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메콩강 삼각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이 보기)
잔글 (지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6번째 줄: 46번째 줄:
 
{{지도|메콩강 삼각주}}
 
{{지도|메콩강 삼각주}}
 
{{다단2
 
{{다단2
|{{베트남 행정 지도}}
+
|{{메콩강 국가 지도}}
|{{타이만 국가 지도}}
+
|{{동남아시아 강 지도}}
 
}}
 
}}
  

2024년 4월 17일 (수) 23:20 기준 최신판

메콩강 삼각주

메콩강 삼각주(Mekong Delta)는 메콩강 하류삼각주베트남캄보디아 양국에 걸쳐있다.

개요[편집]

  • 메콩강 삼각주는 최대너비 300㎞이다. 우기마다 메콩강이 범람하여 그에 적응한 생활형태를 취하는데, 근세 이후 개발이 활발해져 경작지가 증가하였고 동남 아시아의 곡창지대를 이루게 되었다. 캄보디아의 콤퐁참보다 하류의 평야를 가리킨다. 지형은 전체적으로 매우 평탄하여 삼각주 주부의 해발고도가 1∼1.2m에 불과하며, 자연 성장력이 몹시 왕성하여 해마다 60m씩 바다로 퍼지고 있다. 최대 너비는 카마우곶(串)과 사이공강(江) 하구 사이이며 300km나 된다. 해마다 우기에는 메콩강의 증수로 범람하여, 300만∼400만ha에 걸쳐 침수시킴으로써 일대를 소택 모양으로 만든다. 그러나 삼각주상의 미지형(微地形)에 의하여 담수(淡水)의 깊이에도 변화가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각종 벼가 재배된다. 메콩 삼각주는 통킹 삼각주와는 달리 제방이 제대로 건설되어 있지 않아, 범람과 싸운다기보다 범람에 적응하는 생활형태를 취하고 있다. 삼각주의 개발은 근세 이후에 특히 활발해졌으며, 예로서 코친차이나 쪽의 개발상황을 보면, 1885년에 74만ha였던 경작지가 1930년에는 228만ha로 늘어났다. 이러한 개척은 바작강(江) 서쪽에서 특히 활발하다. 따라서 메콩 삼각주는 조방미작(粗放米作)을 중심으로 한 동남 아시아의 곡창의 하나가 되었다. 삼각주 하부에서는 건기에 유량이 떨어짐에 따라 해수가 침입해 오기 때문에 경작지로 이용할 수 없는 곳이 많다. 이러한 염해(鹽害)를 없애기 위해 메콩강의 종합개발계획에 의한 유수량 조절(流水量調節)이 요망된다.[1]
  • 메콩강 삼각주는 베트남을 구성하는 지방 중 하나이며, 베트남의 남부에 있다. 또한 메콩강 하류의 삼각주를 가리키기도 한다. 메콩 델타라고 가리킨다. 메콩 델타에는 중앙 직할시 껀터와 12개의 성이 속해 있다. 메콩 델타에서 가장 유명한 지역은 호찌민시 근처의 미토와 까이베이다. 그런 다음 중심으로 가면 빈롱, 사덱, 직할시 껀터가 있다.[2]
  • 메콩강 삼각주는 메콩삼각주(Mekong delta)는 메콩강 하류, 베트남 남서부를 이루고 있는 삼각주이다. 메콩강이 발원하는 지역은 중국티베트고원으로 알려져 있다. 라오스태국, 캄보디아를 거쳐 베트남을 최종 기착지로 하는 메콩강의 총 길이는 4천20km, 베트남에서 마지막 2백20km를 흐른다. 메콩삼각주는 한때 크메르 왕국의 땅이었으나 18세기 후반에 베트남에 병합되어 베트남 사람들이 이주하게 되었다. 메콩삼각주 지역의 총면적은 22,000㎢에 달하며, 상류에서 운반된 비옥한 흙으로 쌀농사에 적합해 쌀의 곡창지가 되고 있다. 베트남 전체 인구 중 30% 정도가 메콩삼각주에 살고 있지만 생산되는 쌀은 베트남 전체의 60%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매년 여름철 홍수로 인한 피해를 입기도 한다. 주민은 주로 베트남인이지만, 역사적으로 일찍부터 이곳에 진출한 크메르인(캄보디아인)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메콩강[편집]

