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무선충전기'''<!--무선충전기-->(Wireless Charger)는 충전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연결 케이블을 사용 안 하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이다. 작동하는 원리에 따라 자기 유도방식(Inductive Charging), 자기공명 방식(Resonance Charging), 무선전 충전(Radio Charging) 등 3개 종류로 나뉜다. | + | '''무선충전기'''<!--무선 충전기-->(Wireless Charger)는 [[충전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이다. 작동하는 원리에 따라 자기 유도방식(Inductive Charging), 자기공명 방식(Resonance Charging), 무선전 충전(Radio Charging) 등 3개 종류로 나뉜다. |
| + | {{:자동차 배너|부품}} |
| | | |
| ==개요== | | ==개요== |
78번째 줄: |
79번째 줄: |
| * [[충전기]] | | * [[충전기]] |
| | | |
−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 + | {{자동차 전장|검토 필요}} |
| + | {{충전}} |
무선충전기(Wireless Charger)는 충전기와 배터리 사이에서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이다. 작동하는 원리에 따라 자기 유도방식(Inductive Charging), 자기공명 방식(Resonance Charging), 무선전 충전(Radio Charging) 등 3개 종류로 나뉜다.
무선충전기는 유도성 충전기(Inductive charger)라고도 부르는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장치중의 하나이며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기자동차, 전동공구, 전동치솔과 메디칼 장치를 포함한 휴대장치들에 충전이 가능하며 독(dock)과 플러그(plug)를 이용한 전기 연결이 없이 충전소(charging station)나 유도성 패드(inductive pad)의 근처에 휴대장치를 방치하는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무선충전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전파 전력으로 변환하여 일정한 거리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며 전력전송방식 및 전송거리에 따라 RF방식,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이 있다.
무선충전기술은 100여년 전 미국의 니콜라 테슬라가 개념적인 원리를 개발하였으며 1963년에 마이크로파(300MHz~300GHz)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전송에 성공한 뒤 1964년 10월에 미국의 월리엄 브라운이 2.45GHz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무연료 헬리콥터에 무선전력공급을 성공하였다. 197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에너지부에서 추진하는 우주태양광발전소(Solar Power Satellight) 프로젝트에 연결되면서 본격적인 연구 개발이 활성화되었다.
2000년대에 진입한 뒤 미국, 일본, 한국, 중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무선충전기술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졌으며 2005년 전후로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급속한 확산과 2009년 스마트폰의 보급 등의 촉진으로 무선충전기술제품의 시장도 새롭게 창출되었다.
2008년에 무선충전기의 대기전력 손실에 관한 EuP(Energy using Product: 친환경제품 설계의무 지침)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고 같은 해에 선충전컨소시업(WPC, Wireless Power Consortium)이 설립되었으며 2010년에 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테블릿 등의 제품을 대상한 무선충전기 글로벌 표준 Qi 무선충전표준(wireless charging standard)을 발표되었다. 2012년에 무선충전얼라이언스(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와 파워 매터 얼라이언스(PMA, Power Matter Alliance)가 설립되었으며 일본에서 2009년에 광대역 무선포럼(BWF, Broadband Wireless Forum)이 설립되고 2013년에 상용화를 위한 무선통신컨소시엄(WiPoT, Wireless Power Consortium for Practical Applications)이 설립되었으며 2010년에 에너지 하베스팅 컨소시엄(EHC, Energy Harvesting Consortium)이 설립되었다. 한국에서는 2011년에 한국무선충전포럼(KWPF, Korean Wireless Power Forum)이 설립되었다. 2018년에 진입한 뒤 Qi 무선충전표준은 북조선, 러시아, 독일 등 나라의 군수장치 표준으로 적용되었다.
무선충전기에 적용하는 글로벌 표준으로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테블릿 등의 제품을 대상한 Qi 무선충전표준(wireless charging standard)이 가장 보편적이며 그 다음에 PMA 표준이 있다.
