쑤이닝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2/29/%EC%93%B0%EC%B4%A8%EC%84%B1_%EC%9C%84%EC%B9%98.png/300px-%EC%93%B0%EC%B4%A8%EC%84%B1_%EC%9C%84%EC%B9%98.png)
쑤이닝시(중국어: 遂宁市 suí níng shì)는 중국 쓰촨성 중동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쑤이닝시의 면적은 5,326km²이며 인구는 2,814,196명(2020)이다. 동쪽으로 충칭시(重庆市), 광위안시(广安市, 광안시), 난충시(南充市, 남충시), 서쪽으로 청두시(成都市, 성도시), 남쪽으로 네이장시(内江市, 내강시), 쯔양시(资阳市, 자양시), 북쪽으로 더양시(德阳市, 덕양시), 몐양시(绵阳市, 면양시)와 접한다. 경내에 푸강(涪江, 부강)이 북에서 남으로 171㎞를 지나고 있다. 시인민정부는 둥성로(东盛路, 동성로)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촨산구(船山区, 선산구), 안쥐구(安居区, 안거구)의 2개 시할구, 훙현(射洪县, 사홍현), 펑시현(蓬溪县, 봉계현), 다잉현(大英县, 대영현)의 3개 현(县)으로 이루어져 있다.
쑤이닝시는 쓰촨성 도시화 발전의 주축 지역에 위치하며, 쓰촨성 전략적으로 건설 중인 6대 도시권 중 하나이자 청두 평원 경제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청위 지역 쌍성 경제권에서 청두와 충칭을 연결하는 중요한 관문이자, 청위 발전 주축의 녹색 경제 강시(强市)이다. 또한 중국 우수 관광 도시, 전국 쌍옹 모범 도시, 전국 문명 도시, 글로벌 녹색 도시, 국가 원림 도시, 국제 정원 도시, 국가 위생 도시, 중국 10대 살기 좋은 도시로 선정된 바 있다.
쑤이닝시는 바수(巴蜀) 문명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중국 관음(觀音) 문화의 주요 발상지로 중국 관음 문화의 고향으로 불린다.
천쯔앙(陈子昂), 왕줏(王灼), 황어(黄峨), 장펑허(张鹏翮), 장원타오(张问陶) 등의 역사적 인물을 배출하였다. 수나라 시대에 건립된 영천사(灵泉寺), 당나라 시대의 광덕사(广德寺)는 중국 황실 선림이자 관음 참배지로 알려져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중국 죽음의 바다, 송자기박물관(宋瓷博物馆), 용봉고진(龙凤古镇) 등 다수의 인문경관이 있다.
시가지는 푸강 양안에 펼쳐져 있고, 동서의 구릉지대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시가지를 지나는 푸강은 자링강과 합류하여 충칭 방면으로 흘러간다. 당대의 시인 진자앙과 배우 쥐징이의 고향이며, 한국의 천안시와 교류 협정을 맺었다.[3][4][5]
자연환경[편집]
쑤이닝시는 쓰촨 분지 중부의 구릉 저산 지대에 위치하며, 지질 구조가 단순하고 습곡이 완만하다. 지형 유형은 단일하며, 중생대 쥐라기 지층으로, 물의 침식, 절단, 퇴적 작용을 통해 형성된 침식 구릉 지형이다. 구릉은 시 총 면적의 약 70%를 차지하며, 하곡과 계단지는 25%, 저산은 5%를 차지한다. 해발 고도는 300~600m 사이이다. 상공에서 내려다보면 지형은 세 가지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첫째, 구릉이 주를 이루고 평지가 좁으며, 층상 지형이 뚜렷하다. 둘째, 지세는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아 서북에서 동남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진다. 셋째, 계곡과 하천이 얽혀 있다. 시 경계의 서북부는 저산 지대로 해발 500~600m이며, 저산 남쪽은 깊은 구릉 지대이고 해발 400~500m이다. 중부와 남부에는 중, 얕은 구릉이 서로 얽혀 있으며, 계곡의 경사가 가파르다. 산의 형태는 장원(长垣) 모양의 물고기 등 형상이고, 중구릉은 능선이 연결된 계단형이며, 얕은 구릉은 경사가 완만하고 구릉봉은 구슬 모양으로 이어진다. 산재한 충적 평지는 구릉 사이에 분포한다. 푸장(涪江) 연안의 하곡과 평지는 넓게 펼쳐져 있다.
