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산난시(중국어: 山南市 shān nán shì)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산난시의 면적은 79,287.84km²이며 인구는 354,035명(2021)이다. 북쪽으로는 라싸시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르카쩌시(日喀则市), 동쪽으로는 린즈시(林芝市)와 연결된다. 2023년 4월 기준, 산난시는 1개의 시할구와 10개의 현, 1개의 현급시를 관할하고 있다. 시 정부 소재지는 나둥구(乃东区) 쯔당가도(泽当街道) 나둥로(乃东路) 13번지이다.
티베트자치구의 지급 행정구는 산난시를 제외하면 티베트어를 음차한 명칭을 사용하나 산난시만 중국어 이름을 사용중이다.
자치구의 중앙부에 있어, 티베트의 전통적인 지리 구분에서는 이 지구의 북부에 인접하는 라싸 시를 구성하는 여러 현과 함께 워 지방을 구성해, 그 거주자를 「워파 (dbus pa) 」라고 칭한다.
부탄 및 인도와 접하고 있는데, 산난시의 면적은 공식적으론 79,287.84km²지만 실제로 시 남쪽 지역은 중국과 인도의 분쟁 지역으로 인도가 실효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통치하는 면적은 약 48,000km² 정도에 그친다.[3]
자연환경[편집]
산난시는 경도와 위도에 따른 지역적 차이가 뚜렷하며, 고원 온대 반건조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연간 강수량은 약 200~500mm로, 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된다. 태양 복사가 강하며, 연평균 일조 시간은 2,600~3,300시간이다. 연평균 기온은 5.6℃이며, 최고 기온은 31℃, 최저 기온은 -27℃에 달한다. 겨울에는 강수량이 적고 바람이 많이 불며, 연평균 강풍 일수는 약 70일이다.
산난시의 남부와 서부는 고산 지형이 솟아 있고, 호수와 강이 풍부하다. 주요 하천으로는 야룽강, 양줘융호(羊卓雍湖), 쩌구호 등이 있다. 야룽장포강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 지역을 관통하며 독특한 하곡 지형을 형성한다.
산난시의 지세는 남고북저, 서고동저로, 강디스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 사이의 고원 넓은 계곡 지대에 속한다. 지형은 비교적 평탄한 계곡과 경사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티베트 산지 관목 초원대와 온난 반건조 지역에 속한다. 일반 해발고도는 3,500~4,500m 사이이며, 평균 해발은 3,700m이다. 서남부 평균 해발은 4,500m, 동북부는 3,100m로 절대 최고 해발은 쿠라캉리봉(库拉岗日峰) 7,554m이고, 최저 해발은 수반시리 계곡(苏班西里河谷) 110m이다.
야룽장포강은 산난시의 랑카쯔현(浪卡子县), 궁가현(贡噶县), 짜낭현(扎囊县), 나둥구, 상르현(桑日县), 취쑹현(曲松县), 가차현(加查县) 7개 지역을 통과하며, 경내 흐르는 길이는 424km이다.
산난시에는 41개의 강이 남티베트 고산 협곡 사이를 흐르고 있으며, 강과 하천 면적은 38,000km²에 달한다. 이 지역의 이론적 수력 자원 잠재량은 3,510만kW이며, 현재 1.83만kW가 개발 및 활용되고 있다. 현재 양줘융호 양수 발전소가 정식으로 가동되었고, 워카 1급 발전소도 완공되었다. 이는 라싸와 주변 지역의 전력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 이외에도 태양광과 풍력 자원도 풍부하다.
야룽장 포강 중류 본류 구간에는 총 6개의 계단식 수력발전소가 계획되어 있으며, 총 설비 용량은 336만kW이다. 여기에는 장무 발전소 51만kW, 가차 발전소 36만kW, 다구 발전소 66만kW, 지에쉬 발전소 56만kW, 바위 발전소 80만kW, 랑다 발전소 47만kW가 포함된다.