미국의 글로벌 마켓 리서치와 매니지먼트 컨설팅회사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Global Market Insights Inc.)가 2020년 2월에 발표한 2020년-2026년 무선충전 시장 점유율과 예측 보고(Wireless Charging Market Size By Technology (Inductive, RF, Resonant), By Application (Automotive, Consumer, Industrial, Healthcare, Aerospace & Defense), Industry Analysis Report, Regional Outlook, Growth Potential, Competitive Market Share & Forecast, 2020 – 2026)에 따르면 2019년에 무선충전 시장규모는 110억 달러를 초과하였으며 2020년부터 2026년사이에 시장 년성장율은 14.5%로 유지하여 2026년에 이르면 300억 달러의 규모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였다.[1][2][3]
무선충전 원리[편집]
□ 자기 유도 방식
1차 권선에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기를 흘리면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면서 2차 권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자기 유도 방식 충전이라 한다. 저출력 충전방식은 통상적으로 100W 이하의 출력 레벨에서 소형 컨슈머 전자장치의 충전을 지원하며 이에는 핸드폰, 핸드헬드 장치(handheld devices), 일부 컴퓨터 및 유사한 장치들이 들어있다. 수 mm 이내의 거리에서 90% 이상의 충전효율을 가진다.
□ 자기 공명 방식
1차권선에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기를 흘리면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2차권선에 자기 공명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을 자기 공명 방식이라고 한다. 자기 공명 방식은 1m의 거리에서 90%의 효율을 유지하고 2m의 거리에서 40%의 효율을 가진다. 1kW에서 300k까지의 출력 레벨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지원한다.
□ 전자기파 방사 방식(RF 방식)
마이크로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접수기에서 접수한 뒤 정류기회로에서 직류로 변경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4]
적용 표준[편집]
□ Qi 표준
무선충전협회(WPC, Wireless Power Consortium)가 2008년에 처음으로 발행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표준(open interface standard)이다.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4cm 거리 안에서 무선 충전을 추진하는 방식을 정의하였다. 100-205 k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5w-15w 사이로 충전한다.
많은 모바일 기기 제조사들이 이에 개입되어 있으며 이에는 애플, 아수스(Asus), 구글, HTC, 화웨이, LG 전자, 모토롤라 모빌리티, 노키아, 누커런트(NuCurrent), 삼성, 블렉벨리, 샤오미 및 소니 등이 들어 있다. 2017년 7월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표준이며 2억 대 이상의 장치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었다.[5]
□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
에어퓨어 얼라이언스(AirFuel Alliance) 표준이라고도 한다. P&G(Procter & Gamble)와 듀라셀 파워매트 테크놀로지(Duracell Powermat Technologies)사가 2012년 3월에 소비자 상호 운용 가능한 장치(consumers interoperable devices)를 보장하는 취지에서 발행한 표준이며 이 안에 무선충전 기술에 관한 내역이 들어 있다. PMA 표준은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준이며 아날로그 방식의 충전(자기 유도와 자기 공명), 디지털 트랜시버 커뮤니케이션(디지털 라디오 송수신), 클라우드 기반의 전력 관리 및 환경 지속유지 가능성을 기술하였다. PMA는 277-357 k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5cm의 거리 안에서 여러 장치들을 한 번에 충전한다.
PMA 이사회에는 AT&T, 듀라셀(Duracell), 스타박스, 플랙스트로닉스(Flextronics), 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및 에너지스타(Energy Star) 등 회사와 조직이 들어 있다. 2015년에 A4WP와 PMA가 합병되어 에어퓨어 얼라이언스(AirFuel Alliance)로 되었다.[6]
응용분야[편집]
무선충전의 응용분야는 크게 저전력과 고전력 분야로 나뉜다.
- 저전력 응용은 주로 휴대폰, 핸드헬드 장치, 일부 컴퓨터 및 유사한 장치를 포함한 소형 컨슈머 전자기기를 지원하며 충전전력은 통상적으로 100W 이하의 수준이다.
- 고전력 응용은 충전전력 1kW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전기차 충전에 적용된다. 고전력 충전은 1차 권선과 2차 권선 사이의 자기 공명 방식으로 추진되며 전력의 범위는 1kW에서 300kW 또는 그 이상이다.
