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
조선 선조(宣祖)는 조선의 제14대 왕으로, 초명은 균(鈞)이며,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개요
- 조선 선조는 조선 제14대 왕(재위 1567∼1608)이다. 처음에는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했고 여러 전적(典籍)을 간행해 유학을 장려했다. 후에 정치인들의 분열로 당파가 나타나 당쟁 속에 정치 기강이 무너져 혼란을 겪었다. 재위 후반에 왜군의 침입(임진왜란 1592~1598)과 건주 야인(여진족)의 침입도 받았다. 본관은 전주, 어렸을 때의 이름은 이균(李鈞)이었으나 후에 이연(李昖)으로 바꾸었다. 시호는 소경(昭敬)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의 셋째 아들이니 즉 중종의 손자(셋째 아들 계)이다(중종의 첫째 아들은 12대 인종, 둘째 아들은 13대 명종). 어머니는 영의정(贈領議政)에 추증된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며, 비(妃)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 계비(繼妃)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처음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다. 1552년 11월 서울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고, 명종이 후사(後嗣)가 없이 죽자 1567(명종 22)년 16세에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에도 학문에 정진하였다. 나이가 어려 처음에는 명종의 비 인순왕후 심씨(沈氏)가 수렴청정하다가 1568년부터 친정을 하였다. 그가 왕위에 오름에 따라 아버지가 대원군으로 봉해짐으로써 조선에서 처음으로 대원군제도가 시행되었다. 평상시의 생활이 다른 왕들과는 달리 매우 검소하였으며 학문뿐만 아니라 그림과 글씨의 재능도 뛰어났다. 능호는 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東九陵) 내에 있다.[1]
- 조선 선조는 조선의 제14대 국왕(재위 : 1567년 음력 7월 3일 ~1608년 음력 2월 1일)이다. 휘는 연(昖), 초명은 균(鈞),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즉위전의 작호는 하성군(河城君)이었다. 중종의 여덟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다. 이복 숙부인 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명종의 양자로서 왕위를 계승하였다. 부모가 왕과 왕비가 아닌 최초의 서자가문 출신의 왕이며, 조선 최초의 방계 혈통의 왕이기도 하다. 재위 기간 중, 사림에 의한 정계 장악이 확고해진 후, 1575년에 동서분당 사건으로 인해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되어 정당들이 경쟁을 시작하였다. 1589년에는 정여립이 연루된 기축옥사가 발생하여 많은 인재들이 숙청되는 일이 있었다. 또한, 1592년에 일본의 침입으로 발발한 임진왜란이 7년간 이어지며 국토가 황폐화되고 전국이 전쟁터가 되어 개국 이래 200년 만에 내외적으로 가장 혼란한 상황을 맞았다.[2]
- 조선 선조는 조선의 제14대 국왕이다. 묘호는 선조(宣祖), 시호는 소경정륜립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경명신력홍공융업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景命神曆弘功隆業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휘는 연(昖). 조선 최초의 방계 왕족 출신 국왕이다. 명종의 유일한 친아들 순회세자가 요절하자 종친 가운데 덕흥군의 셋째 아들인 하성군이 후사로 선택되어 명종과 인순왕후의 양자로 들어가 명종의 뒤를 이었다. 초창기에는 숙모이자 법적 어머니인 인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했지만 곧 철렴하고 1년 만에 친정을 하게 된다. 조선 역사의 중간에 위치한 임금으로 왕위 계승도를 보면 선조와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계보도가 전기와 후기로 나뉜다. 이후의 조선 임금들은 모두 선조의 직계 후손이다.[3] 본관은 전주, 중종(中宗)의 손자로서, 덕흥 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岧)의 셋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정세호(鄭世虎)의 딸 하동 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다.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 왕후(懿仁王后)와 가례를 올렸고, 의인 왕후가 일찍 승하하자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 왕후(仁穆王后)와 다시 가례를 올렸다. 의인 왕후와의 사이에서는 자식을 두지 못하였으며, 공빈 김씨와의 사이에서 임해군과 광해군을 두었다. 이후 인목 왕후로부터 영창 대군과 정명 공주를 얻었다. 그 외 후궁들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들까지 포함하면, 총 14명의 아들과 11명의 딸을 두었다.