산난연감 2018에 따르면, 산난시에서 탐사된 광물 자원은 37종, 광산지 108곳이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크롬철, 납-아연, 암금, 구리가 있으며, 석회암, 수정, 대리석, 광천수, 지열 등의 자원은 잠재적 우위를 가진다. 산난시에는 전국 최대 크롬철 광산 기지인 로부사(罗布莎) 크롬철 광산 기지가 있다. 2011년 이후 크롬철, 납-아연, 암금, 구리 다금속의 탐사된 자원량은 각각 431만 톤, 230만 톤, 58톤, 136만 톤에 달한다(단위: 크롬철 광은 광석량, 나머지는 금속량 기준).
산난시에는 42개의 광물 자원 탐사 단위(기업)가 있으며, 94개의 탐광권과 3개의 통합 탐사 지역(짜시캉, 산난시 구리 다금속, 밀라산 통합 탐사 지역)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짜시캉 통합 탐사 지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베릴륨-주석-텅스텐 다금속 광산은 초기 탐사에서 베릴륨 자원 잠재량이 50만 톤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전국 탐사량은 57만 톤).
산난연감 2018에 따르면, 산난시의 식물 자원은 사료용 식물, 꽃식물, 약용 식물, 균류로 나뉜다. 사료용 식물은 국화과, 벼과, 사초과, 콩과, 장미과, 석죽과, 현삼과, 미나리아재비과, 용담과, 앵초과, 백합과가 주를 이루며, 전체 식물 총수의 약 78.2%를 차지한다. 꽃식물로는 디엔짱목란, 디엔모란, 대백철쭉, 솜털철쭉, 고산털잎철쭉, 가시철쭉, 산철쭉, 긴털철쭉, 깃털분홍꽃자작나무, 금노매, 시킴사과나무, 대엽장미, 시캉장미, 실잎털장미, 고경녹모강, 백화녹모강, 장람녹모강, 미려녹모강, 시짱녹모강, 대화녹모강, 네팔녹모강, 소총홍경천 등이 있다.
약용 식물로는 찔레녹모강, 배모두꽃, 서장랑아자, 익수화, 삼목조, 동충하초, 패모, 설련화, 천마, 홍경천, 삼칠, 원지, 파지백, 은백양, 인삼과, 지모, 당귀, 황기, 황백, 당삼, 낭독 등이 있다.
균류로는 동충하초, 복령 및 각종 식용균이 있으며, 희귀 식용균으로는 노루궁뎅이, 솔버섯, 우담바라, 황목이, 흑목이, 송이버섯 등이 있다.
산난시의 산림 자원은 비교적 집중되어 있으며, 주요 산림지는 가차, 뤄자, 룽쯔, 초나 네 지역에 분포하며, 유림지 면적은 130.70만 헥타르(관리 구역 내)이다. 그중 산림 면적은 118.28만 헥타르로, 관목림은 99.69만 헥타르, 교목림은 18.59만 헥타르이다. 인공림 면적은 3.26만 헥타르이며, 기타 산림지는 9.16만 헥타르에 달한다. 산림 축적량은 3,463.29만 입방미터이며, 산림률은 24.79%(관리 구역 내)이다.
산난연감 2018에 따르면, 산난시 내 주요 조류로는 일반 가마우지, 얼룩오리, 청둥오리, 적갈색 오리, 설비둘기, 바위비둘기, 바위메추리, 서장털다리산비둘기, 산비둘기, 까치, 홍부리산까마귀, 큰부리까마귀, 대두꿩, 소두꿩, 얼룩딱다구리, 갈색배딱다구리, 대산작, 고산회색작, 소산작, 갈날개설작 등이 있다. 포유류로는 늑대, 여우, 티베트여우, 붉은여우, 삵, 족제비, 너구리, 표범고양이, 멧돼지, 고산토끼, 바위양, 티베트야생당나귀, 히말라야마못 등이 있다.
