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고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이 보기) |
(→지도)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최대의 국가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47.7%를 차지하고 있다. 남미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큰 아르헨티나보다 3배 이상 더 크다. 면적으로는 러시아, 캐나다,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다. 브라질 지형은 북부는 아마존 강이 흐르는 세계 최대의 열대 우림 지대로 전 세계 산소의 25% 이상을 생산하고 있어 ‘지구의 허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로 환경 파괴가 지속되고 있어 아마존 강 유역의 사막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중부에는 브라질고원이, 남부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브라질은 광대한 영토 때문에 농업 국가로 성장했다. 1950년대 이후 공업이 급속하게 성장했으나 아직 브라질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26% 가량이 농업 종사자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업인이 소작농이어서 비교적 생산성이 낮다. 브라질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커피]], 설탕, 카카오 같은 열대 농산물의 수출국에서 21세기 초 이후 콩, [[옥수수]], 면화, 설탕, 커피, 오렌지, 고기, 에탄올의 주요 글로벌 공급국으로 놀라운 변화를 이루었다. 2020년 브라질의 농작물 생산량은 4710억 브라질 헤알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으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해 전국 경작면적은 8340만 헥타르에 달했다. 브라질은 농업 발전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 1300만 톤의 밀 수요가 예상되지만 900만 톤만 수확 예정이다. 만성적으로 부족한 밀은 향후 5년 이내에 자급자족이 가능할 전망이다.<ref>박정한 기자,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209061431214463e8b8a793f7_1/article.html?md=20220906152926_U (초점) 브라질, 5년내 밀 자급한다…더운 사바나서 재배 성공]〉, 《글로벌이코노믹》, 2022-09-06</ref> | *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최대의 국가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47.7%를 차지하고 있다. 남미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큰 아르헨티나보다 3배 이상 더 크다. 면적으로는 러시아, 캐나다,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다. 브라질 지형은 북부는 아마존 강이 흐르는 세계 최대의 열대 우림 지대로 전 세계 산소의 25% 이상을 생산하고 있어 ‘지구의 허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로 환경 파괴가 지속되고 있어 아마존 강 유역의 사막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중부에는 브라질고원이, 남부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브라질은 광대한 영토 때문에 농업 국가로 성장했다. 1950년대 이후 공업이 급속하게 성장했으나 아직 브라질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26% 가량이 농업 종사자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업인이 소작농이어서 비교적 생산성이 낮다. 브라질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커피]], 설탕, 카카오 같은 열대 농산물의 수출국에서 21세기 초 이후 콩, [[옥수수]], 면화, 설탕, 커피, 오렌지, 고기, 에탄올의 주요 글로벌 공급국으로 놀라운 변화를 이루었다. 2020년 브라질의 농작물 생산량은 4710억 브라질 헤알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으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해 전국 경작면적은 8340만 헥타르에 달했다. 브라질은 농업 발전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 1300만 톤의 밀 수요가 예상되지만 900만 톤만 수확 예정이다. 만성적으로 부족한 밀은 향후 5년 이내에 자급자족이 가능할 전망이다.<ref>박정한 기자,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209061431214463e8b8a793f7_1/article.html?md=20220906152926_U (초점) 브라질, 5년내 밀 자급한다…더운 사바나서 재배 성공]〉, 《글로벌이코노믹》, 2022-09-06</ref> | ||
− | ==지도== | + | == 지도 == |
− | {{지도|브라질고원 }} | + | {{브라질고원 행정 지도|800}} |
+ | {{지도|브라질고원}} | ||
+ | {{다단2 | ||
+ | |{{브라질 행정 지도}} | ||
+ | |{{남아메리카 국가 지도}} | ||
+ | }} | ||
==동영상== | ==동영상== |
2023년 12월 23일 (토) 18:32 기준 최신판
브라질고원 (영어: Brazil Plateau, 브라질 포르투갈어: Planalto Brasileiro)은 브라질 중부와 동남부에 걸쳐 있는 고원이다. 이 고원은 남동부에서 북서부로 갈수록 고도가 완만해진다. 고원의 북부와 중부는 주로 퇴적암과 변성암이 분포한다. 고원의 남부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형성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에 위치한 파라나-에텐데카 트랩의 영향이다. 브라질 고원 전체의 면적은 약 400만km²에 이르러 나라의 2/3를 차지하며 남동해안 3,000km를 한변으로 하는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평균고도는 약 1000m로 높은 편이다.[1]
개요[편집]
브라질고원 남부의 파라나 분지와 파라나 고원부터 파라나-에텐데카 트랩까지의 지역은 용암의 열하분출로 형성된 용암대지(일부는 용암고원)이다. 지질은 편마암, 화강암, 운모편암, 규암 등 고기(古期)의 결정질 암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고도 덕분에 낮은 위도에도 불구하고 고원의 중심부는 동위도대의 열대지역보다는 서늘한 기후가 나타난다. 동쪽의 대서양 방면으로는 경사가 급하나 그 반대쪽은 상당히 완만하게 기울어져 비교적 평탄하다. 한편 이 고원은 기후에도 영향을 주는데 경사가 가파르며 고도가 높은 고원의 대서양 방면으로 남동무역풍이 부딪혀 비그늘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고원의 아래에 위치한 해안지역에 지형성 강수가 내린다. 이 때문에 브라질 동부해안지역과 남부해안지역 일부에 열대우림 기후가 형성된다. 이 고원의 북부지역은 아마존 강 유역과 연결되나, 아직 개발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많아 인구밀도가 매우 낮다. 그러나 남부지역은 각종 광산물이 풍부하고, 농산물의 생산도 많으며, 고도로 인해 동위도대의 지역에 비해 기후도 쾌적하여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브라질의 행정수도 브라질리아는 인구밀도가 낮은 이 고원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브라질의 최대 도시인 상파울루는 이 고원의 남부에 있다.
