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싱안링지구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3/3e/%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_%EC%9C%84%EC%B9%98.png/300px-%ED%97%A4%EC%9D%B4%EB%A3%BD%EC%9E%A5%EC%84%B1_%EC%9C%84%EC%B9%98.png)
다싱안링지구(중국어: 大兴安岭地区 dà xìng ān lǐng dì qū)는 중국 헤이룽장성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지구이다.[1][2]
개요[편집]
다싱안링지구의 면적은 83,000km²이며 인구는 331,276명(2020)이다. 동쪽으로 샤오싱안령(小兴安岭, 소흥안령)과 접하며, 서쪽으로 다싱안령(大兴安岭, 대흥안령) 산맥을 경계로 네이멍구자치구(内蒙古自治区)와 이웃하고 있다. 남쪽은 광활한 쑹넌평원(松嫩平原, 송눈평원)이며, 북부는 헤이룽장 주항도(主航道)를 중심으로 하여 러시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행정구획은 후마현(呼玛县, 호마현), 타허현(塔河县, 탑하현), 모허현(漠河县, 막하현)의 3개 현(县)과 4개 구(区), 23개 진(镇), 12개 향(乡), 6개 가도(街道)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구행정공서(地区行政公署)는 자거다치구(加格达奇区, 가격달기구)에 소재한다.
지명인 '다싱안링'은 이 지역을 지나는 산맥인 다싱안링 산맥에서 유래하였다. 중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지역이니만큼 중국에서 가장 추우며, 이로 인해 중국에서는 ‘선저우 북극(神州北极)’이라는 별칭으로도 부른다. 참고로 이 선저우 북극은 현재 중국 최북단 공원의 공원명으로 채택되었고, 이 선저우 북극이 위치한 마을명도 여기에 맞춰서 베이지촌(北极村)으로 개칭하였다. 개명 전 명칭은 모허촌(漠河村).
관광지로는 서쪽에 있는 다싱안링 산맥과 국유림이 있다. 중국 10대 삼림 중 하나이자 중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국유림으로, 숲과 강, 빙하가 어우러져 풍경이 아름다우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다.[3][4][5]
자연환경[편집]
다싱안링지구는 중국 국유림 지역이자 천연림의 주요 분포 구역 중 하나이며, 중국의 한온대 밝은 침엽수림 지대이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한온대 생물 유전자 은행이다. 덜부간과 대흥안령 두 광물 형성대에서는 모허 사보스암 금광, 신림 타위안 납·아연광 등 대규모 중형 광산이 다수 발견되었다. 대흥안령 지역은 동북 지구의 흥안 산지 지형 구역에 속하며, 흥안령 산지와 대원(台原) 중의 흥안령 북부 대원 지형 구역에 위치한다. 서부는 고위도 동결 지형 유형 구역이고, 동부는 고한 침식 지형 유형 구역이다. 지형은 중산(中山), 저산(低山), 구릉, 그리고 산간 분지로 구성된다.
중산은 산맥의 형태를 가지지만 분할이 비교적 심하다. 저산은 산세가 둥글고 완만하며, 표면은 자잘하지만 구릉보다 분포가 규칙적이다. 전체 지역의 지형은 동북-서남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얕은 산과 구릉 지대에 속한다. 북부, 서부, 중부는 지대가 높으며 평균 해발은 573m이다. 최고 해발은 1528m로, 이는 일르후리 산맥의 주봉인 후중구 대백산이며, 최저 해발은 180m로 후마현 싼카향 연강촌에 위치한다.
일르후리 산맥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지역을 가로지른다. 동쪽은 낮고 서쪽은 높으며, 길이는 400km이다. 흑룡강 수계와 눈강 수계의 분수령 역할을 한다. 중산지대는 상대 해발이 300-500m로, 본 지역 서부와 중부의 신림구, 후중구, 타허현에 분포한다. 산체는 일련의 완만한 복배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형의 기복이 크고 절단이 깊다.
