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로보틱스코리아(Bear Robotics Korea)
㈜베어로보틱스코리아(Bear Robotics Korea)
㈜베어로보틱스코리아(Bear Robotics Korea)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서빙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의 한국 지사이다. 베어로보틱스와 협업하여 자율주행 서빙로봇인 서비(Servi)를 직접 개발하고 생산한다. 대표는 김준수이고, 본사는 서울 성동구 성수일로 10에 위치한다.
2017년 설립된 베어로보틱스는 한국을 대표하는 서빙로봇 스타트업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본사에는 R&D 인력과 텍사스주 댈러스에는 물류, 배송, 판매, 재무 등 100여 명이 넘는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서울 성동구에 소재한 한국법인인 ㈜베어로보틱스코리아에는 100여 명이 넘는 R&D 및 생산 관력 인력들이 근무하고 있다. 전 세계에 판매하는 모든 로봇 제품을 한국에서 자체 생산시설을 통한 제조보다는 미국 기업들이 주로 활용하는 위탁생산 방식으로 생산한다. 한국 시장은 KT를 통해, 일본은 소프트뱅크로보틱스를 통해 서빙로봇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력 시장인 미국은 본사인 베어로보틱스가 직접 영업을 펼치고 있다.[1]
베어로보틱스는 해외 및 국내 판매 로봇 제품을 전량 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대표가 꼭 한국인이라서는 아니다. 하정우 대표는 생산을 어디서 해야 좋을지 한국, 중국, 미국 3개국을 놓고 비교를 했다. 여러 업체들을 검토하고 마지막 한 업체를 남겨놓고 최종 검토를 했는데 그때만 해도 중국이 아주 유리했다. 왜냐하면 중국은 이미 미국과의 비즈니스 준비가 다 되어있었고, 미국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그것을 제공해주며 대화도 잘 되어 중국으로 마음이 기울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발생했다. 그러다보니 누구도 중국으로 출장을 가고싶지 않아 했고, 한국은 외국에서 보았을 때 중국보다 더 오가기 편한 국가였다. 외국인에게 친절하고, 케이팝이나 K-드라마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상당히 좋게 만들었기 때문에 도움이 되었다. 또 이미 한국에는 ㈜베어로보틱스코리아 직원들이 있었기 때문에 급하면 본인의 업무가 아니라도 현장에 나가 지원이 가능하니 한국에서 생산하자는 의견이 모아지게 되었다. 이렇게 베어로보틱스는 전 상품을 한국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모든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자체 공장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미국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처럼 구미에 있는 한 전자기업을 통해 위탁생산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1]
주요 제품[편집]
서비(Servi)는 베어로보틱스의 첫 번째 양산형 서빙로봇이다. 서비는 100% 자율주행이다. 식당에서 직원이 테이블 번호만 입력하면 서비가 최적의 경로로 주문한 요리를 배달한다. 맵핑을 통해 입력된 식당 구조와 라이다(LiDAR) 센서 및 3D 카메라가 수집한 정보로 장애물을 피해 주행한다. 서비는 식탁에 음식이 내려진 것을 감지하고 스스로 복귀한다. 서비의 가장 큰 강점은 안전성이다. 바닥의 신발, 지갑 등 아주 작은 물체뿐만 아니라 테이블에 걸친 손님 팔꿈치도 자동으로 감지하고 피할 수 있다.[2][3] 한편 서비는 NSF 위생 검증 테스트를 통과하여 안심하고 손님 테이블에 사용할 수 있다. 