장단점[편집]
□ 장점
- 보호된 연결 - 높은 빈도로 충전을 진행할 때 절연체의 고장에 따른 회로 쇼트라든지의 전기적인 리스크가 줄어 든다. 전자장치가 밀폐되어 있는 연유로 대기중의 습기나산소 등에 따라오는 부식이 없다.
- 내구성 - 물리적인 연결이 없는 구조로 연결장치가 필요없으며 빈번한 재 연결과 간헐적인 충전이 가능하다.
- 자동충전 - 충전소 또는 충전 패드 근처에 방치만 하면 되기에 자동충전이 된다.
□ 단점
저전력 무선충전에서 발생하는 단점들은 아래와 같다
- 충전속도 - 낮은 충전효율로 충전시간이 15% 길어진다.
- 원가 - 충전기와 장치에 각자 감응 코일을 추가해야 기에 원가가 올라간다.
- 편의성 - 모바일 장치를 케이블로 연결한 상황에서 이동과 사용이 가능하다. 무선충전은 충전패드나 주변에 방치해야 기에 이동이 불가하거나 충전에 영향을 받는다.
- 호환성 - 모든 휴대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효율 - 직접 연결식 충전 대비 효율이 낮다.
- ↑ "Wireless Charging Market Trends - Global Statistics Report 2026", Global Market Insight, 2020-02
- ↑ 김혜진 기자, 〈무선충전 기술 산업동향 ①〉, 《CCTV뉴스》, 2016-11-01
- ↑ "Inductive charging", Wikipedia
- ↑ Benmin Smith,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harging", Internet Access Guide, 2019-05-15
- ↑ "Qi (standard)", Wikipedia
- ↑ "Power Matters Alliance", Wikipedia
참고자료[편집]
- "Inductive charging", Wikipedia
- 김 혜진 기자, 〈무선충전 기술 산업동향 ①〉, 《CCTV뉴스》, 2016-11-01
- 박세환, 〈무선충전 시스템 기술 동향〉, 《ITFIND》
- Benmin Smith,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harging", Internet Access Guide, 2019-05-15
- Doug Bonderud, "How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Works (Qi vs. PMA Charging)", BizTech Magazine, 2021-03-02
- 〈무선 충전〉, 《위키백과》
- AMC world, 〈자기공진 무선충전이란!??!?〉, 《TI Story》, 2017-05-24
- 股票涨涨涨, 〈无线充电行业快速升温 产品走俏产业资本"加码"〉, 《她理财网》, 2021-05-04
같이 보기[편집]
이 무선충전기 문서는 자동차 전장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자동차 전장
|
2채널 블랙박스 • 4채널 블랙박스 • 360도 블랙박스 • CAN • CANdb • ECU • HMI 계층 • LVDS • MCU • OBD • OTA • SOS 버튼 • UVC • V2G • V2L • VCU •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 디지털 신호처리장치(DSP) • 마이크로컨트롤러 • 무선충전기 • 미들웨어계층 • 배선 • 배선도 • 블랙박스 • 블루링크 • 어드밴스드 케어 • 와이어링 하네스 • 운영체제계층 • 응용계층 • 자동차 전장 • 전자제어장치 • 접지 • 접지선 • 제어회로 • 중앙제어장치 • 집적회로(칩, IC) • 차량용 반도체 • 첨단안전장치 • 충전기 • 컨비니언스 패키지 • 컴포트 패키지 • 텔레매틱스 • 트랙패드 • 파퓰러 패키지 • 하네스 • 하드웨어계층 • 하이테크 패키지 • 하이패스 단말기 • 회로 • 회로도
|
|
운전보조
|