기원전 2세기 초, 야룽 일대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점차 부족을 형성하였다. 초기에는 시보야(悉补野) 부족의 족장인 제1대 짠푸(赞普) 녜츠(聂赤)가 야크 부족을 통합하고 동맹 정권을 세웠으며, 자손 세습 짠푸 제도를 확립하였다.
중화민국 1912년, 티베트 지방 정부는 쯔당에 로카지챠오 캄부(洛喀基巧堪布, 즉 산난 총관)를 설치하였다. 1956년 8월, 산난은 강쯔(江孜) 관할에서 분리되어 산난지챠오(山南基巧) 사무소가 설립되었다.
2016년 2월, 산난 지구(山南地區)에서 산난시로 승격되었다.
2023년, 산난시의 지역 총생산(GDP)은 273.01억 위안에 달했으며, 1차, 2차, 3차 산업 비율은 각각 5.6:47.9:46.5로 조정되었다. 농업과 목축업에서는 청보리 재배, 티베트 향돈(藏香猪) 및 야크 사육 등 고원 특화 산업이 발달했으며, 생산된 농산물은 품질이 우수하고 가공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였다.
라싸궁가 공항이 시 서북쪽의 궁가현(贡嘎县)에 위치해 있다. 현재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행 국제선이 운용되는 국제공항이기도 하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동아시아 국가
|
- 동아시아 도시
|
- 동아시아 지리
|
- 동아시아 바다
|
- 동아시아 섬
|
- 동아시아 강
|
- 동아시아 주변 지역
|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산난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날씨,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아시아 도시, 유럽 도시, 북아메리카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 행정구역, 북한 행정구역, 중국 행정구역 □■⊕, 일본 행정구역, 인도네시아 행정구역, 동남아시아 행정구역, 아시아 행정구역, 유럽 행정구역, 러시아 행정구역, 북아메리카 행정구역, 남아메리카 행정구역, 아프리카 행정구역, 세계 행정구역, 한국 지역, 아시아 지역, 유럽 지역, 북아메리카 지역, 남아메리카 지역, 아프리카 지역, 세계 지역
|
|
베이징시
|
다싱구 • 둥청구 • 먼터우거우구 • 미윈구 • 순이구 • 스징산구 • 시청구(서청구) • 옌칭구 • 차오양구 • 창핑구 • 퉁저우구 • 팡산구 • 펑타이구 • 핑구구 • 하이뎬구 • 화이러우구
|
|
톈진시
|
난카이구 • 닝허구 • 둥리구 • 바오디구 • 베이천구 • 빈하이신구 • 시칭구 • 우칭구 • 지저우구 • 진난구 • 징하이구 • 허둥구 • 허베이구 • 허시구 • 허핑구 • 훙차오구
|
|
허베이성
|
딩저우시 • 랑팡시 • 바오딩시 • 스자좡시 • 신지시 • 싱타이시 • 장자커우시 • 창저우시 • 청더시 • 친황다오시 • 탕산시 • 한단시 • 형수이시
|
|
산시성 (산서성)
|
다퉁시 • 뤼량시 • 린펀시 • 쉬저우시 • 신저우시 • 양취안시 • 윈청시 • 진중시 • 진청시 • 창즈시 • 타이위안시
|
|
네이멍구자치구
|
바옌나오얼시 • 바오터우시 • 시린궈러맹 • 싱안맹 • 아라산맹 • 어얼둬쓰시(오르도스시) • 우란차부시 • 우하이시 • 츠펑시 • 퉁랴오시 • 후룬베이얼시 • 후허하오터시
|
|
상하이시
|
민항구 • 바오산구 • 쉬후이구 • 쑹장구 • 양푸구 • 자딩구 • 자베이구 • 진산구 • 징안구 • 창닝구 • 충밍구 • 칭푸구 • 펑셴구 • 푸둥신구 • 푸퉈구 • 황푸구 • 훙커우구