- 조선 선조는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균(鈞), 뒤에 연(昖)으로 개명하였다. 1552년 11월 11일 한성(漢城)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다.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조(岧)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영의정(贈領議政)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다. 비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이며, 계비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재위 기간은 1567∼1608년이며, 명종이 후사 없이 죽자 즉위했다. 즉위 초부터 사화를 입은 사림들을 신원하고 이황·이이 등을 중용하여 침체된 정국에 활기를 불어넣으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사림들은 파벌로 갈라져 당쟁이 극심해졌고 국력은 더욱 쇠잔해졌다. 이 와중에 정여립의 모반사건도 일어났다. 1592년에 발발한 임진왜란과 뒤이은 정유재란으로 나라 전체가 황폐해지는 수난을 겪었다. 왜란 후 전후 복구사업에 힘을 기울였으나 당쟁은 그치지 않았다. 능호는 목릉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4]
조선 선조의 생애
- 선조는 1552년 음력 11월 11일 중종의 서자 덕흥대원군 초(岹)와 하동부대부인의 셋째 아들로 한성 인달방 도정궁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이균이었으나 이연으로 바꾸었으며,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다. 명종의 외동 아들이었던 순회세자가 1563년(명종 18년) 13세의 어린 나이로 죽은 뒤 명종의 총애를 받았다. 하성군(훗날 선조)은 총명하고 겸손하였기에 이 점을 높이 산 명종은 잠정적으로 후사로 낙점하였던 것으로는 보이나 공식적으로는 후계자로 지명한 적은 없다. 《선조실록》, 《연려실기술》 등에는 명종이 여러 왕손들 중에 하성군(훗날 선조)을 총애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명종이 덕흥대원군의 아들 3명을 불러들인 후 머리 크기를 살펴보고자 한다는 이유를 들어 임금인 자신이 쓰는 익선관을 써보라 명하였다. 하성군의 형이었던 하원군과 하릉군은 바로 익선관을 써 보였다. 하지만, 막내였던 하성군만은 왕이 쓰는 익선관을 함부로 쓸 수 없다 하며 삼가 물러났다고 한다. 이를 본 명종은 매우 흡족해하였고, 이후 하성군을 총애하였다고 한다.
- 조선 선조는 재위 초기에 조선 전기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의 갈등 속에서 억울하게 희생당한 사림들을 신원(伸寃)하여 주었고, 반대로 선비들에게 해를 입힌 훈구세력들에게는 벌을 내려 사림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리하여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를 증직(贈職: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높여주던 일)하고 그에게 피해를 입힌 남곤(南袞)의 관작은 추탈(追奪:죽은 사람의 죄를 논하여 살았을 때의 벼슬 이름을 깎아 없앰)하였으며, 을사사화 때 윤임(尹任) 등을 죽인 윤원형(尹元衡)의 공적을 삭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사림들에게 중앙정계 진출이라는 명분을 확보해 주어 새로운 인물들이 등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인재 등용에 과거 성적에만 의존하지 않고 학행이 뛰어난 사람을 중용하려고 애썼다. 따라서 이황(李滉) 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들이 등용되어 국정을 쇄신하였고, 유학의 장려에 필요한 《유선록(儒先錄)》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삼강행실(三綱行實)》 등의 책들도 편찬하였다. 조선의 숙원이었던 종계변무(宗系辨誣) 문제도 해결하였다. 종계변무는 중국 명나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李成桂)가 이인임(李仁任)의 후예라고 잘못 기록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역대 왕들이 이를 수정하고자 하였으나 번번이 실패하였고, 선조 때에 이르러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음으로써 계통을 바르게 하였다.