저산지대는 상대 해발이 200-300m로, 흥안령 동부의 후마현, 남부의 송릉구와 가가대기구에 주로 분포한다. 산체는 둥글고 산비탈은 완만하며,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15-30도이다. 구릉지대는 상대 해발이 50-200m로, 동부, 남부, 북부에 분포한다. 표면은 언덕 형태로 기복이 있으며, 비탈은 길고 완만하며, 경사각은 10~15도이다. 산간 분지는 지역 내 하천 계곡 지대에 분포하며, 계곡은 넓지만 계곡 바닥은 좁고 직선형 계곡이 많다.
다싱안링지구는 독특한 기후를 지니고 있으며, 한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극한의 한랭 금지 구역"이라 불리며, 기후가 습윤하고 여름과 겨울에는 강수가 많다. 연간 일교차가 크며, 여름에는 낮이 길고 밤이 짧으며, 하지 무렵에는 때때로 북극광이 나타난다. 겨울에는 밤이 길고 낮이 짧으며, 극심한 한파가 발생하기도 한다. 연간 태양 복사 총량은 4500만 MJ이며, 연간 일조 시간은 2600시간이다.
중국 전체에서 최북단에 위치한데다 바다와 접하지 않은 내륙 지역이라 중국에서 가장 혹독한 날씨를 보인다. 다싱안링지구에서 가장 북쪽 끝에 위치한 모허시는 연평균 기온 -5.5℃, 1월 평균 기온 -30.9℃에[4], 역대 최저 기온은 2023년 1월 22일에 기록된 -53.0℃이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추운 곳이다.
최난월인 7월 평균 기온은 18.4℃로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시원하지만 한반도 내 최한지인 삼지연보다는 오히려 높은데, 이로 인해 연교차가 매우 큰 편에 속한다. 역대 최고 기온은 36.3℃로 역대 최저 극값과 최고 극값이 90℃ 가까이 벌어지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431mm로 매우 적어, 비가 많이 내리지 않고 눈도 매우 적게 내리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띈다.
다싱안링지구의 수계는 대부분 외류 수계로, 태평양으로 흘러간다. 지표 흐름대의 습윤대와 다수의 하천이 있는 지역에 속한다. 유역 면적이 1000km² 이상인 하천은 28개, 유역 면적이 100km² 이상인 하천은 115개, 유역 면적이 50km² 이상인 하천은 208개이다. 하천의 총 길이는 4410km이며, 수면 면적은 142km²이다. 지역 내 주요 하천으로는 후마강, 어무얼강, 반고강, 시얼겐치강, 두부쿠얼강, 간강, 나두리강 등이 있으며, 국제 하천으로는 흑룡강이 있고, 지역 경계를 이루는 하천으로는 눈강이 있다.대흥안령 지역의 수계는 대부분 외류 수계로, 태평양으로 흘러간다. 지표 흐름대의 습윤대와 다수의 하천이 있는 지역에 속한다. 유역 면적이 1000km² 이상인 하천은 28개, 유역 면적이 100km² 이상인 하천은 115개, 유역 면적이 50km² 이상인 하천은 208개이다. 하천의 총 길이는 4410km이며, 수면 면적은 142km²이다. 지역 내 주요 하천으로는 후마강, 어무얼강, 반고강, 시얼겐치강, 두부쿠얼강, 간강, 나두리강 등이 있으며, 국제 하천으로는 흑룡강이 있고, 지역 경계를 이루는 하천으로는 눈강이 있다.
다싱안링지구의 자연 식생은 범북극 식물구계의 유라시아 산림식물 아구역으로 한온대 침엽수 및 낙엽수림 지대에 속한다. 목본식물은 100종이며, 이 중 교목이 28종이다. 전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92과, 371속, 900여 종에 달한다. 야생 경제 식물은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이 중 약용 식물은 85과, 192속, 342종 이상이다. 주요 약용 식물로는 황기, 사삼, 백합, 단장초, 원후, 용담, 자원, 진달래 등이 있다. 섬유 식물, 탄닌 식물, 향유 식물, 식용 식물 등도 풍부하다.