360도 카메라 • 3D 클러스터 • ADAS • AEB • AVM • DDREM • DMP • FCA • GPS • HDA • HDA2 • HDA3 • HDP • HSAC • LDWS • LKA • NSCC • SVM • V2X • 경사로 밀림 방지 • 경사로 저속주행 • 고속도로 자율주행(HDP) • 고속도로 주행보조 • 과속단속 카메라 감지 • 광각카메라 • 나이트비전 시스템 • 내비게이션 •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 능동형 전복방지(ARP) • 드라이브 와이즈 •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 모니터 • 모니터링 •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BOS) • 비상 자동제동 시스템 •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 • 사각지대 경보장치 • 서라운드 뷰 모니터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 스탑앤고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 스테레오 카메라 • 시티 세이프티 • 안드로이드오토 •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 •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 •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 어웨이 • 옴니뷰 기술 • 운전보조 • 운전자 주의 경고(DAW) • 원격 스마트 주차 • 자동긴급제동장치 • 자율주행 시스템 • 적외선 카메라 • 전기식 스티어링 컬럼 잠금(ESCL) • 전방 주시 경고 • 전방충돌방지보조 • 전방카메라 • 전후방카메라 •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차로 이탈방지 보조 • 차선변경지원 시스템 •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 차체 자세 제어장치(ESC, ESP, VDC) •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 카메라 • 카플레이 • 콕핏 플랫폼 • 크루즈 컨트롤 • 크리핑 • 트래픽 사인 어시스트 •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 • 페이스커넥트 •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후방 교차 충돌방지 시스템 • 후방 긴급자동제동 • 후방모니터 • 후방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 후방카메라 • 후측방 모니터 • 후측방 모니터링 시스템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 후측방 충돌방지 시스템
|
|
조명
|
3차원 디지털 픽셀 • DRL • DTRL • LED • LED 라이트 • LED 램프 • LED 헤드라이트 • 경고등 • 경광등 • 경보등 • 등 • 등불 • 등화관제등 • 등화장치 • 라이트 • 라이트 캔버스 • 램프 • 레이저 • 레이저 라이트 • 룸램프 • 리어램프 • 멀티빔 • 무드등 • 미등 • 방향지시등(깜빡이) • 배니티램프 • 백열등 • 번호등 • 보조제동등 • 비상등 • 빔 • 사이드리피터 • 상단표시등 • 상향등 • 소등 • 손전등 • 실내등 • 실외등 • 안개등 • 앰비언트 라이트 •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 시스템 • 전구 • 전구색 • 전등 • 전등갓 • 전조등(헤드램프, 헤드라이트) • 점등 • 제동등(브레이크등, 정지등) • 조명 • 조명기구 • 조명기기 • 조명등 • 조명장비 • 조명장치 • 주간주행등 • 주광색 • 주백색 • 지능형 헤드램프 • 지도등 • 지시등 • 차폭등(마커램프) • 코너링 램프 • 콤비네이션 램프 • 파킹램프(주차등) • 팝업 헤드램프 • 표시등 • 픽셀 라이트 • 하이빔 어시스트 • 하향등 • 할로겐 램프 • 헤드램프 와이퍼 • 후미등(테일램프) • 후미안개등 • 후진등