쑤이닝시는 쓰촨 분지 중부에 위치하며, 아열대 습윤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2021년 기준으로 각 연평균 기온은 17.4~17.8℃로, 평년과 비교해 펑시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평년과 비슷하다. 연 강수량은 1,129.1~1,489.6mm로, 평년보다 20~60% 많았다.
쑤이닝시에는 중소 하천이 많으며, 유역 면적 100km² 이상의 하천은 푸장, 충장(琼江), 치장(郪江), 자장(梓江), 칭강허(青岗河), 펑시허(蓬溪河) 등 15개가 있다. 푸장은 총 길이가 776km이며, 그중 수이닝 경내를 흐르는 구간은 171km이다. 푸장의 지류는 가지 형태로 분포하며, 시 전체 유역 면적은 5,085.9km²로 수이닝시 면적의 95.51%를 차지한다. 수이닝시 전역의 지층은 하부가 석회암을 주로 하고, 상부는 자홍색 사토와 이암을 주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수이닝 지역은 ‘붉은 대지’로도 불린다.
쑤이닝시 경내에서 발견되고 이용된 생물 자원은 1,500여 종 또는 계통에 달하며, 이 중 식물 자원은 1,000여 종, 농작물 재배 품종은 300여 종이다. 경내는 아열대 상록 활엽수림 지대에 속하며, 산림 면적이 전체의 32%를 차지해 쓰촨성 최초로 녹화 기준을 충족한 도시로 꼽힌다. 수목 종류는 약 437종에 이르며, 이 중에는 국가 보호 식물과 희귀 수목이 다수 포함된다.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리는 메타세쿼이아와 은행나무, 명귀한 소철, 홍두수, 마계목, 독특한 고백, 용수 등이 있다. 경제림으로는 기름동백나무, 올리브나무, 우백나무, 호두나무, 피마자나무, 야자나무 등이 주요 수종이다.
동물 자원으로는 주로 척추동물 약 237종이 있으며, 어류 자원은 96종에 달한다. 희귀 동물로는 어류 중에서 중국 철갑상어, 옌즈위(胭脂鱼), 암반 바다잉어, 긴주둥이 물고기 등이 있으며, 양서류 중에는 대형 도롱뇽, 포유류 중에는 수달이 있다. 이들은 모두 국가 및 성급 보호 동물에 속한다.
쑤이닝시의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석유, 천연가스, 정염(井盐), 사금, 석회석 등이 있으며, 특히 천연가스와 염수 자원이 풍부하다. 수이닝 모시(磨溪) 가스전의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은 4,403억 m³이며, 기술적 채굴 가능 매장량은 3,082억 m³에 달한다. 일일 천연가스 생산량은 2,400만~2,700만 m³로, 쓰촨성 대형 가스전 중 하나이다. 염수 지질 매장량은 42억 톤 이상에 이른다.
역사[편집]
하나라, 상나라 왕조의 시기에는 양주(梁州)에 속했다고 여겨진다. 춘추시대 초기에 쑤이닝 부근은 촉나라의 영역이었고, 진에 의한 중국 통일 후에는 촉군이 되었다. 후한 말기의 220년, 현재의 시가지에 덕양현의 현청이 설치되었다. 330년, 동진 말기의 혼란을 틈타 이웅이 성한을 세웠고 덕양군의 군청이 이곳에 있었다.
