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보퍼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
{{북아메리카 위치 지도}}
 +
[[파일:보퍼트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보퍼트해''']]
 
[[파일:보퍼트해.jpg|썸네일|300픽셀|'''보퍼트해''']]
 
[[파일:보퍼트해.jpg|썸네일|300픽셀|'''보퍼트해''']]
[[파일:보퍼트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보퍼트해''']]
 
 
[[파일:북극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북극에서 본 보퍼트해 위치''']]
 
[[파일:북극해 지도.jpg|썸네일|300픽셀|'''북극에서 본 보퍼트해 위치''']]
  

2023년 3월 1일 (수) 11:59 판

보퍼트해
보퍼트해
북극에서 본 보퍼트해 위치

보퍼트해(Beaufort Sea, 프랑스어: mer de Beaufort)는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유콘 준주, 미국의 알래스카주의 북쪽, 북극 제도의 서쪽에 펼쳐진 북극해의 일부를 말한다. 보퍼트해의 이름은 수로 측량을 했던 영국 해군인 프랜시스 보퍼트에서 왔다. 보퍼트해는 일 년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여 있다.[1]

개요

보퍼트해는 미국 알래스카주 북쪽 연안에 있는 바다이며 북극해의 연해(緣海)로, 대략 미국 알래스카주의 포인트 배로(Point Barrow)에서 캐나다 노스웨스트 준주에 속하는 퀸엘리자베스 제도 서단의 프린스패트릭 섬의 랜즈엔드(Lands End)를 연결한 영역을 지칭한다. 표면적은 약 47만 6000㎢이며, 평균 수심은 1004m, 최대 수심은 4683m에 이른다. 고래와 바다새의 주요 서식지이며 석유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한 곳이기도 하다. 캐나다에서 가장 긴 매켄지강이 보퍼트해의 캐나다 지역으로 흘러간다. 8월부터 9월까지 해안 근처에서 100km(62mi)의 좁은 길만이 열렸지만, 최근 북극의 기후 변화로 인해 늦여름에 얼음이 없는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보퍼트해는 북극 해빙을 보충하는 중요한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보퍼트해의 해안선은 툰드라로 덮여 있고 북미에서 북극곰의 육지 분포 범위의 북쪽 한계를 표시한다. 맥켄지강은 고래와 바닷새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여전히 상업 교통의 손길이 닿지 않은 상태다.[2]

지리

알래스카의 콩가쿠트강이나 유콘의 퍼스강 등 몇몇 강이 보퍼트해로 흘러든다. 바다로 흘러드는 주요 강은 캐나다에서 가장 긴 강인 맥켄지강으로 툭토약투크(Tuktoyaktuk) 서쪽의 캐나다 지역으로 흘러 들어간다. 해안붕 지역은 좁고 알래스카 부근과 동쪽에 수많은 해저 계곡을 포함하고 있다. 맥켄지강 삼각주 근처에서는 넓어지지만 145km(90마일)를 넘는 곳은 없다. 해안 근처의 깊이는 60m보다 낮지만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까지 급격히 증가하여 바다와 지질학적으로 유사하다. 바다와 맥켄지강 삼각주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있다. 허셜 섬(Herschel Island), 바터 섬(Barter Island) 등 몇 개의 큰 섬이 맥켄지강 서쪽에 있다. 해안은 낮고 최대 고도는 250~750m이다. 토양은 약 1m 이하의 깊이에서 일년 내내 얼어 영구 동토층을 형성하며, 여름에는 상위 수십 센티미터만 해빙된다. 따라서 건물은 영구 동토층에 침지된 나무 말뚝 위에 지면 위로 들어올려야 한다.[3]

수문학

보퍼트해는 해안 근처에서 얼음은 한때 50-100km 폭의 개방 수역이 열리는 8월과 9월을 제외하고는 일년내내 얼어 있다. 2000년대에 북극의 기후 변화로 인해 늦여름에 얼음이 없는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2012년 9월 북극 해빙의 기록적인 최소 범위 동안 해빙 경계는 해안에서 정상보다 훨씬 더 멀리 북쪽으로 후퇴했다. 맥켄지강의 수로는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에 해빙된다. 이 해빙은 평균 물 배출량을 약 150,000 ~ 250,000m³/s로 증가시킨다. 보퍼트해의 얼음층에 숨겨진 변화는 2009년에 발견되었다. 관측 위성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얼음 영역은 안정되어 있는 반면 최근 관련 수온과 염도에 따라 얼음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얼음은 더 얇고 구조적으로 훨씬 약하다.

