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건조주의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참고자료)
잔글 (같이 보기)
134번째 줄: 13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건조]]
 
* [[건조]]
 +
* [[주의]]
 +
* [[주의보]]
 
* [[대기 (기후)|대기]]
 
* [[대기 (기후)|대기]]
 
* [[산불]]  
 
* [[산불]]  
149번째 줄: 151번째 줄:
 
* [[기상주의보]]
 
* [[기상주의보]]
  
{{기후|검토 필요}}
+
{{날씨|검토 필요}}

2024년 3월 22일 (금) 08:28 판

건조주의보(乾燥注意報, Dryness Advisory)는 기상주의보의 하나이다. 실효습도 35% 이하인 상태가 2일 이상 계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에 기상청이 미리 발표한다.

개요

건조주의보는 대기 속의 습도가 몹시 낮아 이로 인한 피해가 예상될 때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특보를 말한다. 즉, 산불 발생의 가능성을 경고하기 위해 발표하는 기상특보이다. 건조함과 빠른 풍속으로 인해 산불 발생의 우려가 있고,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될 때 발표하는 기상특보 중의 하나이다. 또한, 대기 속의 습도가 몹시 낮은 상태가 여러 날 계속되어 화재의 위험 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할 때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특보이다. 습도나 풍속이 발표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예상 일시와 예상 구역을 발표한다. 국가, 지역, 시기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기상청에서는 각종 기상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가 예상될 때 기상특보를 발표하여 국민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자연재해로부터 대비하게 한다. 기상특보는 주의보와 경보로 구분한다. 건조주의보는 실효습도 3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내려지며 건조경보는 실효습도 2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내려진다.[1][2]

한국의 건조주의보

한국의 기상청에서는 실효습도 35% 이하가 2일 이상 계속될 것이 예상될 때 건조주의보를, 실효습도 25% 이하가 2일 이상 계속될 것이 예상될 때 건조경보를 발표한다. 실효습도가 50%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발생 가능성이 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실효습도(effective humidity, 實效濕度)는 4일 전의 습도부터 당일의 습도까지 가중치를 고려하여 계산한 습도로, 목재의 건조함을 의미하며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 He=(1-r)(H0+rH1+r2H2+r3H3+r4H4)
  • He: 실효습도
  • r: 당일 습도가 다음날에 미치는 영향. 현재는 0.7을 사용한다.
  • H0: 당일습도
  • H1: 1일 전의 습도
  • H2: 2일 전의 습도
  • H3: 3일 전의 습도
  • H4: 4일 전의 습도[2]

외국의 건조주의보

산불날씨지수(FWI; Forest fire Weather Index)는 산불발생가능성과, 산불발생시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1976년에 캐나다에서 개발되어,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의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는 지수이다. 습도, 최고온도, 24시간 동안의 강수량, 바람의 최고속력을 바탕으로, 낙엽과 나뭇가지가 함유하는 수분지수, 토양 유기층의 평균수분을 의미하는 지수, 산불발생시 예상하는 산불의 속도지수와 강도지수를 산출한다. 산출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불날씨지수를 20~30개의 등급으로 구분한다. 보통 1일 1회 발표하며, 부분적으로 국가별 특징을 반영하여 운영한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서는 산불의 발생가능성을 산불날씨 전망(Fire Weather Outlook)에서 산불가능성 있음(Elevated), 산불가능성 조심(Critical), 산불가능성 위험(Extreme)의 3단계로 제공하고 있다. 산불날씨 전망은 풍속, 최저습도, 온도, 나무의 건조도, 건조한 모래폭풍의 존재를 고려하여 1일 1회 발표하며, 일부 기준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2]

기상주의보

기상주의보(氣象注意報)는 기상현상으로 피해가 예상될 때 이를 주의시키기 위한 예보를 말한다. 대설주의보, 안개주의보, 폭풍주의보, 해일주의보, 한파주의보, 건조주의보 따위가 있다. 기상주의보는 기상현상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예상될 때 기상청이 발표하는 예보 행위를 말한다. 즉, 기상현상에 의해 재해 발생의 위험이 예상되었을 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기상청이 발표하는 기상 특보 중 하나이다. 기상주의보가 발령되는 기상현상으로는 태풍, 한파, 폭풍, 호우, 안개, 서리, 건조, 해일 등이 있다. 기상법 제13조(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와 동법 시행령에서는 기상현상으로 인하여 중대한 재해가 발생될 것이 예상될 때 이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거나 경고를 하기 위해 '기상 특보'를 하도록 강제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상 특보'는 예상되는 피해의 정도에 따라 '주의보(注意報, weather advisory)'와 '경보(警報, weather warning)'로 구분한다. 이때,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주의보'가 위험이 임박했음을 경고하는 '경보'보다 위험의 정도가 작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 태풍이 다가올 경우, 기상 특보는 보통 태풍주의보태풍경보의 순서로 발표된다. 주의보 또는 경보의 종류에는 강풍, 풍랑, 호우, 대설, 건조, 폭풍해일, 한파, 태풍, 황사, 폭염 등이 있다.[3][4]