음식물에 의한 표면 오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균이 번식하기 어려운 특수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단차와 틈이 최소화된 외형 설계를 통해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매장에서 사용중인 일반적인 세정제로 서비의 표면을 닦아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체계적인 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 서비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 사용 여부, 세균과 해충의 번식 가능성, 위생적인 제품 관리를 위한 세척 가능성 등의 검증을 통해 NSF 인증을 획득했다.[4] 서비는 한국, 일본, 미국 등에서 KT, 소프트뱅크로보틱스 등 과 전략적 파트너십 및 직접 영업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한국의 파리크라상, TGIF, 빕스, 온더보더, 서리재를 비롯하여, 일본의 야키니쿠킹, 미국의 칠리스, 데니스 등 국내외 여러 외식 브랜드에서 베어로보틱스의 서비를 이용하고 있다.[5]
서비에 대해 자세히 보기
서비플러스[편집]
서비플러스(Servi Plus)는 베어로보틱스가 화성 탐사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서빙로봇이다. 서비플러스는 기존 서빙로봇과 달리 울퉁불퉁한 타일 바닥이나 요철을 넘어 안정적으로 음료와 음식을 나를 수 있게 설계됐다. 화성 탐사로봇에 사용하는 로커보기 시스템을 서스펜션 설계에 응용한 덕이다. 반찬과 국물요리가 많은 한국 음식에 특화된 제품이다. 서비플러스는 기본 4단 트레이 구조로 한 번에 접시 16개를 운반할 수 있다. 트레이 개수와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다. 한국에 시판되고 있는 서빙로봇 중 최대다.[6] 최대 적재 무게는 40kg다. 여러 테이블을 한꺼번에 서빙할 수 있는 기능도 더했다. 로봇 간 협업도 강화했다. 지능형 멀티 로봇 기능을 추가해 10대 이상의 서빙·방역 로봇을 연동할 수 있다. 베어로보틱스 인공지능 기술로 기존 서비 제품군부터 타 로봇들도 함께 운영 가능하다. 점주들을 위한 서비스도 더했다. 고객들이 로봇을 흥미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3면 커스텀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음식이 손님들에게 전달됐을 때 음식 본연의 색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조명도 채택했다.[7]
서비플러스에 대해 자세히 보기
- ↑ 1.0 1.1 조규남 기자, 〈㈜베어로보틱스〉, 《로봇신문》, 2022-05-12
- ↑ 이보라 객원기자, 〈AI 서빙로봇 ‘서비’로 1000억 규모 투자 유치〉, 《조선일보》, 2022-05-18
- ↑ 송윤섭 기자, 〈베어로보틱스, 서빙로봇 누적 이동거리 82만㎞ 돌파〉, 《전자신문》, 2022-07-02
- ↑ 〈베어로보틱스 ‘서비’, 서비스 로봇 업계 세계 최초 미위생국(NSF) 인증 획득〉, 《베어로보틱스》, 2022-01-04
- ↑ 조상래 기자,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 1,0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플래텀》, 2022-03-15
- ↑ 김성민 특파원, 〈“화성 탐사 로봇 기술 담았다”...실밸 한인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의 도전〉, 《조선일보》, 2022-03-06
- ↑ 신영빈 기자, 〈베어로보틱스, 화상탐사 기술 적용한 서빙로봇 '서비플러스' 출시〉, 《지디넷코리아》, 2023-03-06
참고자료[편집]
- 베어로보틱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kr.bearrobotics.ai/
- 〈베어로보틱스 ‘서비’, 서비스 로봇 업계 세계 최초 미위생국(NSF) 인증 획득〉, 《베어로보틱스》, 2022-01-04
