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강
콩고강(Congo River)은 아프리카 중서부에서 가장 긴 강이다. 길이는 4,700km로 아프리카에서 나일강 다음으로 길고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긴 강이며 유역 면적은 369만㎢이다. 유역의 강수량은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으며 세계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강이다. 1971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는 이 강을 자이르강(Zaire River)이라 불렀다. 콩고강은 아프리카 중남부의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잠비아 등을 지나며 콩고 분지를 형성하는 하천이다.[1]
개요
콩고강은 중앙아프리카의 대부분을 유역 분지로 하면서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아 흐른다. 콩고강이라는 이름은 강 하구에 자리했던 옛 콩고 왕국에서 따 온 것이다. 콩고강을 끼고 있는 콩고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이름도 여기서 왔다. 콩고강은 지류까지 포함한 수역은 가봉, 카메룬, 앙골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등까지 포함된다. 콩고강은 세계에서 아마존강 다음으로 강폭이 넓은 강이자 유량이 많은 강이며 유역이 넓은 강이다. 유역에는 세계에서 아마존 열대우림 다음으로 큰 콩고 열대우림이 형성되어 있다. 가장 깊은 곳은 수심 220m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강이기도 하다. 적도를 두 번이나 지난다. 말레보호, 보요마 폭포, 키상가니 등 콩고강의 주요 지형은 영국의 탐험가 헨리 스탠리에 의해 이름이 지어졌는데, 그는 프랑스의 피에르 브라자와 함께 아프리카를 탐험한 최초의 유럽인이다.[2]
콩고강은 콩고민주공화국 남동부 샤바주(州)의 고지에서 발원하여 중류에 있는 도시 키상가니 부근의 보요마폭포(스탠리폭포)까지를 루알라바강이라고 부르며, 거기서부터 하류가 콩고강이 된다. 콩고분지를 서류하는 동안에 수많은 지류와 합류한다. 서류하는 흐름이 남서방향으로 꺾이는 부근에서 대(大)지류인 우방기강과 합류하고, 다시 콩고공화국 북부에서 흐르는 상가강, 콩고민주공화국 남부에서 흐르는 카사이강과 합류하여 테케고원에 형성된 오래된 단층곡(斷層谷)으로 들어간다. 콩고강은 스탠리 풀(말레보 풀)을 지난 뒤 하류의 마타디까지 약 350km에 이르는 구간의 곡지(谷地)에서 급류를 이루고 마타디에서 다시 160km를 지나 대서양에 흘러든다. 그 전하계(全河系)는 19세기 후반 리빙스턴과 스탠리의 탐험으로 세계에 알려졌다. 유역의 대부분이 열대우림기후로 연강수량 1,000∼2,000mm 내외이므로 수량(水量)의 변화가 적다. 또한, 유량이 평균화되어 수위의 변화는 평탄지에서 약 4m, 협곡부에서 약 9m에 불과하여 나일강에서 볼 수 있는 홍수재해는 일어나지 않는다. 콩고강 본지류(本支流)의 포장수력은 약 3억 4,000만kW로 추정되어 잠재적인 수력발전량은 방대하다.[3]
지리
상류
발원지는 동부아프리카 고원의 서쪽 사면으로 잠비아의 탕가니카호, 므웨루호 남쪽 끝 부근이다. 몇 개의 작은 지류와 호수를 만나면서 급류를 이루고 흐르다가 7개의 폭포로 구성되어 있는 보요마 폭포로 떨어진 후 키상가니를 거쳐 원형에 가깝고 매우 넓은 콩고 분지로 흘러 들어가 주변의 담수를 빨아들인다.
중류
저지대에 이르러 강폭은 13km에 이르며 곳곳에서는 길게 형성된 하중도에 의해 흐름이 몇 개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콩고 분지의 대부분은 열대우림 지대이며 강 주변으로는 넓은 습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열대의 습지 지대는 여러 차례의 범람으로 형성된 것으로 특히, 분지의 서쪽 지역에 잘 발달한다. 이후 콩고강은 콩고 분지의 남서쪽 바테케 고원을 잘라 형성된 협곡을 따라 분지를 빠져나온다. 협곡의 회랑을 빠져나온 강은 폭이 다시 넓어지면서 폭이 27km에 이르는 말레보호로 흘러들어간다. 콩고의 수도 브라자빌은 호수의 북쪽에 위치하고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사는 호수의 남쪽에 위치한다. 이 호수에서 콩고 강의 상류를 따라 1,600km까지 항해할 수 있다.
