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의상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상

의상(義湘)은 신라 시대의 승려로 화엄종(華嚴宗)의 개조이다.

개요[편집]

  • 의상당나라에서 화엄종을 연구하고 돌아와 10여 개의 사찰을 건립하고 화엄의 교종을 확립하는데 힘썼다. 저서에《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등이 있다. 성(姓)은 김씨(金氏)이며, 아버지는 한신(韓信)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이름의 한자 표기가 '義湘(의상)'으로 되어 있지만, '義相(의상)'이나 '義想(의상)'으로 기록되어 있는 문헌도 있다. 625년(진평왕 47년)에 경주에서 태어나, 644년(선덕여왕 13년) 황복사(皇福寺)에서 출가해 승려가 되었다. 650년 원효(元曉)와 함께 현장(玄奘)이 인도에서 새로 들여온 신유식(新唯識)을 배우기 위해 중국의 당(唐) 나라로 유학을 떠나려 했으나 요동(遼東)에서 첩자(諜者)로 몰려 사로잡히면서 실패하고 신라로 되돌아왔다. 그러나 661년(문무왕 원년)에 당의 사신을 따라 뱃길로 중국 유학을 떠났고, 양주(揚州)에 머무르다가 이듬해부터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서 중국 화엄종(華嚴宗)의 2대 조사(祖師)인 지엄(智儼, 602∼668)에게서 화엄(華嚴) 사상을 배웠다. 668년 7언(言) 30구(句) 210자(字)로 화엄사상의 핵심을 도인(圖印)으로 나타낸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저술하였다.[1]
  • 의상은 신라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작가이자 철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화엄종 제2대 조사인 지엄(至嚴)으로부터 화엄종(華嚴宗)을 수학하고 법통을 이어받았다. 또한,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시조이며, 속성은 김(金)혹은 박(朴)씨라고 한다. 호는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이다. 아버지는 신라의 진골 귀족 김한신 장군이다. 의상은 670년(문무왕 10)에 귀국하여 관음굴(觀音窟: 낙산사)에서 백일을 기도하고 676년에 왕의 뜻을 받아 봉황산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교학을 강술하여 화엄종(해동 화엄종)의 시조가 되었다. 692년(효소왕 1)에 현수는 승전(勝詮)이 귀국할 때 그의 저술 《화엄경탐현기》와 그 비판을 구하는 서신을 의상에게 보냈는데, 그 친필 서신이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의상은 문하에게 이것을 나누어 강술하면서 전교(傳敎)에 전심하다 죽었다. 사망 당시 향년 78세였다. 후일 고려 숙종은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 시호하였다. 화엄경의 무애 사상등으로 잘 알려진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와 동문수학하여 연배인 원효와 사형제지간(師兄弟之間)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