  • 메콩강(Mekong)은 세계에서 12번째로 긴 강이며 10번째로 유수량이 많은 강이다. 길이는 약 4,020km이고 유역 면적은 795,000km²이다. 중국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윈난성과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른다. 중국과 미얀마를 제외하고는 메콩강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계절에 따른 유량의 변화가 심하고, 급류와 폭포가 많아 항해에 어려움이 많다. 메콩강은 동남아시아 최대의 강이며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큰 강이다. 처음에는 중국의 칭하이성(靑海省), 티베트 지방의 여러 강이 창두(昌都) 부근에서 합류하여 란창강(瀾滄江)이 되고 윈난성(雲南省)을 남류하여 라오스와의 국경에 도달한다. 베트남으로 들어가 220km를 흐르는데 흐름은 매우 완만하고 폭이 2km나 되며 유역에는 메콩 삼각주의 무논(水畓)지대가 펼쳐진다. 남중국해로 들어가기 전에 메콩강은 다이강(江)을 비롯한 9개의 강으로 갈라지는데 이 때문에 베트남에서는 메콩강을 구룡강(九龍江)이라고도 부른다.
  • 메콩강 하류의 삼각주 지역은 땅이 기름져 세계 최고의 곡창 지대로 알려졌다. 메콩강 유역에는 다리, 비엔티안, 콘깬, 프놈펜, 껀터 등의 도시가 있는데 이 때문에 오염 문제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너무 무리한 개발 때문에 메콩강 중하류에 있는 인도차이나 반도 국가들이 겪는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한다. 2020년 기준으로 현재 중국이 메콩강 상류에 위치한 자국 영토에 총 11개의 을 건설하여, 인도차이나의 여러 국가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삼각주[편집]

  • 삼각주(三角洲, river delta)는 하천에 떠내려온 토사(土砂)와 같은 침전물이 흐름이 느릿느릿해지는 하구에 오랜 시간 동안 고이고 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이다. 대개 삼각주는 그 형태가 삼각형일 때가 많으며 그리스 문자 델타의 대문자(Δ)와 유사하여 델타라고도 한다. 큰 삼각주는 주로 유량이 많은 강이 바다로 흘러 들어갈 때 생기며, 내해·강어귀·호수·저수지 등에 합류할 때나, 드물게는 다른 강과 교차할 때 생기기도 한다. 삼각주는 대개 강 유역의 규모나 형태,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천차만별로 발달하며, 분수령에서 침전물을 공급하는 작용과 강 유역에서 침전물을 흩거나 퍼뜨리는 작용이 균형을 이루어 그 면적과 형태가 유지된다.

까마우곶[편집]

  • 까마우곶(Ca Mau C.)은 베트남 최남단 남중국해에 돌출한 곶이다. 남중국해와 타이만(灣) 사이에 위치하며 비교적 새로운 시대에 융기한 저평한 토지이다. 이 지역을 포함한 메콩강 하류의 삼각주 지대는 원래 크메르인이 거주하였으나 17세기 이래 베트남인이 침략하여 1780년대에는 베트남에 편입되었다. 현재의 안수엔주(州) 일대는 원래 까마우 평원이었던 곳이며 주도(州都) 콴롱시(市)는 까마우시라고 불렀다. 까마우곶 부근은 습지와 들이 펼쳐지며 인구는 희박하다. 연안은 바다가 얕아 까마우곶을 우회하는 기선은 해안에서 12해리 떨어져서 항행한다.