|
|
산둥성
|
더저우시 • 둥잉시 • 라오청시 • 르자오시 • 린이시 • 빈저우시 • 옌타이시 • 웨이팡시 • 웨이하이시 • 지난시 • 지닝시 • 짜오장시 • 쯔보시 • 칭다오시 • 타이안시 • 허쩌시
|
|
장쑤성
|
난징시 • 난통시 • 롄윈강시 • 쉬저우시 • 쑤저우시 (장쑤성) • 쑤첸시 • 양저우시 • 옌청시 • 우시시 • 전장시 • 창저우시 • 타이저우시 • 화이안시
|
|
저장성
|
닝보시 • 리수이시 • 사오싱시 • 원저우시 • 자싱시 • 저우산시 • 진화시 • 취저우시 • 타이저우시 • 항저우시 • 후저우시
|
|
푸젠성
|
난핑시 • 닝더시 • 룽옌시 • 샤먼시 • 싼밍시 • 장저우시 • 취안저우시 • 푸저우시 • 푸톈시
|
|
안후이성
|
루안시 • 마안산시 • 벙부시 • 보저우시 • 쉬안청시 • 쑤저우시 (안후이성) • 안칭시 • 우후시 • 추저우시 • 츠저우시 • 퉁링시 • 푸양시 • 허페이시 • 화이난시 • 화이베이시 • 황산시
|
|
장시성
|
간저우시 • 난창시 • 상라오시 • 신위시 • 이춘시 • 잉탄시 • 주장시 • 지안시 • 징더전시 • 푸저우시 • 핑샹시
|
|
허난성
|
난양시 • 뤄양시 • 뤄허시 • 상추시 • 쉬창시 • 신샹시 • 신양시 • 싼먼샤시 • 안양시 • 자오쭤시 • 저우커우시 • 정저우시 • 주마뎬시 • 지위안시 • 카이펑시 • 푸양시 • 핑딩산시 • 허비시
|
|
후베이성
|
샤오간시 • 샹양시 • 선눙자 • 셴닝시 • 셴타오시 • 스옌시 • 쑤이저우시 • 어저우시 • 언스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우한시 • 이창시 • 징먼시 • 징저우시 • 첸장시 • 톈먼시 • 황강시 • 황스시
|
|
후난성
|
뤄디시 • 사오양시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 샹탄시 • 웨양시 • 융저우시 • 이양시 • 장자제시 • 주저우시 • 창더시 • 창사시 • 천저우시 • 헝양시 • 화이화시
|
|
광둥성
|
광저우시 • 둥관시(동관시) • 마오밍시 • 메이저우시 • 사오관시 • 산웨이시 • 산터우시 • 선전시 • 양장시 • 윈푸시 • 자오칭시 • 잔장시 • 장먼시 • 제양시 • 주하이시 • 중산시 • 차오저우시 • 칭위안시 • 포산시 • 허위안시 • 후이저우시
|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강시 • 구이린시 • 난닝시 • 라이빈시 • 류저우시 • 바이써시 • 베이하이시 • 우저우시 • 위린시 (광시좡족자치구) • 충쭤시 • 친저우시 • 팡청강시 • 허저우시 • 허츠시
|
|
하이난성
|
단저우시 • 둥팡시 • 딩안현 • 러둥 리족 자치현 • 린가오현 • 링수이 리족 자치현 • 바오팅 리족 먀오족 자치현 • 바이사 리족 자치현 • 싼사시 • 싼야시 • 완닝시 • 우즈산시 • 원창시 • 창장 리족 자치현 • 청마이현 • 충중 리족 먀오족 자치현 • 충하이시 • 툰창현 • 하이커우시
|
|
홍콩
|
가우룽싱구 • 군통구 • 남구 • 다이보구 • 동구 • 레이도구 • 박구 • 사이궁구 • 사틴구 • 삼서이보구 • 야우짐웡구 • 완자이구 • 웡다이신구 • 윈롱구 • 중사이구 • 췬완구 • 콰이칭구 • 튄문구
|
|
마카오
|
대당구 • 성로렌수당구 • 성안토니우당구 • 왕더당구 • 코타이 • 콜로아느섬 • 타이파섬 • 화지마당구
|
|
랴오닝성
|
다롄시 • 단둥시 • 랴오양시 • 번시시 • 선양시 • 안산시 • 잉커우시 • 진저우시 • 차오양시 • 톄링시 • 판진시 • 푸순시 • 푸신시 • 후루다오시
|
|
지린성
|