  • 의상은 삼국시대 화엄종의 개조이자 화엄십찰의 건립자인 승려이다. 성은 김씨. 법명은 의상(義湘). 아버지는 한신(韓信)이다.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이자 화엄십찰의 건립자이다. 그는 황복사에서 『화엄일승법계도』를 가르쳤고, 부석사에서 40일간의 법회를 열고 일승십지(一乘十地)에 대하여 문답하였으며, 소백산 추동(錐洞)에서 『화엄경』을 90일간 강의하였다. 지통의 『추동기(錐洞記)』, 도신의 『도신장(道身章)』 등은 그의 강의를 기록한 문헌들이고, 표훈의 『오관석(五觀釋)』과 진정의 『삼문석(三門釋)』은 그로부터 『화엄일승법계도』를 배우고 지은 것이다. 그는 강의와 수행에 전력했으며 의정(義淨)의 세예법(洗穢法)을 실행하여 수건을 쓰지 않았고 의복·병(甁)·발우, 세 가지만 지녔다. 문무왕이 장전(莊田)과 노복(奴僕)을 베풀자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문무왕이 성곽을 쌓으려 한다는 소식을 듣고는 왕의 정교(政敎)를 밝히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글을 올려 역사(役事)를 중지시켰다. 저술로는 『십문간법관(十門看法觀)』 1권,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鈔記)』 1권, 『소아미타의기(小阿彌陀義記)』 1권, 『화엄일승법계도』 1권, 『백화도량발원문』 1권 및 최근 발견된 『일승발원문(一乘發願文)』 등이 있다.[3]
  • 의상신라의 승려이다. 속명은 김일지(金日之). 동시대에 활동한 고승인 원효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고대 한국 불교계의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고승으로 신라십성(新羅十聖) 중 한 명이다. 시호는 고려 숙종이 내린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이다. 원효대사와는 같은 시기 사람이고, 유명한 해골물 신화부터 시작해 오랜 세월이 지난 조선 시대에는 형제라고 잘못 알려질 정도로 엮이는 부분이 많지만 두 사람의 성향은 너무도 달랐다. [4] 의상은 화엄 경전을 중심으로 불교를 공부한 학승의 면모가 강하다. 또한 그 자신이 신라 최고 지배층인 진골귀족 출신이라 지배층 중심의 고급 불교를 추구했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 한때 의상의 화엄학이 신라 중대 강력한 왕권을 뒷받침하는 사상으로 활용되었다는 주장이 일반화되기도 한 것이 대표적이다. 의상은 누구나 믿고, 또 모두를 위한 불교를 신라에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제 그의 문하에서는 세속의 신분을 따지지 않고 출가한 순서대로 위아래를 정하였는데, 이는 불교의 평등적 인간관을 직접 실천하려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의상의 화엄 사상은 교학으로서의 이론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직접 실천하여 평등과 조화의 세계를 구현하려 한 것이었고, 이러한 그의 사상은 삼국을 통일함으로써 커진 신라 사회를 통합시키고 안정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평생을 교학 연구와 수행, 그리고 실천에 바쳐온 의상은 702년(효소왕 11) 입적(入寂)했다. 하지만 그의 뜻은 제자들을 통해, 그리고 화엄종을 통해 이어져 내려갔다.