- 김성민 특파원, 〈“화성 탐사 로봇 기술 담았다”...실밸 한인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의 도전〉, 《조선일보》, 2022-03-06
- 신영빈 기자, 〈베어로보틱스, 화상탐사 기술 적용한 서빙로봇 '서비플러스' 출시〉, 《지디넷코리아》, 2023-03-06
- 조상래 기자,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 1,0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플래텀》, 2022-03-15
- 조규남 기자, 〈㈜베어로보틱스〉, 《로봇신문》, 2022-05-12
- 이보라 객원기자, 〈AI 서빙로봇 ‘서비’로 1000억 규모 투자 유치〉, 《조선일보》, 2022-05-18
- 송윤섭 기자, 〈베어로보틱스, 서빙로봇 누적 이동거리 82만㎞ 돌파〉, 《전자신문》, 2022-07-02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images/b/bf/%EA%B2%80%EC%88%98%EC%9A%94%EC%B2%AD.png) 이 ㈜베어로보틱스코리아 문서는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로봇 □■⊕, 인공지능 기업, 인공지능 인물
|
|
인공지능 로봇
|
가사로봇 • 다르파 로봇 챌린지 •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 로봇팔 • 림엑스 트론1 • 마로솔 • 병렬로봇 • 산업로봇 • 생활로봇 • 서비스로봇 • 스카라로봇 • 싱둥 엑스핸드 • 아쿠아노트 • 안내로봇 • 알로하 • 엔비디아 코스모스 • 워브 1.0 • 유니메이트 • 자유도 • 전투로봇 • 제노봇 • 직교좌표형 로봇 • 직렬로봇 • 협동로봇
|
|
휴머노이드
|
HRP-5P • 갤봇 G1 • 고메이트 • 네오 • 뉴라로보틱스 4NE-1 • 디지트 • 로봇에라 스타1 • 림엑스 CL-1 • 링시 X1 • 멘티봇 • 사이버원 • 생추어리 피닉스 • 소피아 • 수레나IV • 스타1 • 스턴트로닉스 로봇 • 스파키1 • 아스나 • 아스트리봇 S1 • 아시모 • 아이언 • 아틀라스 • 애지봇 A2 • 액트로이드 미나미 • 앱트로닉 아폴로 • 야오순위 • 에리카 • 에버 • 엔진 PM01 • 엔진 S2 • 엔진 SA01 • 엔진 SE01 • 올 뉴 아틀라스 • 워커 S1 • 워커 X • 위안정 A1 • 위안정 A2 • 유니트리 G1 • 유니트리 H1 • 지아지아 • 쿠아 • 테슬라 옵티머스 • 페퍼 • 펫맨 • 푸리에 GR-2 • 피규어 01 • 피규어 02 • 휴머노이드 • 휴보
|
|
사족보행 로봇
|
드림워커 • 렉스 • 로봇개 • 림엑스 W1 • 비전60 • 빅독 • 사이버독 • 샌드플리 • 스팟 • 아이언 에그 로봇 • 알파독 • 와일드캣 • 유니트리 고2 • 치타
|
|
반려로봇
|
TCL 에이미 • 러봇 • 모플린 • 베이비알파 • 볼리 • 아이보 • 엘리큐 • 케미프렌즈
|
|
서빙로봇
|
LG 클로이 • 가우시움 • 다이너봇 T5 • 다이너봇 T6 • 딜리플레이트 • 럭키 • 럭키프로 • 리치테크로보틱스 • 마트레디 • 마트레디L • 마트레디X • 바오바오 • 버틀러봇 W3 • 베어로보틱스 • ㈜베어로보틱스코리아 • 벨라봇 • 브이디로봇 • 브이디컴퍼니㈜ • ㈜비로보틱스 • 서비 • 서비플러스 • 서빙고 • 서빙로봇 • 써봇 • 아담 • ㈜알지티 • 오리온스타 • 이리온 • 케티봇 • 코가로보틱스㈜ • 키논 • 퇴식로봇 • ㈜폴라리스쓰리디 • 푸닥터 • 푸두로보틱스 • 푸두봇 • 플래시봇 • 한국키논로보틱스㈜ • 현대 S1 • 현대 T5 • 현대 T6 • 현대 T8 • 현대 W3 • 홀라봇
|
|
주방로봇
|
다관절로봇 • 알파그릴 • ㈜에니아이 • 요리로봇 • 인디 • 주방로봇 • 쿡봇
|
|
배달로봇
|
개미 • 뉴비 • 로보티즈 • 메디봇 • 모비 • 모빈 • 물류로봇 • 수확로봇 • 스타십 • 운반로봇 • 자율주행로봇 • 키바 • 핸들
|
|
청소로봇
|
LDS센서 • LG 로봇청소기 • 나르왈 S30 • 나르왈 프레오 Z10 • 나르왈 프레오 프로 • 나르왈 플로우 • 드리미 X50 울트라 • 드리미 Z1 프로 • 드리미 모바 • 로보락 로봇청소기 • 로보락 사로스 Z70 • 로봇청소기 • 룸바 • 방역로봇 • 브라바 • 삼성 로봇청소기 • 샤오미 로봇청소기 • 소매틱 • 스모로봇 L20 • 스모로봇 P10 • 스모로봇 X1CW • 스위치봇 K10+ • 에코백스 고트 G1 • 에코백스 디봇 X8 프로 옴니 • 옴니그립 • 일렉트로룩스 • 청소로봇 • 클리버 • 트릴로바이트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로봇, 인공지능 기업 □■⊕, 인공지능 인물