라오위안시 • 바이산시 • 바이청시 • 쑹위안시 • 쓰핑시 • 옌볜조선족자치주 • 지린시 • 창춘시 • 퉁화시
|
|
헤이룽장성
|
다싱안링지구 • 다칭시 • 무단장시 • 솽야산시 • 쑤이화시 • 이춘시 • 자무쓰시 • 지시시 • 치치하얼시 • 치타이허시 • 하얼빈시 • 허강시 • 헤이허시
|
|
산시성 (섬서성)
|
바오지시 • 상뤄시 • 셴양시 • 시안시 • 안캉시 • 옌안시 • 웨이난시 • 위린시 (산시성) • 퉁촨시 • 한중시
|
|
닝샤후이족자치구
|
구위안시 • 스쭈이산시 • 우중시 • 인촨시 • 중웨이시
|
|
간쑤성
|
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 딩시시 • 란저우시 • 룽난시 • 린샤 후이족 자치주 • 바이인시 • 우웨이시 • 자위관시 • 장예시 • 주취안시 • 진창시 • 칭양시 • 톈수이시 • 핑량시
|
|
칭하이성
|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 시닝시 •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둥시 •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
신장위구르자치구
|
바인골린몽골자치주 • 보얼타라몽골자치주 • 아라얼시 • 아러타이지구 • 아크수지구 • 우루무치시 • 이리카자흐자치주 • 창지후이족자치주 • 카라마이시 • 카슈가르지구 • 키질수키르기스자치주 • 타르바가타이지구 • 투르판시 • 투무수커시 • 하미시 • 호탄지구
|
|
충칭시
|
난안구 • 난촨구 • 다두커우구 • 다쭈구 • 뎬장현 • 량핑구 • 룽창구 • 바난구 • 베이베이구 • 비산구 • 사핑바구 • 슈산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스주 투자족 자치현 • 완저우구 • 우룽구 • 우산현 • 우시현 • 위베이구 • 위중구 • 윈양현 • 유양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융촨구 • 장베이구 • 장진구 • 주룽포구 • 중현 • 창서우구 • 청커우현 • 첸장구 • 충칭시 중심지구 • 치장구 • 카이저우구 • 퉁난구 • 퉁량구 • 펑두현 • 펑수이 먀오족 투자족 자치현 • 펑제현 • 푸링구 • 허촨구
|
|
구이저우성
|
구이양시 • 류판수이시 • 비제시 • 안순시 • 쭌이시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 퉁런시
|
|
쓰촨성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광안시 • 광위안시 • 난충시 • 네이장시 • 다저우시 • 더양시 • 량산 이족 자치주 • 러산시 • 루저우시 • 메이산시 • 몐양시 • 바중시 • 쑤이닝시 •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 야안시 • 이빈시 • 쯔궁시 • 쯔양시 • 청두시 • 판즈화시
|
|
윈난성
|
누장 리수족 자치주 • 다리바 이족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 리장시 • 린창시 • 바오산시 •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 위시시 • 자오퉁시 • 추슝 이족 자치주 • 취징시 • 쿤밍시 • 푸얼시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
티베트자치구
|
나취시 • 라싸시 • 르카쩌시 • 린즈시 • 산난시 • 아리지구 • 창두시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