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즈시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images/thumb/4/47/%EC%A4%91%EA%B5%AD.png/300px-%EC%A4%91%EA%B5%AD.png)
![](/images/thumb/f/ff/%ED%8B%B0%EB%B2%A0%ED%8A%B8%EC%9E%90%EC%B9%98%EA%B5%AC_%EC%9C%84%EC%B9%98.png/300px-%ED%8B%B0%EB%B2%A0%ED%8A%B8%EC%9E%90%EC%B9%98%EA%B5%AC_%EC%9C%84%EC%B9%98.png)
린즈시(중국어: 林芝市 lín zhī shì)는 중국 티베트자치구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린즈시의 면적은 113,964.79km²이며 인구는 238,936명(2020)이다. 서쪽은 라싸시, 남서쪽은 산난시, 남쪽은 인도, 동쪽에서 동북쪽에 걸쳐 창두시, 북쪽은 나취시와 접한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린즈시는 1개의 시할구와 5개 현, 1개의 현급시를 관리하며, 56개의 향(진, 거리)과 504개의 마을을 두고 있다. 한족 비율은 라싸시 다음으로 높은 17% 정도 된다. 티베트어 이름은 닝치(Nyingchi)다. "티베트의 강남"과 "설국의 진주"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린즈시는 중국의 수력 자원 부존 지역으로, 중국 최대의 원시림 지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생물 다양성이 가장 뛰어난 지역 중 하나로 평가된다. 수력 에너지 이론적 잠재력은 1억 4,300만 킬로와트에 달하며, 산림 면적 비율은 47.6%에 달한다. 린즈시는 국제 생태 관광 구역, 전역 관광 시범 구역, 중요한 세계 관광 목적지로서, 고유한 공부 문화와 다양한 민속을 자랑한다. 또한, 야루짱부 대협곡, 남가바바봉, 바송촤 등 여러 자연 경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태조 고성, 천 년 고성 등 역사적인 유적지와 예공 장군의 건물, 보미 홍루 등의 빨간색 유적지도 있다. [3]
자연환경[편집]
린즈시 북부는 니안칭탕구라 산맥, 남부는 히말라야 산맥의 동쪽 끝, 북서부는 강디스 산맥의 여맥, 동부는 헝두안 산맥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산맥은 대부분 동서 방향과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해발 4,800미터 이상 지역은 현대적인 빙설 지형이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해발 3,800–4,800미터 지역은 동결토와 얼음 경계 지형이 우세하며, 3,800미터 이하 지역은 수로 침식과 퇴적 지형이 주를 이룬다. 고해발과 깊은 침식으로 인한 상대적인 고도 차이가 뚜렷하여, 수직적인 고도 구역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 방향에서도 서로 다른 고도와 성분의 지형 조합이 나타난다.
린즈시의 지형은 전반적으로 북서쪽에서 동남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고도 차이가 크다. 가장 높은 곳은 히말라야 산맥의 남가바바봉으로, 해발 7,782미터이다. 가장 낮은 곳은 야루짱부강 하류의 모터현 바시카로, 해발 155미터로 상대 고도 차이는 7,627미터에 달한다. 히말라야 산맥과 니안칭탕구라 산맥은 동서로 120–300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을 기준으로 해발 3,900–6,000미터 구간에 두 개의 고원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대지는 해발 5,000미터, 두 번째 대지는 해발 4,500미터로,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으며, 두 대지는 과도적 관계를 이루며 4기 이전에 형성되었다.
