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취징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윈난성 위치

취징시(중국어: 曲靖市 qǔ jìng shì)는 중국 윈난성 동북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취징시의 면적은 29,855km²이며 인구는 5,765,775명(2020)이다. 동쪽으로 구이저우성, 서쪽으로 쿤밍시, 남쪽으로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북쪽으로 자오퉁시와 접한다. 2022년 기준, 취징시는 1개의 현급시, 3개의 구, 5개의 현을 관할한다. 취징시는 "윈난의 관문"으로 불리며, 성도(省都) 쿤밍시에서 약 120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에는 이족(彝族), 부이족(布依族), 좡족(壮族), 묘족(苗族), 요족(瑶族) 등 8개의 주요 민족이 고유의 언어, 의상, 풍습,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취징시는 국가의 "일대일로" 전략, 장강 경제벨트 전략,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그리고 윈난성남아시아동남아시아 방사 중심 건설에 중요한 거점이다. 또한,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粤港澳大湾区), 청위(成渝) 지역 쌍성 경제권의 방사 영향을 받는 지역이자 뎬중(滇中) 도시군의 핵심 지역이며, 전국적 종합 교통 허브와 지역 순환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곡징시는 "중국 10대 살기 좋은 도시"에 6번 선정되었고, 국가 생태원림도시, 국가 위생도시 등의 칭호를 얻었으며, 국가 신형 도시화 종합 시범 지역 및 국가 삼림도시, 국가 원림도시로도 지정되었다.

관광지에 대리국(大理國) 단씨(段氏)와 37부회맹비(三十七部會盟碑), 주룽강(九龍崗)폭포, 치린(麒麟)공원 등이 있다.[3][4][5]

자연환경[편집]

취징시는 대체로 고원 산지 지형으로, 고원 호수분지와 고산, 중산, 저산, 강곡(河谷), 호분 등이 공존한다. 이 중, 1만 묘(亩) 이상의 대규모 평야가 34개 있으며, "뎬둥 곡창(滇东粮仓)"으로 불리는 루량(陆良) 평야는 면적이 771.99평방킬로미터로 윈난성에서 가장 크다.

취징시의 최고점은 후이쩌현(会泽县) 다하이량쯔(大海梁子) 구뉴자이(牯牛寨)로 해발 4017.3m이며, 최저점은 후이쩌현 나구진(娜姑镇) 왕자산(王家山) 샹비링(象鼻岭) 소강(小江)과 금사강(金沙江)의 합류 지점으로 해발 695m로, 상대 고도 차이는 3322.3m에 이른다.

기후는 아열대 고원 계절풍 기후로, "한 산에서 사계절을 경험하고, 10리마다 날씨가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218.5mm로, 강수량의 시공간적 분포가 불균등하다. 연중 강수량의 약 76.592.2%가 홍수기(5월10월)에 집중되며, 최대 강수량은 7월에 기록된다.

취징시(曲靖市)는 장강(长江)과 주강(珠江) 두 대수계의 분수령 지대에 위치하며, 시 경내에는 강과 하천이 발달해 있다. 유역 면적이 100km² 이상인 강이 80여 개 있으며, 주요 하천으로는 남반강(南盘江), 북반강(北盘江), 우란강(牛栏江), 황니허(黄泥河), 이례허(以礼河), 콰이쩌허(块择河), 샤오장(小江) 등이 있다. 이들은 장강 및 주강 두 대수계에 속하며, 유역 면적이 200km² 이상인 강은 29개로, 주강 수계의 남반강, 북반강, 콰이쩌허, 거샹허(革香河), 커두허(可渡河), 시지우시(喜旧溪)와 장강 수계의 우란강, 이례허, 푸두허(普渡河) 등이 있다.

주강은 시 중심에서 약 70km 떨어진 마슝산(马雄山) 기슭에서 발원한다. 곡징시의 수자원 총량은 169.6억m³로, 그중 지표수 자원량은 133.9억m³, 지하수 자원량은 35.8억m³에 이르며, 이는 성 전체의 6%를 차지한다. 1인당 수자원량은 2070m³이다. 곡징시의 수력 자원 이론 매장량은 406.3만 kW로, 이는 성 전체의 4.2%를 차지하며, 개발 가능량은 300.3만 kW로, 성 전체의 3.6%를 차지한다.

취징시에는 총 780개의 저수지가 건설되어 있으며, 그중 대형 및 중형 저수지는 33개(대형 4개, 중형 29개), 소형 저수지는 747개(소형Ⅰ 126개, 소형Ⅱ 621개), 저수지와 둑은 2056개로, 총 저수 용량은 24.6억m³에 달한다. 수리공학 연간 급수량은 18.7억m³이다.