- 일본의 움직임이 수상하여 1590년 일본에 파견되었다가 돌아온 통신사 황윤길(黃允吉)과 부사 김성일(金誠一)의 서로 다른 동향 보고에 의해 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가,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선조는 왜군의 한양 입성이 임박해오자 의주까지 피난하였으며, 그 도중에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여 분조(分朝)하고, 명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여 원군이 들어와 왜군 격퇴에 일조하였다. 이후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항쟁과 적의 해상 보급로를 끊어버린 이순신의 활약, 권율(權慄)의 행주대첩 등은 전세(戰勢)를 바꿔놓아 일본군의 퇴각을 이끌어 내었다. 전쟁 중에도 파당에 의한 갈등으로 인물 등용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1593(선조 26) 임진왜란이 극도에 달하자 호조의 건의로 납속사목(納粟事目)을 정하고, 이에 따라 정부의 부족한 군량이나 군사를 보충하였다. 1594년에는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다. 또한 군공사목(軍功事目)을 정하여 군공을 세운 자에게도 논공을 하였다. 한편, 훈련도감(訓練都監)을 설치하여 군사력을 증진시키고 군사훈련을 강화하여 조총 사용법, 탄환 제조법 교육에도 힘썼다.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에는 민심을 안정시키고 적의 재침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백성들의 진휼에도 힘썼다. 전후 복구사업에도 힘을 기울였으나 실질적인 복구사업은 그의 뒤를 이은 광해군에 의해 추진되었다. 말년에 적자(嫡子)인 영창대군으로 하여금 자신의 뒤를 잇게 하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경운궁(慶運宮)에서 승하하였다.
선조국문유서
- 선조국문유서(宣祖國文諭書)는 조선 선조가 1593년 임진왜란으로 파천(播遷)하여 의주행재소(義州行在所)에 있을 때 백성에게 내린 교서. 1988년 6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필사본(筆寫本:원본), 1점이다. 크기는 세로 48.8cm, 가로 75cm이다. 김해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자색 닥지(楮紙)에 국문으로 쓴 12행의 교서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당시 김해수성장(金海守城將) 권탁(權卓:1544∼1593)이 이 교서를 가지고 포로로 가장, 적진에 잠입해서 왜군 수십 명을 죽이고 동포 100여 명을 구출하여 나왔는데, 그뒤 이 교서는 권탁의 후손들이 보관해 왔다. 임진왜란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될 뿐만 아니라, 국문으로 쓰여져 국문학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조선 선조 태실비
- 선조대왕 태실비(宣祖大王 胎室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태실비(胎室碑).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태실(胎室)은 왕실에서 태를 묻던 곳을 말한다. 1570년(선조 3) 안태사(安胎使) 송린수(宋麟壽)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 태봉산 꼭대기에 선조(宣祖)의 태함(胎函)을 안치하고 비를 세웠다. 세월이 지나 글자가 지워지자 1747년(영조 23)에 다시 세웠으며, 비에는 〈宣祖大王胎室(선조대왕태실)〉이라고 적혀 있다. 현재는 오덕사(五德寺) 경내에 있다.
목릉
- 조선왕조 14대 임금인 선조와 정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 세 사람의 능이다. 동구릉에서 가장 동북쪽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목릉이 최초로 조성된 것은 1600년이다. 선조의 첫 번째 왕비인 의인왕후 박씨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인 1600년(선조 33년)에 세상을 떠나자, 현재의 자리에 유릉(裕陵)이라는 능호로 능을 조성하였다. 이후 선조가 1608년(광해군 즉위년) 2월에 세상을 떠나자, 1608년 2월 25일에 능호를 숙릉(肅陵)이라고 하였으나 조선왕조실록기사, 태조의 증조모 정숙왕후의 능호 숙릉(淑陵)과 음이 같다고 하여 5월 19일에 능호를 목릉(穆陵)으로 고쳤다. 1632년(인조 10년)에 선조의 2번째 왕비인 인목왕후 김씨가 세상을 떠나자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는데, 이 인목왕후릉은 의인왕후릉이나 선조릉과는 조금 떨어져 있어서 혜릉(惠陵)이라는 별도의 능호를 정하였다가 목릉과 능역을 합치자는 의논으로 인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고, 능호도 목릉으로 통일되었다.
동영상
각주
참고자료
- 〈선조(조선)〉, 《나무위키》
- 〈선조 (조선)〉, 《위키백과》
- 〈선조〉, 《향토문화전자대전》
- 〈선조(조선)/평가〉, 《나무위키》
- 〈선조(宣祖,1552~1608)〉, 《두산백과》
- 〈선조(宣祖)〉,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롱롱기린, 〈선조 가계도 조선 14대 임금 주요 업적 소개〉, 《네이버블로그》, 2024-09-02
- 후밍, 〈선조 가계도 : 조선 왕 제14대 업적〉, 《네이버블로그》, 2024-02-29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