다싱안링지구의 야생 동물은 고북계, 동북아계, 대흥안령 아구역에 속한다. 조사된 조류는 16목, 40과, 250종이다. 포유류는 6목, 16과, 56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주요 종은 자담, 담곰, 불곰, 스라소니, 향사, 말사슴, 엘크, 노루, 멧돼지, 늑대, 여우, 너구리, 눈토끼, 담비, 수달 등이 있다. 국가 1급 보호 동물로는 자담, 담곰, 향사 등이 있으며, 2급 보호 동물로는 불곰, 스라소니, 말사슴, 엘크, 눈토끼 등이 있다. 어류는 17과, 43종이 있으며, 주요 어류로는 대마하어, 세린어, 철로어, 흰철갑상어, 오수리백연어 등이 포함된다. 양서류는 2목, 4과, 7종이며, 파충류는 2목, 3과, 7종으로 조사되었다.
역사[편집]
기록상으로는 과거 요나라와 원나라가 통치하였으나, 말이 통치였지 실제 이 지역은 매우 척박하고 삼림이 우거진 지역이었기에 그냥 방치한 땅이나 다름없었다. 이후 원나라가 붕괴하면서 중국의 통치에서 벗어나 여진족을 비롯한 북방 유목민족의 거주지로 변하였으며, 청나라 대에 들어서 다시 중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중국의 영토로 편입되었지만 역시 그 척박함 덕분에 청말 틈관동 시기에도 이 지역은 한족의 이주는 커녕 그냥 사람 자체가 거의 없는 땅으로 남았으며, 만주국 시기에 관동군이 만주를 개발할 당시에도 이 땅은 그냥 삼림으로 남았다.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다싱안링특구(大兴安岭特区)를 발족시켜 행정구역을 독립시키고 군을 배치하는 동시에 임간 기업도 설치하여 임간부 산하 다싱안링 임업관리국(大兴安岭林业管理局)을 설치하고 개발에 나섰다.
1980년, 본래 내몽골 자치구와 헤이룽장성의 공동관할구였던 다싱안링지구가 헤이룽장성에 완전히 편입되었다.
산업[편집]
인구가 너무 적어 공단이나 산업단지는 없고, 대부분의 경제가 농업에 의존한 형태로 운영된다. 또한 기후가 너무나도 척박하여 쌀이나 밀 등의 곡물 농업은 거의 불가능하고, 주로 옥수수 및 감자가 재배된다. 또한 이 지역은 삼림지구인 만큼 삼림 자원이 풍부하여 임업 또한 다싱안링의 주요 돈줄로 작용한다.
2차산업은 최근 들어서 개발되는 중인데, 주로 광업 및 식품가공업 위주로 발전하는 편이다. 또한 최근 중국은 다싱안링에 발전소의 건설도 잇따라 추진 중이다.
나선정벌이 일어난 지역이기 때문에 나선정벌 유적지인 아커사 고전장 유지(雅克萨古战场遗址)를 관광지화하여 개방 중이기도 하다.
교통[편집]
이자 철도(伊加铁路)와 넌린 철도(嫩林铁路)가 다싱안링지구를 관통한다. 인구가 거의 없는 지역이기에 고속철도는 요원하며, 재래선만 지나간다.
공항은 2개가 존재하는데, 행정공서 소재지인 자거타치구에 다싱안링 어룬춘 공항(大兴安岭鄂伦春机场)이 존재하고 또 하나는 최북단 모허시에 모허 구롄 공항(漠河古莲机场)이 위치한다. 이 둘 모두 국내선 전용이며, 어룬춘 공항은 하얼빈 및 모허로만 취항하고 구롄 공항은 베이징, 선전으로도 취항한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다싱안링 지구〉, 《위키백과》
- ↑ 〈다싱안링지구〉, 《나무위키》
- ↑ 〈중국행정구획총람: 다싱안링지구〉, 《네이버 지식백과》
- ↑ 〈두산백과: 다싱안링〉, 《네이버 지식백과》
- ↑ 〈大兴安岭地区〉,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 〈다싱안링 지구〉, 《위키백과》
- 〈다싱안링지구〉, 《나무위키》
- 〈중국행정구획총람: 다싱안링지구〉,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다싱안링〉, 《네이버 지식백과》
- 〈大兴安岭地区〉, 《百度百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