메콩강 삼각주의 지형[편집]

  • 메콩강의 수원지는 사실 불확실하다. 메콩강의 엄청난 크기만큼이나 지류의 범위와 길이를 한정하는 것이 지리학자들에게도 골칫거리이기 때문이다. 중국 과학탐험협회의 자료에서는 그 기원을 해발 5224m인 라사공마 고원인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지역은 북서쪽의 칭하이성 인근의 산악 지대에 기원한다고 한다. 메콩강의 수역 중 절반 정도는 중국에 있으며 티베트에서는 그 상부 지류를 자추(扎曲)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을 지나 유역은 미얀마와 라오스를 200km 정도 흘러간다. 마지막에는 롹강이라고 하는 지류와 만나면서 거대한 메콩강 삼각주 지대를 형성한다. 이 지점으로부터 메콩강의 상부와 하부가 나뉜다고 할 수 있다. 이 지대를 지나면 메콩강이 라오스와 태국의 국경선 분할 역할을 하고 이제 라오스 쪽으로 흘러간다. 라오스 영토 내의 지류는 주위에 고도가 높은 산들이 많아서 침식 하천의 특성을 보여준다. 수심이 깊으면서도 유속이 빠르지만 건기에는 일부 구간에 최저 1m 정도밖에 안 될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지역에서 라오스의 메콩강 토착종인 메콩 대메기가 잡힌다. 한때 왕실에 헌납되면서 잡히기도 했지만 지금은 거의 멸종 상태다.
  • 캄보디아에서는 수도인 프놈펜인근에까지 메콩강이 흘러가며 모든 시민들이 생계를 잇는 젖줄로서 주역할을 하고 있다. 프놈펜 지역을 거쳐 내려간 메콩강은 바싹강을 만나며 베트남과 만나 메콩강 삼각주를 형성한다. 베트남어에서는 메콩강을 'Mê Kông'이라고 전체 지칭하지만 자국을 지나는 구간에 한해서는 'Sông Cửu Long'이라고 부르며 9개의 용이 머무는 강이라는 뜻을 지닌다.

코친차이나[편집]

  • 코친차이나(Cochinchina)는 베트남 남부 메콩강(江) 삼각주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다. 면적은 7만 7000㎢이다. 베트남을 북부·중부·남부로 나누었을 때, 남부 지방을 가리켜 주로 유럽인들이 부른 명칭이다. 인도차이나 반도의 남단, 메콩강 하류 유역을 중심으로 저습지대가 많은 충적평야를 가리킨다. 쌀·고무의 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정치·경제의 중심지는 호치민시(市)이다. 그 밖의 주요 도시는 칸토·미토 등이 있다. 원래는 참인(人)·캄보디아인 등의 혼거(混居)지대로 12세기 이래 캄보디아 영토였으나 참인을 정복하면서 반도의 동쪽 해안을 남하한 베트남인이 17~18세기에 개척하여 그들의 영토가 되었다.
  • 교지(交趾)라는 명칭은 원래 중국인이 식민지 베트남을 가리킨 명칭이었으나 16세기에 이곳을 방문한 포르투갈인이 코친이라고 부르다가 인도의 코친과 구별하기 위해서 차이나코친이라고 하였는데, 그 후 어순이 바뀌어 코친차이나라고 부르게 되었다. 17세기 이래 베트남인이 세력을 확장하여 18세기부터는 전역을 지배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인들 사이에서는 현재의 중부 베트남을 가리키게 되었으나, 19세기에는 남부만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었다. 사이공 조약(1862)으로 프랑스령 직할식민지가 되었고 베트남 북부의 통킹보호령, 중부의 안남보호령과 함께 1949년까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식민지시대에 메콩 삼각주 지역에서 쌀의 플랜테이션, 안남쪽 산지에서 고무의 플랜테이션이 개발되어 농업이 발달하였다. 열대계절풍 기후에 속하며, 벼농사가 활발하다.

메콩강 삼각주의 소실 위기[편집]