'쑤이닝'의 지명의 유래는 동진과 16국이 병존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쑤이닝은 16국 중에서 성한에 속했지만, 각국간의 싸움과 후계자 싸움으로 성한은 피폐해졌다. 347년, 동진의 환온 장군이 촉 정벌에 착수해 성한을 멸해, 쓰촨에서 50년 이상 계속된 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환온은 개선 도중, 이곳의 바람과 태양의 아름다움을 보았고 노래나 춤 소리가 어딘가로부터 들려 오는 것에 평화로움을 느꼈다. 오랜 세월 전장에 있던 환온은 평화를 갈망하는 마음에서 이곳에 군을 두고, '전란의 종식과 안녕에 도달함'을 바라는 뜻으로 수녕(遂宁)이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이후, 이곳에는 수녕의 이름으로 군, 부, 주, 현 등이 두여져 일대의 중심지로서 번영했다.
남북조시대부터 송원대까지, 시역에는 석산군(石山郡), 소계현(小溪县), 방의현(方义县), 수주(遂州), 수주총관부(遂州总管府), 수주총독부(遂州总督府), 무신군절도사(武信军节度使) 등이 있었고 그 관할하에는 35개의 현이 있었다. 수녕성의 관할 지역이 최대에 이른 것은 당나라 말기로, 수주에 설치된 무신군절도사는 수주(쑤이닝), 창주(룽창), 합주(허촨), 유주(충칭), 노주(루저우)의 5주를 관할했다. 명대 이후, 수녕은 주에서 현으로 격하되었고, 동천부(현재의 싼타이현), 가릉도(현재의 난충시)등의 관할하가 되었다.
1935년, 중화민국에 의해 쓰촨성에 제18행정독찰구를 설치했을 때, 쑤이닝에는 제12행정독찰구가 놓여져 쑤이닝, 안웨, 중장, 싼타이, 서훙, 옌딩, 펑시, 퉁난, 러즈의 9현을 관할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 촨베이 행정구 쑤이닝 분구(川北行政区遂宁分区)가 놓여졌고 1952년에 쑤이닝 전구(遂宁专区)로 고쳐져 상기한 9현을 관할했지만, 1958년에 쑤이닝 전구가 폐지되어 쑤이닝은 인접하는 몐양 전구에 편입되었다.
1985년 2월, 국무원에 의해 쑤이닝현은 폐지되고 성할시가 되어, 스중구(원래의 쑤이닝현), 펑시현, 서훙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1997년 10월에 국무원에 의해 펑시현의 부강 서안 지역에 다잉현이 신설되었다. 2003년 12월에 국무원에 의해 스중구가 분할되고 촨산구와 안쥐구가 설치되어 쑤이닝시는 2구 3현으로 구성된 지급시가 되었다.
산업[편집]
농산물은 쌀·밀·유채·사탕수수·사과·귤·누에고치 등을 생산한다. 또한 제염소(製鹽所)가 있고, 최근에는 부근에서 유전 개발이 추진되어 석유와 천연가스를 산출한다.
교통[편집]
관내에 쑤이닝 안쥐 공항(遂宁安居机场)이 존재하며, 국내선 전용이다. 단순한 쑤이닝 공항(遂宁机场)도 있으나 이 공항은 정기편 운행은 안 하고 비행학교에서 훈련용으로 사용중이다.
철도의 경우, 쑤이닝역(遂宁站)이 존재하고 다청철도(达成铁路), 쑤이청철도(遂成铁路), 쑤이위철도(遂渝铁路)가 지나간다. 그리고 쑤이닝시 내에는 쑤이닝난역(遂宁南站)도 있으나 화물전용역이다.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쑤이닝시〉, 《위키백과》
- 〈쑤이닝시〉,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쑤이닝시〉,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쑤이닝〉, 《네이버 지식백과》
- 〈遂宁市〉, 《百度百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