|
|
인포테인먼트
|
3D 사운드 시스템 • 5.1 채널 • A/V • AVN • CD • CID • DMB • DVD • FaaS • LCD • LED • MBUX • OLED • RSE • USB • 고가 스피커 • 노이즈 캔슬링 • 돌비 • 돌비 비전 • 돌비 애트모스 • 뒷좌석 듀얼 모니터 • 디스플레이 • 디지털 디스플레이 • 라디오 • 렉시콘 사운드 • 리모컨 • 메르세데스 미 커넥트 프리미엄 패키지 • 메리디안 사운드 • 메리디안 엘리베이션 • 미드레인지 • 미드우퍼 • 바워스 앤 윌킨스 사운드 • 뱅앤올룹슨 사운드 • 보스 사운드 • 보이스 어시스턴트 • 부메스터 사운드 • 블루투스 • 빌트인캠 • 사운드 • 사운드 시스템 • 서라운드 사운드 • 서라운드 스피커 • 서브우퍼 • 센터 디스플레이 • 소너스 파베르 사운드 • 스크린 • 스피커 • 스피커 그릴 • 액티브사운드(전자배기음) • 앰프 • 오디오 • 온디맨드 • 온디맨드 인포테인먼트 • 우퍼 • 음성명령 • 음성인식 • 음성제어 • 음향기기 • 음향장비 • 인포테인먼트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컨트롤러 • 저가 스피커 • 중가 스피커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카PC • 카오디오 • 카폰 • 터치스크린 • 트위터 • 티박스 • 파워앰프 • 프로젝터 • 하만카돈 사운드 • 하이파이 • 하이퍼스크린 • 핸즈프리 • 햅틱 • 헤드유닛 • 화면
|
|
공조장치
|
PTC 히터 • 가습 • 가습기 • 공기청정기 • 난방 • 난방기(히터) • 냉각수 온도계 • 냉매 • 냉방기 • 도그모드(강아지모드, 애견모드) • 디포거(김 서림 방지 장치) • 선풍기 • 에어컨 • 에어컨필터 • 열교환기 • 예열 • 예열제상 • 온도계 • 응축기 • 이온발생기 • 제상 • 제습 • 제습기 • 증발기 • 컴프레서 • 투명히터 • 풀오토 에어컨
|
|
버튼과 스위치
|
근접스위치 • 레벨스위치 • 리드 스위치 • 리미트 스위치 • 마이크로 스위치 • 버저(부저) • 버튼 • 벨 • 볼륨 스위치 • 셀렉터 스위치 • 스위치 • 스피드 스위치 • 시동버튼(스타트 스위치) • 신호 • 신호음 • 썬루프 스위치 • 압력스위치 • 열선스위치 • 온도스위치 • 워크인 스위치 • 유량스위치 • 잠금장치 • 전기스위치 • 전조등 스위치 • 조이스틱 스위치 • 차일드락 • 창문 스위치 • 창문잠금장치 • 토글 스위치 • 트렁크 열림 버튼 • 파워윈도우 스위치 • 푸시버튼 스위치 • 하차벨 • 햅틱버튼
|
|
센서
|
MEMS센서 • 가상센서 • 가속도센서 • 가스센서 • 감압식 센서 • 공기질센서 • 광센서 • 근접센서 • 냉각수 온도센서 • 노크센서 • 녹스센서 • 라이다 • 레이다 • 레인센서(우적센서) • 바이오센서 • 배기가스온도센서 • 버클센서 • 산소센서 • 센서 • 소리센서 • 속도센서 • 스로틀 포지션 센서 • 습도센서 • 압력센서 • 액추에이터 • 에어백센서 • 에어플로우 센서 • 온도센서 • 유량센서 • 이미지센서 • 자율주행센서 • 자이로스코프(자이로센서) • 점유센서(점유감지센서) • 정전식 센서 • 조도센서(일사센서) • 조향각센서 • 주차보조센서 • 중력센서 • 지문센서 • 지자기센서 • 차량용 센서 • 초음파센서 • 충격센서 • 충돌방지센서 • 카메라센서 • 크랭크각 센서 •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 타이어 공기압 센서 • 타이어 압력 경고등 • 토크센서 • 하이트센서(차고센서) • 후방감지센서 • 흡기 온도센서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한국 자동차, 독일 자동차, 유럽 자동차, 미국 자동차, 중국 자동차, 일본 자동차,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색상,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자동차 관리,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
