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리비아 디나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리비아 디나르(아랍어: دينار ليبي)는 리비아의 통화이다. 크게 카다피 치하기의 권종와 아랍의 봄 사건 이후의 안티 카다피 시리즈로 나뉠 수 있다. 디나르는 1000 디르함(درهم)으로 나뉜다. 1971년에 소개되었고 1 대 1 비율로 파운드를 대체했다. 리비아 디나르는 벵킹시스템과 신용 규제를 관리하는 리비아 중앙은행이 발행한다. 1972년, 해외 투자를 처리하기 위해 리비아 아랍 외환은행(Libyan Arab Foreign Bank)이 설립되었다.

일단 공식적인 통화명은 디나르(Dinar)이나, 현지인들은 과거 프랑스/영국이 위임통치를 하던 당시에 (특히 이집트에서)보편적으로 칭하던 화폐단위인 "기니/기니아(guinee/guinea)"에서 유래한 즈니/즈나/즈너/즈네 등으로 부른다. 보조단위인 디람(디르함) 또한 마찬가지로 "가르쉬"라고 부르는데, 이 또한 오스만 리라에서 파생된 이집트 파운드(쿠루쉬=키르쉬)의 영향. 단, 구어체인 가르쉬는 공식 단위인 디르함의 10배값(=10디르함 = 1가르쉬)이다.

개요[편집]

리비아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LYD, 보조단위로 1/1000단위인 디르함=디람(درهم)이 있으며 기호는 ل.د(LD).

리비아 아랍 공화국이 건국되고 2년 후인 1971년 등장했으며 이전 리비아 왕국에서 사용했던 리비아 파운드를 1대 1로 대체했다.

인플레는 2.5%로 크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지만 이는 환율을 SDR(특별인출권)에 묶어놓는 전형적인 사회주의 국가 통화 속성상 그런 것이니 실제로는 상당히 불안정하다고 여겨진다.

디자인적 면에서는 크게 카다피 시리즈와 안티 카다피 시리즈로 나뉠 수 있다.

환전[편집]

과거 리비아 디나르는 지나치게 고평가 된 공식 환율을 가지고 있어서, 어지간하면 암환전 시장에서 시장환율로 환전하였다. 예로 대미 환율이 공식적으론 1.38디나르/USD(=820원/LD)였으나, 같은 시각 시장환율은 5.43디나르/USD(=210원/LD)을 가리켰다. (2018년 10월 9일 기준)

하지만 2020년에 들어 정책이 바뀌었는지 두 환율이 차츰 동기화되었고, 2022년 현재는 암환전과 시장환율이 거의 비슷한 값을 가리키고 있어, 암환전이라는 어휘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은행 환전보다 사설 환전을 더 선호하는데, 일단 환율자체가 여전히 조금은 더 유리하며, 리비아가 옆동네 튀니지나 이집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환 관리를 까다롭게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22년 8월 11일 기준 해당 국가의 지폐를 갖고 있다면 국내에서는 처분하는 방법이 없다. 또한 국내 은행의 비고시 추심이 불가하기 때문에 화폐수집가에게 파는 것이 현실적이다.

어려가지 이유로 가게 된다면 아래의 외국 지폐가 환전이 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주력이며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 환전소이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북아프리카 은행 환율창

  • 아프리카: 모로코 디르함, 알제리 디나르, 모리타니 우기야, CFA 프랑/서아프리카,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노르웨이 크로네, 덴마크 크로네, 러시아 루블, 튀르키예 리라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지폐[편집]

구권(카다피 시리즈)[편집]

초반에는 ¼, ½ 1, 5, 10디나르 5종뿐이었으나 2002년에 20디나르, 2008년에 50디나르가 새로 추가되었다.

앞면 뒷면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¼ 렙티스 마그나의 티베리우스 아치 무르주크 요새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½ 정유 시설 관개 농업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1 젊은 시절의 무아마르 카다피 마우라이 무함마드 모스크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5 엄마와 새끼 낙타 알 하니 전투기념비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10 오마르 무크타르 사브하 성채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20 GMMR 구도 1999년 OAU 회의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50 말년의 무아마르 카다피 알 카르다비야 소재 농업부 건물

각 시리즈는 아래와 같은 변화성을 가지고 있다.

