 지역을 지배하기도 한다. 명옥진의 아들 명승(明昇) 때인 1371년에 주원장의 부하 탕화(湯和)의 군대가 쳐들어 오자 투항하였다. 명승은 이듬해 고려로 유배당하여 서촉 명씨의 시조가 되었다. 충칭은 명·청대에 물류의 집산지로 변성하였다. 청나라 말기인 1895년에 청일전쟁에서 진 청나라는 일본과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고, 쑤저우, 항저우, 사스와 함께 충칭을 통상항으로 개항한다.

1929년부터 충칭은 중화민국의 직할시가 된다. 중일전쟁 기간에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임시 수도가 되었기 때문에, 한때 중국 국민당 정부의 수도인 난징시와 비슷하게 발전해나가기 시작한다. 충칭은 일본군의 공습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어수선했다. 전쟁 동안 많은 공장과 대학이 충칭으로 이동해 오면서 충칭은 내륙 개항장에서 중공업 도시로 탈바꿈해 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광복군이 1940년 8월부터 충칭에 머물었었다.

과거 바셴(巴县)이라고 불리었던 지역으로, 1958년에 충칭시에 편입되어 1994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되고 구로 승격된다. [5]

교통[편집]

  • 충칭 궤도교통 2호선 – 다장역, 위둥역
  • 충칭 궤도교통 3호선 - 위둥역, 진주역, 위후루역, 쉐탕완역, 다산춘역, 화시역, 차루커우역, 주궁리역, 치룽역, 바궁리역

관광[편집]

  • 둥온천(东温泉)
  • 난온천(南温泉)
  • 윈좐산(云篆山)
  • 진룽후(金龙湖)
  • 성덩산(圣灯山)
  • 천심사(天心寺)
  • 톈핑산(天坪山)
  • 펑성고진(丰盛古镇)
  • 우저우원(五洲园)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바난구〉, 《위키백과》
  2. 바난구〉, 《나무위키》
  3. 두산백과: 충칭 도시구조 및 행정〉, 《네이버 지식백과》
  4. 巴南区〉, 《百度百科》
  5. 충칭시〉,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바난구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