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로컬모터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스트라티(Strati))
잔글 (스트라티(Strati))
33번째 줄: 33번째 줄:
  
 
===스트라티(Strati)===
 
===스트라티(Strati)===
스트라티는 시카고 매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에서 개최된 2014년 국제생산제조기술전시회(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에서 현장 관람자들한테 제조과정을 보여준 세계 최초의 3D 프린터 2인승 전기자동차이다. 신신내티 인코퍼레이티드(Cincinnati Incorporated) 그리고 오크릿지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
스트라티는 시카고 매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에서 개최된 2014년 국제생산제조기술전시회(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에서 현장 관람자들한테 제조과정을 보여준 세계 최초의 3D 프린터 2인승 전기자동차이다. 신신내티 인코퍼레이티드(Cincinnati Incorporated) 그리고 오크릿지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디자인은 사내 직원 미셸 아노에(Michele Anoè)가 추진하였다.
  
전반 프린팅 과정은 44시간 걸렸으며 탄소 섬유 13%~20%와 ABS수지 80%~87%를 혼합하여 바디, 섀시, 대시보드, 콘솔, 후드 등 차체의 주요부분을 제작하였다. 그 뒤에 표면처리를 진행하는 절삭가공에 진입하였고 마지막에 외부에서 구입한 부품들을 조립하였다. 절삭가공에 하루, 조립에 이틀이 걸려 모두 5일에 제반 작업을 완료하고 시범주행까지 추진하였다. 짧은 시간에 제작한 차이지만 시속 60~96km속력을 낼수 있다고 한다.
+
전반 프린팅 과정은 44시간 걸렸으며 탄소 섬유 13%~20%와 ABS수지 80%~87%를 혼합하여 바디, 섀시, 대시보드, 콘솔, 후드 등 차체의 주요부분을 제작하였다. 그 뒤에 표면처리를 진행하는 절삭가공을 추진하였고 마지막 단계에 외부에서 구입한 부품들을 장착하여 조립하였다. 절삭가공에 하루, 조립에 이틀이 걸려 모두 5일에 제반 작업을 완료하고 시범주행까지 추진하였다. 짧은 시간에 제작한 차이지만 시속 60~96km속력을 낼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2만개 정도 들어가는 전통자동차와는 달리 스트라티는 50여개의 부품만으로 차량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개발비를 대폭도로 줄일수 있으며 개발속도를 빨릴수 있다. 물론 원가측면에서도 싸게 할수 있다.<ref>곽노필 기자, 〈[http://www.hani.co.kr/arti/economy/it/656221.html 3D 프린터로 ‘맞춤 전기차’ 뚝딱]〉, 《한겨레》, 2014-09-22</ref><ref>한국타이어, 〈[https://blog.naver.com/happydriving/221397521511 3D 프린터 기술, 자동차를 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1-13</ref>
 
일반적으로 2만개 정도 들어가는 전통자동차와는 달리 스트라티는 50여개의 부품만으로 차량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개발비를 대폭도로 줄일수 있으며 개발속도를 빨릴수 있다. 물론 원가측면에서도 싸게 할수 있다.<ref>곽노필 기자, 〈[http://www.hani.co.kr/arti/economy/it/656221.html 3D 프린터로 ‘맞춤 전기차’ 뚝딱]〉, 《한겨레》, 2014-09-22</ref><ref>한국타이어, 〈[https://blog.naver.com/happydriving/221397521511 3D 프린터 기술, 자동차를 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1-13</ref>

2020년 11월 26일 (목) 16:07 판

로컬모터스(Local Motors)
로컬모터스(Local Motors)

로컬모터스(Local Motors)는 미국의 자동차제조회사이며 여러 초소형공장을 사용하여 오픈 소스 방식으로 디자인을 추진한 소량 다품목 승용차의 제조에 주력한다.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애리조나주 피닉스(Phoenix, Arizona)에 본부를 두고 있다. 회사 CEO는 모회사 LM Industries의 공동창시자인 존 로저스(John B. Rogers)가 맡고 있다.

개요

주요인물

존 로저스(John B. Rogers) 로컬모터스 CEO

존 로저스는 로컬모터스의 CEO이고 로컬모터스의 모회사인 LM Industries의 공동창시자이자 CEO이다.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우드로 윌슨 스쿨(Woodrow Wilson School) 공중과국제관계학(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학사학위와 하버드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하버드경영대학원 베이커 스쿨러(Baker Scholar)졸업생 명예 소지자이다.

