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강서구 (부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암군 군기
부산광역시 강서구 위치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강서구(江西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부에 있는 구이다. 강서구는 낙동강 본류를 따라 동쪽으로 북구, 사상구, 사하구가 접하고, 서쪽으로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가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남해가 펼쳐져 있다. 강서구에는 김해국제공항부산신항이 있으며, 부산시와 경상남도를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 제2 지선이 통과한다.[1]

개요[편집]

강서구는 동경 128°45′~129°00′, 북위 34°59′~ 35°13′에 위치한다. 동서 간 거리는 22.5㎞, 남북 간 거리는 27.5㎞이며, 면적은 181.5㎢로 부산시 전체 면적의 23.6%를 차지하여 16개 구·군 가운데 기장군 다음으로 넓다. 인구는 2023년 6월 기준 143,052명이다. 행정구역으로는 7개 행정동(22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 1동에 있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배꽃, 나무는 팽나무, 새는 청둥오리이다. 구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구조(區鳥)인 청둥오리를 밝고 건강한 모습으로 의인화한 '청두리'이며, '푸른[靑] 꿈이 드리운 강서'라는 의미를 담아 새천년을 맞이하여 새롭고 힘차게 비상하는 강서와 강서인을 표현 하였다. 구청 소재지는 대저동이다. 낙동강 본류를 따라 동쪽으로 북구, 사상구, 사하구가 접하고 서쪽으로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가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남해를 건너 거제시와 접한다.

강서구의 대부분 지역은 경상남도 김해군에서 부산시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강서구는 김해시와 역사적 기반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대저 1동과 대저 2동은 조선 시대에 양산군에 속해있다가 1906년에 김해군으로 편입되었으며 가덕도동은 웅천군, 창원군, 의창군을 거쳐 1989년에 신설된 강서구로 합쳐졌다.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자치구나 일반구 중에서 강 기준 방위명이 들어간 유일한 사례이다. 기묘하게도 서울특별시의 강서구와 부산광역시의 강서구 모두 공항 소재지이다.

각자 바로 옆 지역명인 김포시, 김해시에서 따왔는데, '김(金)'으로 시작하는 것마저 같고 뒷 글자인 ‘포(浦)’나 ‘해(海)’ 모두 물이랑 연관되어 있는 이름들이다. 여기에 공항이 있는 곳이 원래는 그 옆 지역의 영역이였으나 나중에 자기네로 뺏어온 땅이라는 점까지 같다.[2][3]

자연환경[편집]

동쪽 지역은 낙동강 하구의 넓은 삼각주평야이며 서쪽은 구릉성 산지가 있어서 서고동저의 지세를 보인다. 강서구는 낙동강의 동서 분류로 인하여 형성된 삼각주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는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과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거대한 만입부였으나 해수면 상승에 따라 완신세의 두꺼운 충적층으로 이루어진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대저도, 대사도, 덕도도, 제도, 맥도, 둔치도, 명지도 등이 있으며 이들 하중도들은 1934년 낙동강을 따라 대저 제방을 축조한 뒤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가덕도(加德島)는 연대봉(497m)과 국수봉을 중심으로 산지가 발달했고 동남쪽 해안에는 100m에 달하는 해식애가 형성되어 있다. 구의 서쪽에는 창원시 진해구와 경계를 이루는 보개산(478.9m)과 굴암산(662m)이 있다.

보개산은 장년 산지인 굴암산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내린 산릉으로, 바다를 건너 가덕도가 되고 동쪽으로는 봉화산으로 이어져 서낙동강에서 끝난다. 굴암산은 신어산 계에 속하며 산세가 험하다. 장년 산지로 동쪽으로는 곰티고개를 지나 옥녀봉에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보개산과 연결된다.

구의 동부를 흐르는 낙동강은 크게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으로 구분된다. 원래 2개의 큰 유로가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농지개량사업의 일환으로 낙동강 본류에 제방을 쌓고,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을 설치하면서 서낙동강이 지류가 되었다. 서낙동강은 조선 시대에 삼차강(三叉江)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서낙동강은 수문 건설로 본류에서 벗어나 선암강(仙岩江) 또는 불암강(佛岩江)이라 불리게 되면서 낙동강 하류의 지류가 되었다. 대저 수문을 통해 유입한 강물은 강동동(대사)에서 평강천으로 갈라지고 김해시 불암동을 거쳐 남으로 흘러 둔치도의 남단에서 조만강을 합류하고 녹산 수문을 거쳐 남해로 빠져 나간다. 이 은 김해 삼각주평야에 가락동 식만리 양수장을 통해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낙동강이 남해로 유입하면서 새로운 삼각주로 진우도·대마등 등의 모래톱을 형성하였다. 대마등은 명지동 남쪽 약 1㎞ 거리에 있는 모래톱이다. 동북에서 서남으로 뻗어 있으며 중앙부가 약간 좁다. 길이는 1.8㎞이고, 너비는 최대 130m가 된다. 면적은 0.24㎢이다.