하류
말레보호를 지나면 급류와 폭포가 나타나는데 이는 유럽인들의 탐험과 바다로의 접근을 막는 역할을 해왔다. 하류의 320km의 구간에서 강은 협곡을 따라 거의 300m의 높이를 내려간 후에 대서양의 맹그로브 숲에 도달한다. 콩고강의 하구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다 밑에는 큰 협곡을 만들어 흐르다가 해저 선상지에 운반물질을 퇴적한다
역사
콩고강 유역은 기원전 2000년경에는 수렵 채집 사회였다. 현재 카메룬 남부 지역을 기원으로하는 반투족 계열의 주민이 세력을 확장하여 서기 1년 전후에는 콩고강 유역에 널리 거주하게 되었다. 서쪽의 반투족 계열의 주민은 화전을 행했다. 또한 철기 제조 기술을 가지고 이것을 사용하여 밀림의 안쪽으로 세력을 확대해 갔다. 서기 1년경에는 아프리카 대륙 동부로 이주해서 동쪽의 반투족 계열의 주민이 콩고 강 유역에 정착을 시작했다. 그러나 콩고강 유역 전체를 아우르는 광대한 국가는 성립하지 않았다. 하구 지역에 콩고 왕국이 상류 지역에 루바 왕국과 룬다 왕국이 성립된 것 정도이다. 이 왕국은 인도양에서 아프리카 내륙에 이르는 교역 루트를 가지고 있었다. 이 상황이 변화하는 것은 포르투갈이 대서양의 남쪽 지역에 도달한 것이다. 1482년 포르투갈인이 콩고 왕국으로 도달, 포르투갈과 콩고 사이에 교역이 시작되었다. 양국 관계는 당초 대등한 호혜적인 것이었지만, 곧 유럽 세계에서 노예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노예가 대량으로 납치되었고, 콩고 왕국의 힘은 약해지고 갔다. 한편 유럽 세계와의 접촉으로 서쪽으로 포르투갈 유럽의 교역권, 그리고 동쪽으로는 인도양 아랍 무역권으로 통합해 갔다. 그러나, 유럽은 리빙스턴 폭포의 급류 때문에, 아랍인은 동쪽 원거리 때문에 콩고 중류 지역에는 도달할 수 없었다.
19세기에 들어서 내륙에 해안의 세력이 스며들어 오게되었다. 1874년 헨리 모턴 스탠리가 유역 전체를 탐험하였고, 1877년에 유로 전체가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 한편, 스탠리와 거의 같은 시기에 피에르 부라자도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고 또 콩고강 유역을 탐험했다. 이 탐험의 성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콩고와 중앙아프리카 지역의 북부와 서부는 프랑스령이되었다. 말레보호를 마주 보고 있는 도시 브라자빌과 킨샤사는 부라자와 스탠리가 각각 건설했다. 브라자빌와 레오폴드 빌(현 킨샤사)는 콩고강을 이용한 내륙 수운의 결절점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1898년에는 킨샤사와 마타디를 연결하는 철도가, 1934년에는 브라자빌과 푸앵트누아르를 잇는 철도가 각각 개통되어 내륙의 산물을 두 도시에 있는 항구로 수송하고 수출하는 체제가 정비되었다. 1960년 벨기에령은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프랑스령은 콩고와 중앙아프리카로 각각 독립했다.