브라질고원의 남부 용암대지에서는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자줏빛 현무암 및 현무암 풍화토가 발견되는데 이를 포르투갈어로 테라록사(붉은 빛이 도는 땅) 영어로는 'purple land' 한다. 이 흙이 자줏빛을 띄는 이유는 현무암에 섞인 스코리아에 있는 철 등이 적색풍화(산화)를 겪어서이며 테라록사 지대에서는 커피 농사가 행해지고 있다. 테라록사의 경우 석회암 지대에 분포하는 석회암 풍화토를 의미하는 테라로사(붉은 색의 땅)와 그 뜻과 단어가 유사하여 같은 것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테라록사와 테라로사는 엄연히 다르다. 테라록사는 휘석 등이 함유된 화산암 계열의 암석이 풍화되어 만들어진 토양이고 테라로사는 석회암이 용식되며 석회암의 탄산칼슘은 녹고 남은 불용성 물질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토양이다. 철 등의 성분이 산화되어 붉은 빛이 나타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모암 자체가 다르므로 테라록사와 테라로사는 구분해야 한다.
특징[편집]
평균기온은 대부분이 20℃를 넘는 열대에 속하나, 남부 고원의 곡간(谷間)은 7∼8월에 남쪽의 한랭기단의 영향을 받아 매우 추운 날씨가 된다. 일반적으로 우기가 뚜렷하게 교체되는 사바나 기후로 표면은 캄푸세라두(Campo cerrado)라고 하는 관목이 많은 초원이 전개되나 북쪽은 아마존의 열대우림으로 점이(漸移)된다. 또 북동쪽은 우량이 더욱 감소하여 유자식물(有刺植物)이 많은 반건조한 초원으로 변하고, 남쪽은 아열대성의 삼림을 이룬다. 따라서 남부는 농목업 생산량이 높으나, 내륙부는 대부분 미개발 상태에 있다. 행정 수도로서 고원의 중앙부에 브라질리아가 건설되었다.[2]
관련 뉴스[편집]
- 브라질은 남아메리카 최대의 국가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47.7%를 차지하고 있다. 남미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큰 아르헨티나보다 3배 이상 더 크다. 면적으로는 러시아, 캐나다,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다섯 번째다. 브라질 지형은 북부는 아마존 강이 흐르는 세계 최대의 열대 우림 지대로 전 세계 산소의 25% 이상을 생산하고 있어 ‘지구의 허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개발로 환경 파괴가 지속되고 있어 아마존 강 유역의 사막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중부에는 브라질고원이, 남부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브라질은 광대한 영토 때문에 농업 국가로 성장했다. 1950년대 이후 공업이 급속하게 성장했으나 아직 브라질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26% 가량이 농업 종사자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업인이 소작농이어서 비교적 생산성이 낮다. 브라질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커피, 설탕, 카카오 같은 열대 농산물의 수출국에서 21세기 초 이후 콩, 옥수수, 면화, 설탕, 커피, 오렌지, 고기, 에탄올의 주요 글로벌 공급국으로 놀라운 변화를 이루었다. 2020년 브라질의 농작물 생산량은 4710억 브라질 헤알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으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해 전국 경작면적은 8340만 헥타르에 달했다. 브라질은 농업 발전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 1300만 톤의 밀 수요가 예상되지만 900만 톤만 수확 예정이다. 만성적으로 부족한 밀은 향후 5년 이내에 자급자족이 가능할 전망이다.[3]
지도[편집]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브라질고원〉, 《위키백과》
- 〈브라질고원〉, 《네이버 지식백과》
- 박정한 기자, 〈(초점) 브라질, 5년내 밀 자급한다…더운 사바나서 재배 성공〉, 《글로벌이코노믹》, 2022-09-06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