진우도는 신호동 앞 바다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는 모래톱으로 면적이 658㎡인 유인도이다. 1912년 이전에 생겨난 모래섬으로 왜선등 또는 이점등으로 불렸으나 1956년 이곳에 진우원이라는 고아원이 세워지면서 진우도로 불리게 되었다.

강서구의 대표적인 섬으로 가덕도가 있다. 현재 가덕도동이 위치한 섬으로 면적은 20.78㎢ 해안선 길이는 36㎞이다. 대죽도 등 10개의 무인도가 있으며 부산에서 가장 큰 이다. 정상부에 연대봉이 있다.

남해와 접하고 있어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강수량도 비교적 풍부하다. 겨울철에 바람이 강하여 해상 활동에 지장을 주며, 건조하여 산불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14~15℃이고, 강수량은 1,300~1,500㎜ 내외이다. 연평균 풍속은 3~4m/sec로 여름에는 남 남서풍,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을 받는다.[4]

역사[편집]

범방동과 녹산동 등지에서 신석기시대에 취락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 조개무지(범방동 패총)가 발굴되었으며, 가덕도 천성동 두문마을에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남아 있다. 삼한 시대에는 변한에 속한 구야국(狗邪國 또는 狗倻國)의 영역이었다가 가야 연맹체의 중심인 금관가야에 속하였으며, 이후 532년(법흥왕 20)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설치되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680년(문무왕 20)에 5소경의 하나인 금관경(금관소경)이 설치되었다가 756년(경덕왕 15)에 김해경(金海京)으로 개편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김해부(金海府)와 임해현(臨海縣)·임해군·금주안동도호부(金州安東都護府)·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금주목(金州牧) 등을 거쳐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김해부가 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413년(태종 3) 김해부가 김해도호부로 승격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다.

지금의 강서구 지역은 조선 후기에 경상도 김해부의 가락면·녹산면·덕도면·명지면, 양산군의 대상면·대하면, 웅천군의 천성면·가덕면에 해당한다. 1895년(고종 32) 김해부는 김해군으로 개편되었고, 1906년 양산군의 대상면과 대하면이 대저면이 되어 김해군에 편입되었다. 1908년 웅천군이 창원부에 통합되면서 천성면과 가덕면이 천가면으로 통합되었고, 1910년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편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김해군의 덕도면이 가락면에 편입되었고, 마산부에서 창원군이 분리되어 천가면을 포함한 15개 면으로 편제되었다. 당시 김해군 가락면(대사리·봉림리·북정리·상덕리·식만리·제도리·죽동리·죽림리)과 녹산면(구랑리·녹산리·미음리·범방리·생곡리·송정리·지사리·화전리), 대저면(대지리·덕두리·도도리·맥도리·사덕리·사두리·소덕리·울만리·출두리·평강리), 명지면(동리·신전리·신호리·조동리·중리·진목리·평성리) 그리고 창원군 천가면(대항리·동선리·성북리·천성리)이 지금의 강서구에 해당한다.

8·15광복 후에도 강서구 지역은 경남 김해군과 창원군에 속하였으며, 1973년 김해군 대저면이 대저읍으로 승격되었다. 1978년 김해군 대저읍과 가락면 일부(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 신호리를 제외한 명지면이 부산시 북구에 편입되어 대저읍이 대저 1동(대지리·사덕리·출두리·평강리)과 대저 2동(덕두리·도도리·맥도리·사두리·소덕리·울만리)으로, 가락면 일부가 강동동으로, 명지면 지역이 명지동으로 편제되었다. 1983년에는 대저 1~2동과 강동동·명지동이 부산시 직할의 강서출장소로 독립되었고, 대저 2동 관할의 을숙도와 일웅도가 신설된 사하구로 편입되었다.