린즈시 전역은 전형적인 고산 협곡과 산지 강곡 지형을 가지며, 산맥 사이에 넓고 좁은 강의 계곡이 있다. 가장 큰 계곡은 히말라야 산맥과 강디스 산맥 사이에 있는 야루짱부강 계곡과 그 지류인 니양강, 파룽짱부, 차위곡 계곡이다. 링지시 남부는 인도양에 근접하여 해양성 계절풍 기후를 띠며, 전반적으로 기후 차이가 크지 않고, 수열 조건이 좋다. 히말라야 산맥은 벵골만과 인도양에서 오는 따뜻하고 습한 기류를 차단한다. 남북 사면의 기후대는 수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남쪽 사면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대, 아열대, 온대, 냉온대, 한대, 차가운 기후대 등이 차례로 나타난다. 반면 북쪽 사면은 고원 내부에 위치해 있어 습기가 적고, 이에 따른 수직 기후대는 비교적 단순하다. 온대는 다시 따뜻한, 온화한, 서늘한 세 가지 아대가 나뉘며, 습윤, 반습윤, 반건조 기후 구역이 형성된다. 열량과 습도 기준으로 기후를 구분하면, 링지시는 고산 열대, 아열대 습윤 협곡 농림 기후대, 고원 온대 습윤, 반습윤, 반건조 강곡 분지 농림 기후대, 동부 온대 및 아한대 습윤 고산 숲 기후대, 중부 아한대, 한대 반습윤, 습윤 고산 초원 사막 기후대 등 다섯 개의 주요 기후 구역과 네 개의 기후 아구역을 갖는다. 링지시의 북부 고산은 북쪽의 차가운 기류가 남하하는 것을 막는 거대한 장벽을 형성하며, 남부는 개방되어 특히 야루짱부강 협곡은 벵골만의 따뜻하고 습한 기류가 북쪽으로 올라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고원 전체의 "열섬 효과"가 영향을 미쳐, 이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는 열량이 풍부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 특성을 보인다.
린즈시 지역 내의 기후는 매우 다양하며, 고원 온대 반습윤 계절풍 기후를 주로 이루고 있다. 열대, 아열대, 온대, 한대 기후대가 공존하며, 수직 기후대가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다. 몇몇 산들은 밑에서부터 위로 열대에서 고산 한대까지 북반구의 모든 기후대가 나타난다. 이 지역의 협곡은 고도 차이가 크고, 지형이 복잡하여 위도에 따른 기후대가 심하게 파괴된다. 낮은 계곡은 강을 따라 북위 29도 근처까지 열대 기후가 확장되며, 이는 북반구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열대 지역으로, 특히 모터, 베이뻥, 디동 등 지역은 티베트에서 가장 따뜻하고 습한 지역이다. 주요 기후대와 기후 유형은 낮은 산 열대 북쪽 습윤 기후대, 산지 아열대 반습윤 기후대, 산지 온대 반습윤 기후대, 산지 한냉 기후대, 고산 한랭 기후대, 고산 냉동 풍화대, 고산 빙설대 등이 있다.
린즈시의 전체적인 기후 특성은 일조량이 적고, 여름 없는 긴 겨울과 강수의 시공간 분포가 고르지 않다는 특징을 지닌다.
린즈시(林芝市)는 식생 유형이 복잡하며, 열대, 아열대, 온대부터 고산 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식생은 수평적으로 분포하는 동시에, 수직적으로도 명확한 구분이 있다. 주요 식생 유형으로는 고산 희박한 덮개식물, 고산 및 아고산 초원과 관목초원 토양 식생, 구름나무와 냉소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어두운 침엽수림, 고산소나무와 윈난소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밝은 침엽수림, 티베트 측백수림과 대형 측백수림, 고산참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경엽 상록수림, 양나무와 자작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낙엽활엽수림, 상록활엽수림과 상록낙엽수림이 혼합된 아열대 활엽수림, 열대 산지 상록우림과 열대 계절우림, 강곡초원, 관목과 관목초원 등이 있다.
린즈시의 주요 하천은 야루짱부강과 누강 두 대수계에 속하며, 그 외에도 지타곡, 차위곡, 단롱곡 등의 하천이 있다. 하천과 작은 개천은 지형에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경사가 지며, 물은 남쪽으로 흘러 경계를 넘는다.
린즈시에서 확인된 포유류 동물은 7목, 20과, 60속, 94종에 달하며, 조류는 18목, 47과, 174속, 315종이 있다. 파충류는 43종, 양서류는 32종, 어류는 4과 15속 24종이 있으며, 곤충은 2,322종에 이른다. 다양한 야생 동물들은 각각의 생태적 습성에 따라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고 있다.