바닷물은 온도가 안정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4층으로 구분된다. 상위 100m는 지표수로 여름에는 -1.4°C, 겨울에는 -1.8°C의 온도를 가진다. 다음 층은 베링 해협을 통해 들어오는 태평양베링해로부터의 유입에 의해 형성되며 북극까지 확장된다. 가장 따뜻하고 깊은 대서양층의 온도는 0~1°C이며, 바닥의 물은 -0.4~30.8°C로 약간 차가워진다. 평균 염도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28도에서 32도 사이이다. 일반으로 기온은 1월에는 -27°C, 7월에는 11°C이다. 수류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는 보퍼트 환류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해안 근처에서 남서쪽과 서쪽의 해류가 발생한다. 매켄지강은 이 순환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쳐 하구 근처에서 작은 동쪽 흐름을 유도한다. 강은 매년 백운석과 탄산칼슘 이 풍부한 퇴적물 약 1,500만 톤을 가져온다.

석유 및 가스 탐사

보퍼트해 해저 아래에 주요 가스 및 석유 매장량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인근 맥켄지강과 노스 슬로프의 검증된 매장량의 연속이다. 보포트해는 1950년대에 해저 탄화수소를 탐사하기 위해 처음 탐사되었으며 연안 시추는 1972년에 시작되었고 1980년대에는 약 70개의 유정이, 2000년에는 200개의 유정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약 4650만 m³의 바라이트, 점토, 가성소다, 아연, 구리, 납, 크롬, 코발트, 니켈, 카드뮴, 수은이 함유된 시추 진흙이 배출되었다. 1986년에 약 50,400m³의 석유가 생산되었다.

1971년 맥켄지 강 삼각주에서 타글루 가스전(Taglu Gas Field)이라는 이름의 주요 가스전이 발견되었고, 이어 파슨 호수(Parson Lake) 유전과 니글린각(Niglintgak) 유전이 발견되었다.이들 필드의 예상 가스 매장량은 각각 58,600km³, 35,400km³, 13,600km³이다. 보퍼트해의 석유 매장량 중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아마울리각(Amauligak)은 1984년에 발견되었으며 37.3km³의 석유와 38,500km³의 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필드의 개발은 위치 때문에 방해를 받는다. 이 문제는 알래스카 횡단 파이프라인을 건설하여 프루도 만의 경우 완화되었지만, 맥켄지강 매장지에서 정기적인 상업 생산을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마울리각 프로젝트는 필드를 발견한 직후에 시작되었다. 1985년 9월 걸프보퍼트는 5030만L의 원유를 일본으로 운송했는데 이는 북극의 석유 매장지에서 처음으로 선적된 것이다 .그러나 그 후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미국 해양에너지관리국은 2017년 7월 이탈리아 다국적 석유가스회사 에니가 보퍼트해의 4개 인공섬 중 하나인 스파이섬(Spy Island)에 석유 탐사정 4개를 시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승인했다.[4]

분쟁

보퍼트해 분쟁 지역

미국의 알래스카주와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 및 유콘 준주의 북쪽 연안이 보퍼트해와 접하는데, 양국의 해양 경계선이 명확하게 획정되지 않아 분쟁 지역으로 남아 있다. 캐나다는 영국의 승계국으로서 1825년 영국과 러시아 간에 체결한 상트페테르부르크조약에 근거하여, 200해리까지 알래스카 주와 유콘 준주의 육지 경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해양 경계선을 획정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양국의 해안에서 200해리까지 수직으로 등거리선을 획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국의 주장에 따라 해양 경계선을 획정하면 2만 1000㎞의 표면적이 쐐기꼴로 겹치는데, 이 부분이 바로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다. 미국 에너지국의 조사에 따르면, 보퍼트해 외곽에는 40억 배럴의 석유와 5700억㎥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자원개발을 둘러싼 양국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2004년 미국이 분쟁 해역에서 석유 탐사를 계획하자 캐나다가 반발하였고, 2009년에는 미국 상무부가 분쟁 해역을 포함한 알래스카 북부의 보퍼트해에 대한 어업금지 조치를 발표하여 양국 간에 갈등 국면이 조성되었다.

한편, 보퍼트해는 대서양에서 북아메리카대륙의 북쪽을 지나 태평양을 연결하는 북서항로(北西航路)의 일부이기도 하다. 2000년대에 들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의 빙하 일부가 녹으면서 새로운 항로가 열렸는데, 2006년 캐나다는 북서항로가 자국의 내수(interior waters)임을 선언하고 이 항로를 통과하는 선박들이 자국의 통제와 항해법을 따라야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미국와 유럽연합(EU)은 북서항로가 모든 선박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국제해협이라고 반발하여 외교적 마찰이 야기되었다.[5]

지도

동영상

각주

  1. 보퍼트해〉, 《위키백과》
  2. 보퍼트해〉, 《나무위키》
  3. 보퍼트 해〉, 《요다위키》
  4. "Beaufort Sea", Wikipedia
  5. 보퍼트해 분쟁〉,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보퍼트해 문서는 세계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