1989년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되면서 김해군의 가락면·녹산면과 창원군의 천가면이 편입되어 7개 행정동(가락동·강동동·녹산동·대저 1~2동·명지동·천가동)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2015년 천가동이 가덕도동으로 개칭되었고, 2018년 명지동이 명지1~2동으로 분동되어 8개 행정동으로 개편되었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8행정동(가덕도동·가락동·강동동·녹산동·대저1~2동·명지1~2동) 22법정동(강동동·구랑동·녹산동·눌차동·대저1~2동·대항동·동선동·명지동·미음동·범방동·봉림동·생곡동·성북동·송정동·식만동·신호동·죽동·죽림동·지사동·천성동·화전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편집]

부산시에서 가장 많이 조성된 산업단지들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과 부산항 신항의 항만시설 등을 기반으로 하는 운수·창고업이 활발하다. 강서구의 신항만·명지·지사 지역과 창원시 진해구의 웅동·두동 지역 등 5개 지역(총면적 51.1㎢)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어 지역별로 물류유통과 첨단산업, 국제업무, 여가 및 휴양의 거점으로 개발되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르노코리아자동차(전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전기(주) 부산사업장, (주)농심 녹산공장 등이 있다.

제조업의 기반인 산업단지는 강서구 명지동·녹산동과 경남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일원에 걸쳐 있는 명지 녹산 국가산업단지를 비롯하여 부산과학산업단지·신호산업단지·화전산업단지·미음산업단지·성우산업단지·생곡산업단지·강서 보고 산업단지·풍상 산업단지·지사2 산업단지·정주산업단지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국제산업물류도시·부산 명동지구 산업단지·지사 글로벌 산업단지·강서 해성 산업단지·부산 에코델타시티 도시 첨단 산업단지 등이 조성되고 있다.

전통시장은 대저 1동의 사덕시장, 대저 2동의 덕두시장, 명지동의 명지시장 등이 상설시장으로 운영된다. 이밖에 유통업체로는 쇼핑센터 1개소, 전문점 3개소 등이 있다. 한편, 낙동강 삼각주의 비옥한 토양에서 시설채소와 화훼 재배를 위주로 하는 농업이 이루어져 대저 토마토가 특산물로 꼽히며, 국가 어항인 천성항과 지방 어항인 눌차항· 대항 항을 비롯한 16개소의 어항을 기반으로 하는 어업도 이루어진다. 농림어업의 부가가치(864억 원)는 부산시 총부가가치의 20%를 웃돌아 서구·중구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교통[편집]

도로 교통남해고속도로(고속국도 10호선)가 전남 영암군 학산면을 기점으로 경남 지역과 강서구의 강동동·대저동을 거쳐 북구 구포동까지 이어지고, 남해고속도로 제2 지선(고속국도 104호선)이 경남 김해시 냉정 분기점을 기점으로 강서구를 거쳐 사상구의 사상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또한 중앙고속도로(고속국도 50호선)가 사상구의 삼락 나들목을 기점으로 강서구와 경남·대구·경북·충북 지역을 거쳐 강원도 춘천시까지 이어지며, 대저 분기점에서 남해고속도로와 접속한다.

주요 도로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 58호선의 일부인 거가대로가 경남 거제시를 기점으로 저도~중죽도~대죽도~가덕도를 연결하는 거가대교와 가덕해저터널을 거쳐 강서구 송정동까지 이어지고, 경남 통영시를 기점으로 하는 남해안도로가 고성~창원~김해를 거쳐 강서구 생곡동까지 이어진다. 이 밖에 김해시를 기점으로 식만동까지 이어지는 동서대로를 비롯하여 가락대로(송정동~죽림동)·르노삼성대로(신호동~명지동)·을숙도대로(명지동~사하구 감천동)·화전산업대로(신호동~녹산동)와 공항로·낙동남로·낙동북로·녹산화전로·대저로·생곡로·서낙동로·웅장로·제도로 등이 강서구의 내·외곽을 연결한다.

철도는 2005년에 개통한 도시 철도 3호선이 수영구의 수영역을 기점으로 연제구·동래구·북구 지역을 거쳐 강서구의 강서구청역~체육공원역~대저역까지 운행하고, 2011년에 개통한 부산김해경전철이 사상구의 사상역을 기점으로 강서구의 서부산유통지구역~공항역~덕두역~등구역~대저역~평강역~대사역을 거쳐 김해시의 가야대역까지 운행하며, 대저역에서 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이 접속한다. 이 밖에 2011년에 김해시의 경전선 진례역에서 장유역을 거쳐 녹산동의 부산신항역까지 운행하는 부산 신항선이 개통되어 화물 수송을 담당하며, 신항 남선(부산신항역~남철 송장역)과 신항 북선(부산신항역~북철송장역)이 지선으로 운행된다.