프린스턴대학교를 졸업한 뒤 존 로저스는 중국에서 3년간 투자분석요원으로 미국메디칼설비회사에서 근무하였으며 그 뒤에 댈러스(Dallas)에 있는 투자펀드 Ewing & Partners에서 투자분석요원으로 근무하다가 1999년, 26세 나이에 육군장교후보생학교로 군대에 들어갔다. 해병대에서 보병중대장까지 하면서 7년 복무한 뒤 2006년에 제대하고 하버드경영대학원에 진학하였으며 2007년에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과정을 마쳤다. 같은 해에 로컬모터스를 설립하고 CEO를 맡았으며 2015년에 디자인회사 론치포스(Launch Forth)를 설립[1]하고 CEO를 맡았다. 2018년 6월에 로컬모터스와 론치포스의 모회사 LM Industries를 설립[2]하고 CEO를 맡았으며 2019년에 에어버스(Airbus)와 합작하여 모빌리티 스타트업 Neorizon을 설립하였다.[3]

회사연혁

  • 2007년 회사설립/ 2008년 3월 25일 런칭
  • 2009년 첫 번째 개념증명버전 오프로드 레서(off-road racer) 랠리 파이트(Rally Fighter) 런칭
  • 2010년 애리조나주 피닉스로 회사이전/ 첫 번째 초소형공장 런칭
  • 2011년 로컬모터스와 DARPA가 합작하여 개발한 두 번째 협업 모델 XC2V 출시
  • 2014년 세계 처음으로 3D 프린트 제작 모델 스트라티(Strati)출시
  • 2015년 샌프란시스코에 디자인 커뮤니티 플랫폼 론치포스(Launch Forth) 구축[1]
  • 2016년 IBM과 합작하여 세계 처음으로 3D 프린트 방식으로 제작한 자율주행 전기 셔틀 출시
  • 2018년 6월 LMI(LM Industries)설립[2]
  • 2019년 10월 LMI 에어버스(Airbus)와 공동으로 독일의 뮌헨 근처인 Ludwig-Bölkow-Campus에 모빌리티 자율주행(mobility and autonomy) 스타트업 Neorizon 설립[3]

사업소개

제품소개

랠리 파이터(Rally Fighter)

랠리 파이터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온라인 협업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오프 로드 레서(Off-road Racer)이다. 18개월 기간의 개발을 거쳐 2009년에 소개되었다.

스트라티(Strati)

스트라티는 시카고 매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에서 개최된 2014년 국제생산제조기술전시회(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에서 현장 관람자들한테 제조과정을 보여준 세계 최초의 3D 프린터 2인승 전기자동차이다. 신신내티 인코퍼레이티드(Cincinnati Incorporated) 그리고 오크릿지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디자인은 사내 직원 미셸 아노에(Michele Anoè)가 추진하였다.

전반 프린팅 과정은 44시간 걸렸으며 탄소 섬유 13%~20%와 ABS수지 80%~87%를 혼합하여 바디, 섀시, 대시보드, 콘솔, 후드 등 차체의 주요부분을 제작하였다. 그 뒤에 표면처리를 진행하는 절삭가공을 추진하였고 마지막 단계에 외부에서 구입한 부품들을 장착하여 조립하였다. 절삭가공에 하루, 조립에 이틀이 걸려 모두 5일에 제반 작업을 완료하고 시범주행까지 추진하였다. 짧은 시간에 제작한 차이지만 시속 60~96km속력을 낼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2만개 정도 들어가는 전통자동차와는 달리 스트라티는 50여개의 부품만으로 차량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개발비를 대폭도로 줄일수 있으며 개발속도를 빨릴수 있다. 물론 원가측면에서도 싸게 할수 있다.[4][5]

올리(Olli)

올리는 로컬모터스가 IBM의 인공지능 기술 왓슨 웹 오브 클러우드(Watson Web of Clourd)를 적용하여 2016년에 데뷔한 자율주행 셔틀이며[6][7] 에드가 사미엔토(Edgar Sarmiento)가 디자인을 하였다. 올리는 현재 개발중에 있으며 2018년 1월에 플로디다에 있는 ETS(Elite Transportation Services)의 10억 달러 투자와 택사스에 있는 Xcelerate의 2천만 달러 투자를 받았다.

올리는 애리조나의 챈들러(Chandler)에서 제조가 이루어지며 아직까지 시중출시 가격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2020년 1월에 올리는 이탈리아 토리노(Turin)에 있는 유엔기구 국제노동기구 국제연수센터 ITCILO 캠퍼스에 설치되어 단지안에서 직원들과 손님들의 셔틀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8]

랠리 파이터(Rally Fighter) 2009년  
스트라티(Strati) 2014년  
올리(Olli) 2016년  

각주

  1. 1.0 1.1 "(2) Launch Forth: About", LinkedIn
  2. 2.0 2.1 Stephen Edelstein, "Local Motors Founders Launch LM Industries Manufacturing Company", Digital Trends, 2018-06-20
  3. 3.0 3.1 "Airbus and LM Industries create mobility startup Neorizon; digital manufacturing", Green Car Congress, 2019-10-12
  4. 곽노필 기자, 〈3D 프린터로 ‘맞춤 전기차’ 뚝딱〉, 《한겨레》, 2014-09-22
  5. 한국타이어, 〈3D 프린터 기술, 자동차를 품다〉, 《네이버 블로그》, 2018-11-13
  6. 로드테스트, 〈장애인을 위한 자율주행 자동차, IBM 올리〉, 《네이버 포스트》, 2017-08-07
  7. Dina, 〈세계 최초의 3D 프린팅 자율 주행 전기버스"올리"〉, 《네이버블로그》, 2020-10-18
  8. "Local Motors", Wikipedia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의견.png 이 로컬모터스 문서는 자동차 회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