기상특보

기상특보(氣象特報)는 각종 기상현상으로 인해 재해 발생의 우려가 있을 때 이를 경고하기 위해 발표하는 기상 예보 또는 보도를 말한다. 특정 기상현상으로 인해 재해가 예상되는 경우 주의보를, 중대한 피해가 발생할 경우로 예상되는 경우 경보를 발령한다. 더 중대한 피해가 예상되면 중대경보를 발령한다. 여기서는 대한민국의 기상특보에 대해 설명한다.

발령 기준

기상법

  • 제2조(정의) :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0. "특보"란 기상현상으로 인하여 중대한 재해가 발생될 것이 예상될 때 이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거나 경고를 하는 예보를 말한다.
  • 제13조(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
① 기상청장은 기상현상에 대하여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예보 및 특보를 하여야 한다.
② 기상청장은 제1항에 따른 예보 및 특보를 하는 경우에는 보도기관 또는 이동통신업체를 이용하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이를 일반인에게 알려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른 예보 및 특보의 종류·내용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강풍·풍랑·호우·대설·건조·폭풍해일·지진해일·한파·태풍·황사·폭염 등에 대한 기상특보를 발표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 경보가 주의보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서 발효된다.[5]

종류 주의보 경보
강풍 육상에서 풍속 14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0m/s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풍속 17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5m/s 이상이 예상될 때

육상에서 풍속 21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26m/s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풍속 24m/s 이상 또는 순간풍속 30m/s 이상이 예상될 때

풍랑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이상이 예상될 때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이상이 예상될 때

호우 3시간 강우량이 60mm 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10mm 이상 예상될 때

3시간 강우량이 90mm 이상 예상되거나

12시간 강우량이 180mm 이상 예상될 때

대설 24시간 신적설이 5cm 이상 예상될 때 24시간 신적설이 20cm 이상 예상될 때.

다만, 산지는 24시간 신적설이 30cm 이상 예상될 때.

건조 실효습도 35% 이하가 2일 이상 계속될 것이 예상될 때 실효습도 25% 이하가 2일 이상 계속될 것이 예상될 때
폭풍해일 천문조, 폭풍, 저기압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여 발효기준값 이상이 예상될 때.

다만, 발효기준값은 지역별로 별도지정

지진해일 한반도 주변해역(21N~45N,110E~145E)등에서 규모 6.0 이상의 해저지진이 발생하여 대한민국 해안가에 해일파고 0.5~1.0m 미만의 지진해일 내습이 예상될 때 한반도 주변해역(21N~45N, 110E~145E)등에서 규모 7.0 이상의 해저지진이 발생하여 대한민국 해안가에 해일파고 1.0m 이상의 지진해일 내습이 예상될 때
한파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태풍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폭풍해일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태풍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강풍(또는 풍랑)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총 강우량이 200mm이상 예상될 때 ③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황사 환경부의 미세먼지 경보로 대체 황사로 인해 1시간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 800㎍/㎥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 일 최고 체감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일 최고 체감기온이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기상예비특보

기상예비특보란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아직 특보가 발령되진 않았지만 특보가 발령될 것으로 예측할 때" 미리 특보발령해 주의를 주는 것으로, 1999년 3월 도입되었다. 기상특보가 있는 대부분의 재해엔 기상예비특보도 같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기상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특보가 그대로 발효되지만 기상 상황이 호전되면 예비특보가 해제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은 발표예정 시간에 맞춰 발효되지만 예상했던 기상상황이 달라질 경우 예비특보가 해제되거나 연장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5]

동영상

각주

  1. 건조주의보〉, 《시사상식사전》
  2. 2.0 2.1 2.2 건조주의보〉, 《두산백과》
  3. 기상주의보〉, 《물백과사전》
  4. 기상주의보〉, 《두산백과》
  5. 5.0 5.1 기상특보〉, 《나무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건조주의보 문서는 날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