항공 교통은 1976년 부산비행장(수영비행장)이 1976년 김해군 대저읍(지금의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하여 김해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김해국제공항은 2018년을 기준하여 제주·김포·청주·인천 노선의 국내선과 중국·일본·베트남·미국·러시아를 비롯한 16개국의 국제선 노선을 취항한다. 운항 편수는 국내선 4만 7440여 편, 국제선 6만 3480여 편이며, 여객 수송 인원은 국내선 719만 7730여 명, 국제선 986만 6870여 명이다. 화물 수송량은 국제선 12만 3910여t, 국내선 5만 9590여t이다.

관광[편집]

강서구 명지동에는 낙동강 하류의 철새도래지가 있는데,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된 지역은 동쪽으로는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림동·하단동을 경유하여 북구 금곡동에 이른다. 서쪽으로는 강서구 명지동·신호동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일부가 포함되는 낙동강 유역 일대가 되는데 그 중심지는 명지도와 을숙도이다.

낙동강은 하구에 을숙도를 비롯하여 일웅도(日雄島)·백합등·대마등(大馬嶝) 등 크고 작은 삼각주가 많다. 삼각주 주변은 수심이 얕고 담수와 해수의 교류가 왕성할 뿐 아니라 강기슭에는 갯벌이 발달하여 각종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패류·소형 어류·갑각류·곤충 등 철새의 먹이가 풍부하다.

삼각주의 갈대숲도 철새의 먹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보금자리가 되고 있다. 사철을 통해 이곳으로 오가는 철새는 수백 종에 이르며 오가는 조류로는 오리과·도요새과·백로과·황새과 등 43과 138종 이상이 알려있다.

죽림동에는 과거 낙동강의 경관을 즐기던 금파대가 있었다. 가락동 죽림리 해창 북쪽 오봉산 기슭 고정마을 위에 있었던 것으로 1692년(숙종 18) 금파대에 금파정을 세운 데서 비롯되었다. 금파정이 세워지면서 당시 김해부의 관속이나 유림들이 이곳을 찾아와 주위 경관을 즐겼다. 금파대란 이곳에서 서낙동강을 바라보면 강바람에 나부끼는 물결이 마치 비단 같다 하여 지명이 유래되었다.

낙동강남해에 연해 있어 먹거리가 매우 풍부하다. 낙동강 지류에는 곳곳에 관광농원이 입지하고 있으며 장어와 민물 매운탕이 강서구의 주요 먹거리이다. 녹산과 명지의 어촌에는 횟집들이 밀집되어 있어 어류와 패류들을 팔고 있다. 매년 9월 명지시장 내에서 전어 축제가 열리고 있다. 부산 가을 횟거리의 대표적인 어종으로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는 “기름이 많고 달콤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대저동의 주요 농산물인 토마토의 축제가 매년 4월 강서체육공원에서 열리고 있다. 축제기간 중 먹거리장터가 열리며 토마토 먹기 대회, 토마토 요리 전시 등의 행사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체육시설로서 대저동에 강서체육공원이 있다. 2002년 부산아시아경기대회의 펜싱경기와 배드민턴 경기가 열린 실내체육관과 2,000석 규모의 하키 경기장, 500석 규모의 보조경기장 및 양궁 경기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서체육공원은 종목별 경기장뿐만 아니라 시민체육, 문화센터 등 체육가족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또한 천연잔디구장 2면은 부산아이콘스 및 유소년축구클럽의 전용연습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강동동 서낙동강 일원에는 조정카누경기장이 있다.

강서구는 낙동강 제방을 시민공원화하여 구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체육시설을 갖추고, 철쭉동산 등으로 조경하여 시민들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매년 초여름(5~6월경) 이곳에서 강변축제가 열린다.

문화행사 및 축제[편집]

2015년에 시작된 '강서 낙동강 30리 벚꽃축제'가 매년 3~4월의 벚꽃 개화 시기에 대저생태공원 일원에서 벚꽃길 걷기대회와 벚꽃노래자랑, 백일장·사생대회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 공연 및 체험 행사를 펼쳐 강서구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하였다. 4월에 유채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루는 대저생태공원 유채 경관 단지에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가 열려 유채꽃 신부와 유채꽃 기차, 모내기 체험 등의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진행되고, 강서체육공원 일원에서는 강서의 특산물로 유명한 '대저 토마토 축제'가 열려 토마토 생태탐방·즉석 경매·시식회와 대형 스파게티 만들기 등 볼거리·먹거리·즐길 거리가 풍성한 행사가 펼쳐진다. 이밖에 8월에는 명지시장 전어축제, 12월에는 가덕도 대구축제가 열린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강서구〉, 《위키백과》
  2. 강서구(부산광역시)〉, 《네이버 지식백과》
  3. 강서구(부산광역시) 〉, 《나무위키》
  4. 강서구(부산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강서구 (부산)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