|
|
한국 기업
|
㈜고피자 • 넥서스AI • 네이버㈜ • 네이버클라우드 • ㈜누비랩 • ㈜뉴로메카 • ㈜뉴빌리티 • 다올티에스㈜(다올TS) • 대원씨티에스㈜ • ㈜딥브레인에이아이 • ㈜라이너 • ㈜레드타이 • ㈜레인보우로보틱스 • ㈜로보스타 • ㈜로보케어 • ㈜로보티즈 • ㈜뤼튼테크놀로지스 • ㈜리턴제로 • ㈜마음에이아이(마음AI) • 마인드AI • ㈜메디리타 • ㈜메이크봇 • ㈜모레 • 몰로코 • 바이브컴퍼니 • ㈜베어로보틱스코리아 • ㈜보이저엑스 • ㈜비글즈 • 빅웨이브로보틱스㈜ • ㈜세븐미어캣 • ㈜솔트룩스 • ㈜슈퍼브에이아이 • ㈜스캐터랩 • ㈜스파이어테크놀로지 • 씨세론 • ㈜아사달 • ㈜아우름플래닛 • 아이콘에이아이 • ㈜아크릴 • ㈜알체라 • ㈜앙트러리얼리티 • ㈜애널리틱스 • 어메이징토커 • ㈜업스테이지 • ㈜에니아이 • ㈜에스비비테크 • ㈜에스피시스템스 • ㈜에스피지(SPG) • ㈜에이로봇 • ㈜에이버추얼 • ㈜에이아이플랫폼 • ㈜엑스와이지(XYZ) • ㈜엔젤로보틱스 • 영인모빌리티㈜ • ㈜영현로보틱스 • 위고로보틱스㈜ • ㈜윤엠 • ㈜이랜시스 • ㈜인텔리어스 • ㈜제네시스랩 • 젠아이피 • ㈜카카오 • ㈜케이엔알시스템 • ㈜케이티(KT) • 코난테크놀로지 • ㈜큐엠아이티 • ㈜클로봇 • ㈜포티투마루 • 퓨리오사AI • 하이젠알앤엠㈜ • 한국딥러닝㈜ • 한국키논로보틱스㈜ • 현대로보틱스㈜ • 홀리데이로보틱스
|
|
중국 기업
|
01.AI • ASD로보틱스 • 갤봇 • 광저우자동차(GAC) • 나르왈 • 넥스AIoT • 다이몬로보틱스 • 드리미 • 딥시크 • 러쥐로봇 • 로보락 • 로보센스 • 로봇에라 • 리얼맨 • 리커런트AI • 림엑스 다이내믹스 • 매직랩 • 문샷AI • 미니맥스 • 바이촨즈넝 • 비알로봇 • 비야디(BYD) • 부스터로보틱스 • 상하이 베이터로봇부품 • 샤오미 • 샤오펑 • 스모로봇 • 스쿼럴AI러닝 • 스타더스트 인텔리전스 • 시아순 • 싼화 • 아스트리봇 • 아이플라이텍 • 알리바바클라우드 • 애지봇 • 에코백스 • 엑스로보츠 • 엔진AI • 웨이란 • 유니트리 • 유비텍 • 저장ASD • 즈푸AI • 지무지치 • 창안자동차 • 첸장로봇 • 케플러 • 코르텍스 • 클라우드마인즈 • 퉈푸 • 티엘아이봇 • 티티봇 • 팍시니테크놀로지 • 푸두로보틱스 • 푸리에 • 하이얼 슝디로봇 • 핸슨로보틱스 • 화웨이 • 환팡퀀트
|
|
일본 기업
|
ZMP • 그루브엑스 • 뱅가드 인더스트리즈 • 소프트뱅크 로보틱스 • 스위치봇 • 심포 • 카시오 •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 화낙
|
|
미국•캐나다 기업
|
IBM • 고스트로보틱스 • 구글 • 노티커스 로보틱스(휴스턴 메카트로닉스) • 뉴럴링크 • 다타이쿠 • 딥마인드 • 라이터 • 런웨이 • 로크웰 오토메이션 • 루마 • 머커에이아이 • 메타 • 바이두 • 보사노바 로보틱스 • 보스턴 다이내믹스 • 생추어리AI • 세이프 수퍼인텔리전스 • 소매틱 • 슈나이더 일렉트릭 • 스타십 테크놀로지 • 시그니피컨트 그라비타스 • 싱킹머신랩 • 아마존 • 아이로봇 • 안두릴 • 알렉스넷 • 애질리티 로보틱스 • 애플 • 앤쓰로픽(앤트로픽) • 앰비로보틱스 • 앱트로닉 • 어도비 • 엑스AI(xAI) • 오벤 • 오에스에이디씨 파트너스 • 오픈AI • 올웨이즈에이아이 • 유니메이션 • 인튜이티브 서지컬 • 인플렉션AI • 챗GPT • 캐릭터.AI • 코그니션 • 코디움 • 코히어 • 테슬라 • 팔라다인 AI • 피규어 AI • 허깅페이스
|
|
유럽 기업
|
1X 테크놀로지스 • NUI 스튜디오 • 뉴라로보틱스 • 라이온 • 루빈스타인앤슈미델 • 미스트랄AI • 사탈리아 • 스태빌리티AI • 알데바란 로보틱스 • 앨런인공지능연구소 • 에니그마패턴 • 오픈 어시스턴트 • 코디안로보틱스 • 텐서알파 • 패컬티 • 페치에이아이 • 폴렌로보틱스
|
|
기타 기업
|
멘티로보틱스 • 인튜이션 로보틱스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