|
충전
|
고속충전 • 과방전 • 과충전 • 교류충전 • 급속 • 급속충전 • 도전 • 동시충전 • 무선충전 • 방전 • 선로 • 수소충전 • 순차충전 • 완속 • 완속충전 • 완전충전(완충) • 완전방전(완방) • 저속충전 • 직류충전 • 초고속충전 • 초급속충전 • 충방전 • 충전 • 충전상태 • 충전시간 • 트립
|
|
충전기
|
AC3상 • AC단상 • AC충전기 • DC충전기 • DC콤보 • DC콤보1 • DC콤보2 • J1772 어댑터 • 개인용 충전기 • 결합충전(CSS) • 계량기 • 고속충전기 • 공용충전기 • 과금형 콘센트 • 급속충전기 • 낙스(NACS) • 데스티네이션 차저 • 로봇충전기 • 무선충전기 • 무인충전기 • 미콘 • 방전건 • 벽걸이 충전기 • 분산형 충전기 • 비공용충전기 • 비상용 충전기 • 소켓 • 솔라루프 • 수소충전기 • 슈퍼차저 • 스탠드 릴형 충전기 • 스탠드형 충전기 • 어댑터 • 온보드차저 • 완속충전기 • 월차저 • 이동형 충전기 • 이브이라인 • 인렛 • 저속충전기 • 전기계량기 • 전기자동차 충전기 • 전용충전기 • 점프스타터 • 차데모(CHAdeMO) • 차지콘 • 초급속충전기 • 충전건 • 충전구 • 충전기 • 충전기 어댑터 • 충전요금 • 충전카드 • 충전케이블 • 충전포트 • 충전플러그 • 커넥터 • 콘센트 • 하이차저 • 휴대형 충전기
|
|
충전소
|
H 무빙 스테이션 • 급속충전소 • 수소충전소 • 완속충전소 • 전기충전소 • 초급속충전소 • 충전소 • 캐노피
|
|
충전 서비스
|
나이스차저 • 모두의충전 • 아이파킹 • 알차저 • 에스에스차저 • 이밥(eBAB) • 이볼트 • 이온 • 이브이라운지 • 이브이인프라 • 이브이플러그 • 이비랑 • 이피트 • 일렉베리 • 조이이브이 • 지차저 • 충전국밥 • 케이차저 • 켑코플러그 • 한화모티브 • 해피차저 • 헬로플러그인 • 휴맥스차저
|
|
한국 충전기 회사
|
남부산전㈜ • 남부솔루션㈜ • 대영채비㈜ • ㈜대유플러스 • ㈜레드이엔지 • ㈜매니지온 • ㈜맥플러스 • ㈜모던텍 • 모트렉스이브이㈜ • 보타리에너지㈜ • ㈜삼성이브이씨 • ㈜새누 • ㈜설악에너텍 • 성민기업 • ㈜소프트베리 • ㈜스마트포트테크놀로지 • ㈜스칼라데이터 • ㈜스타코프 • ㈜스필 • ㈜씨어스 • 아우토크립트㈜ • ㈜애플망고 • ㈜에바 • ㈜에버온 • ㈜에스이피 • 에스케이브로드밴드㈜ • 에스케이시그넷㈜ • 에스트래픽㈜ • 에이치엘비생명과학㈜ • 에이치엘비일렉㈜ • 엘에스이링크㈜ • ㈜엘지헬로비전 • 와이더블유모바일㈜ • 옴니시스템㈜ • ㈜이노케이텍 • ㈜이엔 • ㈜이엔에이치에너지 • 이엔테크놀로지㈜ • ㈜이지차저 • ㈜이카플러그 • ㈜인피니티웍스 •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 조이이브이 • ㈜종하아이앤씨 • 중앙제어㈜ • 지에스에너지㈜ • 지에스칼텍스㈜ • ㈜지엔텔 • 지에스커넥트㈜ • ㈜차지비 • ㈜차지인 • ㈜참빛이브이씨 • 코하이젠㈜ • ㈜클린일렉스 • ㈜타디스테크놀로지 • ㈜티비유 • ㈜티엘컴퍼니 • ㈜파워큐브코리아 • 파킹클라우드㈜ • ㈜펌프킨 • ㈜플러그링크 • 하이넷(수소에너지네트워크㈜) •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 •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 한국전력공사 • 한국전자금융㈜ • ㈜한국충전연합 • 한국컴퓨터㈜ • 한국홈충전기렌탈㈜ • 한화솔루션㈜ • 홈앤서비스㈜ • ㈜휴맥스이브이
|
|
글로벌 충전기 회사
|
ABB • RWE • 과사달 • 국가전망 • 도쿄전력㈜ • 로열더치쉘 • 만마고분 • 베바스토 • 브리티시페트롤리엄 • 비티씨파워 • 성성충전 • 솔라엣지 • 아이오니티 • 에파섹 • 이브이고(EV고) • 일렉트리파이 아메리카 • 지멘스 • 차지포인트 • 특래전 • 특예덕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