관련 뉴스
- 2022년 12월 13일(현지시간)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수도 킨샤사에서 밤새 내린 폭우와 산사태로 최소 120명이 숨졌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 킨샤사는 최근 몇 년 새 홍수가 잦아졌다. 무질서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피해가 더 커졌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날 폭우로 주요 주거지가 물에 잠기고 도로 곳곳에 싱크홀이 생겼다. 킨샤사 북부 응갈리에마 구역에서만 최소 30명이 숨졌다. 민주콩고 보건부는 킨샤사 전역에서 사망자 숫자를 141명으로 집계했지만 다른 부서와 교차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요 산사태는 몽응가풀라 구역의 언덕 지형에서 발생했다. 이 산사태로 집들이 쓸려나갔고 이 과정에서 약 20명이 숨졌다. 킨샤사와 주요 항구인 마타디를 연결하는 주요 보급로인 1번 고속도로, 정부 각 부처와 대사관이 들어선 곰베 거리도 침수됐다. 외신들에 따르면 주민들은 짐꾼 등에 업혀 침수된 도로를 건너고, 회사원들은 맨발에 각종 서류들을 비닐봉지에 담은 채 출근하고 있다. 킨샤사는 앞서 2019년 집중호우에 따른 저지대 침수로 일부 건물과 도로가 붕괴되면서 최소 39명이 숨졌다. 당시와 비교하면 인명피해 규모는 최소 3배 이상 늘었다. 민주콩고 서부에 위치한 킨샤사는 허술한 규제 아래 급속하게 진행된 도시화, 기후변화에 따른 잦은 홍수로 산사태 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때 콩고강 둑에 자리한 어촌 집합체였던 킨샤사는 현재 약 1500만 명 인구를 가진 아프리카 대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민주콩고 정부 당국에 따르면 이번 홍수 피해 지역에 사는 주민 수만 1200만 명에 달한다. 킨샤사의 주민 다수는 홍수가 발생하기 쉬운 경사면에 지어진 판잣집에 살고 있다. 배수 및 하수도 시설 부족은 고질적인 문제로 꼽힌다. 이번 폭우로 가장 심각한 산사태 피해를 본 몽응가풀라 구역이 대표적이다. 몽응가풀라 주민 블랑샤르 음부부는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큰 집을 지으면서 배수구가 막히고 있다”면서 “물이 자유롭게 흐르지 못한 것이 홍수의 원인이다고 말했다. 2019년 홍수 피해 이듬해인 2020년 세계은행은 인프라 손상 외에도 대규모 교통 혼잡으로 인해 킨샤사 가구당 120만달러의 비용이 발생했다고 추산했다. 민주콩고 당국은 고속도로는 소형 차량 통행을 위해 하루 새 다시 개통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트럭 통행까지는 최대 4일이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4]
- 2019년 4월 17일(현지시간) 아프리카 중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동부 키부호에서 최근 여객선이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 승객 최대 150명이 실종됐다고 CNN이 보도했다. 여객선 침몰사고는 지난 15일 저녁에 일어났지만, 구체적인 사고 내용은 이틀 뒤인 17일에야 전해졌다. 펠릭스 치세케디 민주콩고 대통령은 매우 슬프다며 실종자 가족들에게 애도를 표했다. 그는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15일 키부호에서 발생한 난파 사고로 잠정적으로 150명 정도가 실종된 것 같다고 밝혔다. 비탈 무히니 남키부주(州) 지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현재까지 승객 37명이 구조됐으며 사고 수역에서 시신 3구를 인양했다고 말했다. 사고가 난 여객선은 과적한 상태로 민주콩고 동부에 있는 고마시(市) 키투쿠항에서 출항했다가 침몰했다. 무히니 주지사는 초기 조사에서 승객들이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으며 승객 명부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침몰의 원인을 제공한 가해자들에 대한 처벌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15년에도 콩고강에서 선박 2대가 충돌해 100여 명이 실종되는 등 민주콩고에서는 선박 노후화와 항행 규칙 미준수 등으로 침몰사고가 잦다고 분석했다.[5]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동영상
각주
- ↑ 〈콩고강〉, 《위키백과》
- ↑ 〈콩고 강〉, 《나무위키》
- ↑ 〈콩고강〉, 《네이버 지식백과》
- ↑ 박효재 기자, 〈민주콩고 수도, 홍수·산사태로 최소 120명 사망…무질서한 도시화에 피해 커져〉, 《경향신문》, 2022-12-14
- ↑ 김정연 기자, 〈민주콩고서 여객선 전복, “콩고강에서 침몰사고 잦아”〉, 《시선뉴스》, 2019-04-19
참고자료
- 〈콩고강〉, 《위키백과》
- 〈콩고 강〉, 《나무위키》
- 〈콩고강〉, 《네이버 지식백과》
- 박효재 기자, 〈민주콩고 수도, 홍수·산사태로 최소 120명 사망…무질서한 도시화에 피해 커져〉, 《경향신문》, 2022-12-14
- 김정연 기자, 〈민주콩고서 여객선 전복, “콩고강에서 침몰사고 잦아”〉, 《시선뉴스》, 2019-04-19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