린즈시에서 확인된 고등 식물은 261과, 1,327속, 4,817종(변종 포함)이다. 그 중 이끼류 식물은 52과, 181속, 480종, 양치식물은 40과, 107속, 429종, 나자식물은 7과, 15속, 36종, 피자식물은 162과, 1,024속, 3,872종이 있다. 또한 대형 균류 식물은 43과, 169속, 686종이 있으며, 이 중 식용균 240종, 약용균 180종, 독균 80종, 목부腐균 70종, 외생균근균 180종이 포함된다.
국가 1급 보호식물로는 마오루오(杪椤, 마오루오과), 대형측백수(巨柏, 측백과), 윈난홍두삼(云南红豆杉, 홍두삼과), 수이화삼(穗花杉, 홍두삼과), 장루이목련(长蕊木兰, 목련과) 등이 있으며, 국가 2급 보호식물로는 하이난조유(海南粗榧, 삼첨삼과), 란창황삼(澜沧黄杉, 소나무과), 유마천따云杉(油麦吊云杉, 소나무과), 수청수(水青树, 목련과), 성엽초(星叶草, 모란과), 윈난황련(云南黄莲, 모란과), 보로쌍(婆罗双, 용뇌향과), 사수목(四数木, 사수목과), 티베트연령초(西藏延龄草, 백합과), 심엽병을소초(心叶瓶尔小草, 병을소초과), 병을소초(瓶尔小草, 병을소초과), 난목(楠木, 상록수과), 상목(樟树, 상록수과), 송구목(松口蘑, 입모과), 충초(虫草, 맥각균과), 홍방(红棒, 오랑과), 장미구자목(长喙厚朴, 목련과), 천과감남(千果榄仁, 사용자과) 등이 있다.
린즈시는 티베트자치구에서 중요한 약재 생산지 중 하나로, 약용 식물은 1,000여 종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약용 식물로는 배母, 대황, 설련화, 설산일지호, 황기, 당삼, 소구, 당귀, 천마, 단피, 방풍, 시호, 동충하초 등이 있다. 연간 평균 수거량은 약 2만 킬로그램 정도이다.
린즈시는 또한 티베트 자치구에서 중요한 야생 꽃 생산지로, 대표적인 꽃으로는 진달래, 해동배, 복숭아, 목련, 수선화, 장미, 금룡매, 백합, 정향, 보춘화, 용담, 녹융호, 난초, 경천, 알수선, 석류, 목화 등이 있다. 링지시는 또한 티베트 자치구에서 중요한 식용 균류 생산지로, 대표적인 식용 균류에는 원숭이머리버섯, 목이버섯, 금이어버섯, 송이버섯, 우간버섯, 육치버섯, 홍균 등이 있다.
린즈시는 적합성 분류에 따라 농업, 축산업 이용에 적합한 토지와 농업, 축산업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토지로 나눌 수 있다. 토지 평가에서의 적합성 분류에 따르면, 농업, 임업, 축산업에 적합한 토지, 임시 농림축산용지의 네 가지 토지 유형이 있으며, 각 토지 유형은 적합성 정도와 주요 제한 요소에 따라 구분된다. 농업용지로는 4개 등급 11종, 축산업용지는 5개 등급 3종, 임업용지는 5개 유형으로 나뉘어진다. 농업, 임업, 축산업에 적합한 각 토지의 공간 분포는 차이가 크지만, 수평적 및 수직적 변화 규칙이 명확하다.
린즈시의 농업용지는 전 지역에서 강곡 지대의 각 고도 및 충적 팬, 충적 세, 충적 고원과 양측 산비탈의 기부에 분포하며, 해발 150-4,200미터 사이로 대다수는 3,000미터 이하이다. 임업용지는 강곡 바닥에서부터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상한은 4,200미터 정도이고, 최고 4,600미터에 달한다. 축산용지는 임선 위와 임선 이하 두 지역에 분포하며, 임선 이하 지역은 농업용지와 혼합된 사계절 초원이고, 임선 위의 축산용지는 5,000미터 근처까지 분포하고, 최고 5,800미터에 달한다.