  • 메콩강 삼각주 지역은 중국에서 발원하여 동남아 지역으로 5,000km 이상 흐르는 메콩강의 충적토를 통해 약 6,000년 전에 형성된 지역이다. 메콩강의 마지막 250km에 형성된 삼각주 지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삼각주 지역이지만, 수천만 년 전에 형성된 인도의 뱅갈 삼각주와 미국의 미시시피 삼각주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삼각주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베트남 남부의 메콩강 삼각주는 40,000평방킬로미터 이상 넓게 펼쳐져 있으며, 약 1,740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삶의 터전이다. 또한 이 지역은 베트남 쌀 생산량의 50%, 양식어업의 65% 그리고 국내총생산의 17%를 차지하며 베트남 경제에서도 중요한 입지를 갖고 있다.
  • 농부들은 그들의 생계를 강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러한 의존성은 강 상류의 영향에 크게 좌우되는 실정과 충적과 침식의 균형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한 20년 전부터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 1990년 이전의 메콩강은 매년 평균적으로 1억 6천만 톤의 가는 실트(모래보다는 미세하고 점토보다는 거친 퇴적토)와 3천만 톤의 모래와 자갈을 삼각주에 공급했다. 이는 30,000 km에 이르는 물길과 강 어귀에 중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메콩강 삼각주는 충적토 공급의 심각한 감소와 끊임없는 침식을 경험하며 황량해져 갔다. 수세기 동안 삼각주 지역은 매년 축구장 3,000개 크기에 육박하는 16 평방킬로미터만큼 커졌었지만, 현재는 매년 5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삼각주 지역이 줄어들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7월과 9월까지의 우기 기간 동안 충적토 및 모래와 자갈은 강의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매년 약 200km 이동한다. 이는 메콩강의 발원지인 중국에서 베트남까지 총 4,400km를 이동하려면 20 ~ 30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이러한 혼합토는 삼각주의 확장에 큰 역할을 하며 이 중 일부분은 하구퇴적지에 이르러 바다의 파도가 만드는 침식작용에 대한 방파제 역할을 한다.
  • 메콩강 삼각주 황폐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1995년 중국의 만완댐을 시작으로 한 무분별한 수력발전댐 건설이 꼽히고 있다. 현재 메콩강에는 400개 이상의 수력발전댐이 강의 10km 지점마다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무수한 댐들이 충적토, 모래 및 자갈의 이동을 억제시켜 베트남의 삼각주 지역을 큰 곤경에 빠트릴 것으로 예측된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삼각주 지역에서 보고된 침식지역의 수는 10년 전 100여 곳에서 현재 600여 곳으로 크게 늘었다. 현재 베트남의 삼각주 지역은 크기가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년 1cm 이상 가라앉고 있으며, 이는 해수면 상승량보다 3 ~ 8배 빠른 상태이다. 미국 스탠포드대의 라파엘 슈미츠 박사와 그의 동료들이 발표한 2021년 연구에 따르면, 2100년에 이르면 삼각주 지역의 23 ~ 90%가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수치는 퇴적물과 지하수의 양 및 해수면 상승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는 80년 후에는 메콩 삼각주 지역이 6,000년 전처럼 바다로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3]

롱안성[편집]

  • 롱안성(베트남어: Long An / 省隆安)은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 지역에 위치한 지방 자치 행정 구역인 성이다. 성도는 떤안이며, 13개의 현이 있다. 롱안성은 베트남 남부 핵심 경제 구역의 지리적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 교량을 통해 호찌민시와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12개의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성과 연결된다. 롱안은 또한 서쪽으로 캄보디아 프레이벵과와 접경하고, 동쪽에는 동해가 있다.
  • 롱안은 낮은 구릉 해안 지역이며, 어떤 지역은 8월부터 11월까지 지속되는 우기에 침수되기 쉽다. 롱안에는 많은 강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2개의 강에는 밤꺼동강과 밤꺼떠이강이 있다. 이 강은 띠엔강과 연결되어 거대한 강이 된다. 이 지역의 또 다른 중요한 강으로는 사오아이랍강이 있다. 롱안성은 열대 몬순 기후에 위치해 있다. 남동부와 남서부의 두 지역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메콩강 삼각주의 두 특성은 동부로 가져온다. 월 평균 온도 27.2 - 27.7°C. 보통 4월에 가장 높은 평균 온도는 28.9°C이고, 1월은 가장 낮은 평균 온도가 25.2°C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메콩삼각주(Mekong Delta,─三角洲)〉, 《두산백과》
  2. 메콩강 삼각주〉, 《위키백과》
  3. 송민규 기자, 〈메말라가는 '동남아의 젖줄' 메콩강... 베트남 삼각주 지역 소멸할수도〉, 《아세안데일리》, 2023-09-0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메콩강 삼각주 문서는 세계의 강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