4차 LD ¼~10
  • 청색계열이 추가되어 각기 모두 다른 색을 띄게 되었고 로마자 표기가 사라졌다.
  • 초판은 테두리가 흰색이었다가 나중에 끝부분까지 색이 입혀진 형태가 되었다.
5차 LD ¼~20
  • 전 권종이 비슷한 복합색(주로 적황색계열 바탕)으로 바뀌었다. 선이 매우 선명해졌다.
6차 LD 1~10
  • 심플한 컬러와 단순한 디자인으로 복귀. 숫자표기에 배경이 없어졌다.
7차 LD 1~50
  • 좌우구도가 반전되고, 숫자표기가 각진 모습이 되었다.

혁명 이후인 2012년 1월 14일 본모습이 담긴 50디나르가 유통 중단되었고 동년도 3월 15일까지 교환이 이루어졌다. 이후 간접적인 모습을 담은 1, 20디나르가 이어서 중단되며 동시에 5디나르와 10디나르에서 카다피의 흔적을 지운 신권이 발행되었고, 2013년 2월 17일 신 시리즈 발행과 맞춰 유통이 전면 중단되었다.

현행권(안티 카다피 시리즈)[편집]

앞면 뒷면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1 반카다피 저항세력의 승리포즈 새로운 리비아 국기와 흰 비둘기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5 오스만풍 시계탑 키레네의 제우스 신전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10 오마르 무크타르 말 탄 무크타르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20 알 아테크 모스크 가다메스의 학교
50픽셀 default 리비아 디나르
이 그림에 대한 정보
LD 50 세데 케레베치의 이탈리아풍 등대 타드라르트 아카쿠스 암벽화가 있는 돌다리
  • 2차 리비아 내전이 한창이던 2016년 무렵에, 기존 정부(서측, 트리폴리)와 대치중인 국민군 점령지(동측, 투브루크)에 실물화폐 공급이 잘 이뤄지지 않자, 투브루크 정부가 러시아 고즈낙[2]에 따로 화폐 생산을 의뢰하여 지폐 2종[3]과 동전 1종(1디나르)[4]을 별도로 들여놓았다. 트리폴리측은 이를 불법으로 간주하려 했고, 때문에 러시아에서 리비아로 운반하는 도중 중계지인 몰타에서 압수당하는 일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론 무사히(?) 동리비아로 입고되어 시중에 풀렸다.
  • 다만 2024년 연초, 트리폴리의 리비아 중앙은행이 그 '동리비아 디나르' 중 50디나르화가 2종류로 돌아다니는 것을 인지하고, 그 중 하나를 위폐로 간주하여, 시장 혼란을 안겨줄 위험이 크다며, (현지시각 2024년 4월 22일 기준으로) 기존의 50디나르화를 포함해 모두 유통을 중단시키겠다는 의향을 밝혀 사회적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동전[편집]

1975년까지, 밀리엠 (디르함과 같다)이라고 되어있는 옛 동전들이 유통되었다. 1975년, 동전은 아랍 공화국 연방의 국장이 포함되어 있는 1, 5, 10, 20, 50, 100 디르함이 도입되었다. 이것들은 1979년에 동전의 두번째 시리즈가 국장 대신에 마부의 디자인을 가진 동일한 액면가의 동전이 뒤따랐다. 2001년과 2004년에는 각각 ¼과 ½ 디나르 동전이 발행되었다. 2009년에 새로운 50, 100 디르함, ¼, ½ 디나르 동전이 발행되었다. 1, 5, 10, 20 디르함 동전은 거의 교환 단위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법적 통화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과 2014년에, 리비아 중앙은행은 ¼과 ½ 디나르 동전과 50·100 디르함 동전을 발행했다.

리비아 동전.png
  • 50 dhs. - 북아프리카 관개 우물
  • 100 dhs. - 카바오 마을
  • LD ¼ - 야자수
  • LD ½ - 기르자의 영묘

50, 100디람과 ¼, ½디나르로 4종이다.

지도[편집]

북아프리카 국가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리비아 디나르 문서는 화폐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