역사[편집]
린즈시(林芝市)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은 공부(工布) 제무모(第穆摩) 바위에 새겨진 비문에서 확인된다. 이 비문은 린즈시 광구옹중증(广久雍仲增) 마을 근처에 위치하며, 남서쪽을 향하고 있어 글씨가 여전히 선명하게 남아 있다. 이후 여러 해 동안 공부 지역은 공부 왕의 지배를 받았다.
사자(萨迦) 시대와 파주(帕竹) 시대(13-16세기) 동안 린즈시 지역은 티베트 불교 카르마카지파(噶玛噶举派)의 세력 범위가 되었다. 17세기에는 간단포장(甘丹颇章) 정권이 설립되었고, 링지 지역은 아패(阿沛), 강중(江中), 가라(甲拉) 등 여러 지방 지도자들에게 분할되었다. 이후에는 제라(则拉), 궈무(觉木), 설카(雪卡), 강다(江达) 등 종파로 나누어졌다. 보미(波密) 지역은 오랫동안 토호 가랑더바(噶朗德巴)의 지배를 받으며 분열 상태에 있었다.
중화민국 20년(1931년), 티베트 지방 정부는 린즈시 보미 지역을 보퇴(波堆)와 보미(波密) 두 종으로 나누었고, 묘퇴(墨脱) 지역은 묘퇴 종으로 변경되었다.
1951년 5월, 티베트는 평화적으로 해방되었다.
1959년, 중앙인민정부는 티베트 반란을 진압한 후 티베트에 대한 전면적이고 직접적인 통치를 시행하며 민주개혁을 시작했다.
1960년 1월, 타공 전담 공서가 설립되었고, 2월에는 린즈시 특별구가 개편되어 린즈현으로 관리되었다.
1963년 10월, 린즈 특별구는 폐지되었고, 보미 현은 창두 지역으로 이관되었으며, 린즈, 공부강다, 미린, 묘퇴 4개 현은 라싸시의 관할 하에 놓였다.
1986년 2월 1일, 린즈 지역 행정 공서가 정식으로 재설립되었으며, 린즈현, 미린현, 공부강다현, 묘퇴현, 보미현, 차위현, 랑현 등 7개 현과 55개의 향진, 614개의 행정 마을을 관할했다.
2015년 3월, 국무원은 링지 지역과 린즈현을 폐지하고, 린즈시를 설립하는 것을 승인하였다.
산업[편집]
린즈시는 티베트자치구에서 라싸시에 이은 1인당 GDP 2위에 자리매김 중인 도시인데, 이는 농업이 주류인 티베트 내부에서 몇 안 되게 공업이 경제의 주류를 차지하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교통[편집]
철도[편집]
2021년 6월 25일 수도 라싸시(拉萨)에서 린즈(林芝)를 잇는 라린철도(拉林铁路)[1]가 완공되면서 티베트자치구 최초로 푸싱호(复兴号) 고속열차가 투입된다.
현재는 도로 교통으로 10시간 소요되는 거리가 열차 개통 이후 3시간 30분대로 단축되었다.
도로[편집]
티베트자치구 라싸시 다쯔구를 잇는 G4218 고속공로(라린고속공로/拉林高速公路)가 연결되어있다. 린즈미린공항을 잇는 린즈공항고속공로(S4)가 있다. 국도교통으로는 국도 219, 국도 318이 지나간다.
항공[편집]
공항은 2006년 9월 1일에 개항한 린즈 미린 공항(ཉིང་ཁྲི་སྨན་གླིང་གྲུ་ཐང་;林芝米林机场)이 있다.
근데 공항이 계곡 사이에 콕 박혀 있는 모양이라, 이착륙이 엄청 힘들다. 더군다나 안개가 자주 껴 운항적정일이 100일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