취징시는 48종의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0종의 광물이 확인되었고, 256곳에서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개발 가치가 높은 광물은 30여 종으로, 석탄, 인광석, 중정석, 연·아연 광석, 황철석, 구리, 안티모니, 주석, 은, 금, 대리석, 형석, 망간광, 시멘트용 석회암, 천연가스 등이 분포한다. 현재까지 석탄, 인광석, 연, 아연, 안티모니, 철, 망간, 규석, 중정석, 석회석, 내화재료, 지열수, 광천수 등 36종이 개발되었다.

취징시의 식물 자원은 주로 아열대 식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인 식생으로는 상록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이 있으며, 식생 조성은 복잡하다. 소나무과, 삼나무과, 편백나무과, 차나무과, 너도밤나무과, 대극과 등 다양한 식물이 자생한다. 그러나 역사적 요인과 빈번한 인위적 활동으로 인해 원생 식생은 거의 파괴되었으며, 그 자리를 천연 이차 식생과 인공 식생이 대신하고 있다.

취징시에는 종자식물 3955종, 480개 변종, 48개 아종, 53개 변형종이 있으며, 이는 199과 1168속에 속한다. 이는 윈난성 전체의 약 1/3에 해당한다. 약용 식물은 400여 종, 식용 식물은 178종, 공업용 식물은 236종, 화훼 및 관상 식물 자원은 285종이 있다. 희귀 및 멸종위기 보호 식물로는 나무고사리, 야생 차나무, 목련, 은행나무, 주목 등 40종이 있으며, 이 중 국가급 보호 식물은 31종, 성급 보호 식물은 9종이다. 주요 교목으로는 윈난 소나무, 화산 소나무, 기름 소나무, 삼나무, 황삼나무, 떡갈나무류 등이 있으며, 주요 경제림으로는 배, 복숭아, 살구, 자두, 사과, 밤, 호두 등이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관목으로는 불수과(火把果), 동백열매, 고릅(苦刺), 양매(杨梅), 마상(木桑), 소엽 계족 황련(小叶鸡脚黄连) 등이 있다. 주요 초본 식물로는 백건간(白健杆), 야고초(野古草), 금모(金茅), 오공초(蜈蚣草), 간초(菅草) 등이 있다. 또한, 야생 버섯 종류도 다양하며, 주요 종류로는 닭송이, 소간균, 건바균, 송이 등이 있다.

취징시의 동물 자원은 척추동물 298종으로, 이는 윈난성 전체의 20%를 차지하며, 조류, 소형 포유류, 어류가 특히 많다. 국가급 및 성급 희귀 보호 동물로는 큰삵, 긴꼬리원숭이, 수달, 금고양이, 반링 등 30여 종이 있으며, 이 중 어류 3종, 조류 11종, 양서류 1종, 포유류 15종이 포함된다. 국가급 보호 동물로는 조류 8종, 포유류 11종으로 총 19종, 성급 보호 동물로는 어류 3종, 조류 3종, 양서류 1종, 포유류 4종으로 총 11종이 있다.

역사[편집]

고대 현지 토착민족의 국가였던 전국(滇国)의 영토였던 곳으로, 진나라가 이 지역을 중국 영토로 편입시킨다.

한나라 무제 시기 이 지역에 군현제를 도입하여 익주군(益州郡) 산하 미현(味县)을 세웠으며, 촉한 대 익주군은 건녕군(建宁郡)으로 변경된다. 서진은 이 곳에 영주(宁州)를 설치하는데, 이 영주의 중심지도 현 취징시인 미현이었다.

이후 당나라 대에 영주는 낭주(郎州)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대리국 시절에는 취징시에 석성군(石城郡)이 존재하였다. 명나라 대에는 곡정군민부(曲靖军民府)를 설치하여 통치하였고 중화민국 시절에는 취징현(曲靖县)이 이 지역에 설치되었다.

1949년에 이 곳은 취징전구(曲靖专区)가 설치되었으며, 1970년 취징지구(曲靖地区)를 거쳐서 1997년에 지급시로 변경된다.

산업[편집]

취징시는 각종 상점·염직업 등이 활발하며, 부근 농촌에서는 쌀·콩·밀·옥수수·감자·유채 등을 생산한다. 공업으로는 석탄·강철·전력·담배·화학 등이 발달하였으며, 톈파 탄전, 란젠 자동차 공장, 취징 담배공장 등의 기업이 있다. 포목·성냥 등의 공산품도 생산한다. 천혜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위치로 인해 관광, 농업,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잠재력을 가진 도시이다.

교통[편집]

쿤밍에서 쿤잔(昆霑) 철도가 지나며, 구이저우성로 들어가는 요지이다. 구이쿤(貴昆) 철도, 난쿤(南昆) 철도, 장쿤(江昆) 철도가 통하고, 쿤밍~취징 고속도로가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추슝 이족 자치주〉, 《위키백과》
  2. 추슝 이족 자치주〉, 《나무위키》
  3. 중국행정구획총람: 취징시〉, 《네이버 지식백과》
  4. 두산백과: 취징〉, 《네이버 지식백과》
  5. 曲靖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취징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