화엄사상[편집]

  • 의상은 '해동화엄(海東華嚴)의 초조(初祖)'라는 별칭처럼 화엄사상의 발전과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의 사상은 중국과 일본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중국에서 법장(法藏, 643~712)이 화엄종의 교리를 집대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는 법장이 의상에게 보낸 서신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특히 의상은 개인적 저술과 교화 활동을 중심으로 했던 원효와는 달리 부석사를 중심으로 수많은 제자들을 양성해 화엄교단을 세웠는데, 이는 통일 이후의 사회적 혼란 속에서 불교가 왕권의 안정적 운영과 사회적 통합의 이념적 기반으로 역할을 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 의상의 화엄사상은 그가 668년에 저술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에 압축적으로 담겨 있다.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 '법계도(法界圖)', '법도장(法圖章)', '법성도(法性圖)', '해인도(海印圖)' 등으로도 불리는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는 화엄 사상의 핵심을 7언 30구의 운문(韻文)으로 나타낸 것이다. 게송(偈頌)들은 4개의 '회(回)'자 모양의 도인(圖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글자인 '법(法)'과 마지막 글자인 '불(佛)'이 가운데에서 다시 만나 이어진다. 각 게송(偈頌)과 그것들의 배열은 <화엄경(華嚴經)>의 근본정신과 깨달음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어, <화엄경>의 핵심 내용을 가장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 화엄종(華嚴宗)은 천태종(天台宗)과 더불어 중국 불교 교학(敎學)의 쌍벽을 이루고 있는 종파이며, <화엄경(華嚴經)>을 주요 경전으로 삼아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화엄종은 모든 존재와 현상들이 서로 끊임없이 연관되어 있으며, 그대로가 바로 불성(佛性)의 드러남이라고 하는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과 '성기설(性起說)'을 주장해 '법계종'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법계(法界)의 연기(緣起)에서 존재의 본체인 '리(理)'와 현상인 '사(事)'는 서로 장애가 되지 않으며, '사(事)'와 '사(事)' 또한 서로 원융(圓融)한다는 '이사무애(理事無碍)'와 '사사무애(事事無碍)'를 강조한다. 곧 화엄사상은 '하나가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여서 우주 만물이 서로 원융(圓融)하여 무한하고 끝없는 조화를 이룬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 의상은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에서 이러한 화엄사상의 핵심을 압축해서 나타내고 있을 뿐 아니라, '이리상즉설(理理相卽說)' 등 독창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의상의 법계연기설은 '리(理)'도 '사(事)'처럼 차별적인 것임을 인정하여 '이리무애(理理無礙)'까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나 속에 일체가 있고 일체 속에 하나가 있으며, 하나가 곧 일체요 일체가 곧 하나(一中一切多中一 一卽一切多卽一)'라는 구절은 모든 것들이 서로 의존하고 관계를 맺고 있다는 '상즉상입(相卽相入)'의 연기(緣起)를 나타낸다.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존재하므로 하나가 없으면 일체도 있을 수 없고, 마찬가지로 일체가 없으면 하나도 있을 수 없다. 결국 하나와 일체는 서로를 포용하며 장애가 되지 않는다. 하나와 일체가 서로 상호의존적인 관계에서 서로를 인정해야 성립할 수 있다는 상즉상입(相卽相入)의 연기설은 모든 개체의 평등과 조화를 지향한다. 그리고 모든 것이 인연에 따라 이루어져 고정된 본성이 없으므로 분별이 없는 중도(中道)에 일체의 법이 있게 된다. 또한 중도에 따라 흔들림 없이 본래부터 고요한 법성(法性)을 깨달으면 그를 일러 부처라 한다고 하여, 모든 것이 불성의 현현(顯現)이라는 '성기설(性起說)'을 강조한다. 이처럼 의상의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은 중도를 강조하며 개체의 독자성과 개체 간의 융합을 동시에 인정하는 특색을 지니고 있고, 이는 중생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모두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衆生隨器得利益)는 가르침으로 나타났다.

청량산 의상굴[편집]

  • 청량산 의상굴(淸凉山義湘窟)은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에 있는 청량산 장인봉에 자리한 굴로, 화엄종의 개조(開祖)인 신라시대 승려 의상대사가 입산수도(入山修道)할 때 머물던 곳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에 자리한 청량산 장인봉(870m) 의상암(義湘菴) 뒤에 있다. 화엄종의 개조(開祖)인 의상대사가 입산(入山)하여 도를 닦을 때 생활하던 곳이라고 한다. 의상(義湘, 625~702)은 644년(선덕여왕 13) 황복사(皇福寺)에서 승려가 되었다. 661년(문무왕 1) 바닷길로 당(唐)나라에 가서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화엄종을 연구하고 670년 귀국했다. 676년(문무왕 16) 왕명을 받아 부석사(浮石寺)를 짓고 화엄종을 강론, 해동(海東)화엄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그 후 전국에 10여 개의 화엄종 사찰을 세워 화엄의 교종을 확립하는 일에 힘썼다.

오척신사상[편집]

  • 오척신사상(五尺身思想)은 신라시대 승려 의상(義湘)의 후기 실천론의 핵심이 되는 사상이다. 의상의 사상은 크게 전기와 후기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중국 화엄종 2대 조사인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수학한 후 《법계도 法界圖》를 저술하기까지의 기간을 전기사상이라고 보며, 신라로 돌아와 화엄종을 개창하고 제자를 양성한 이후의 시기를 후기사상으로 규정한다. 의상의 후기사상은 주로 통일시기 신라 사회의 안정을 위한 종교적 이념의 성향이 짙었다. 그는 백성들이 직접 불교의 교리를 실천할 수 있게끔 하는 사상적 지표를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실천론 사상의 핵심이 되는 이론이 바로 자신의 몸을 강조한 오척신(五尺身) 사상이다.

법계도[편집]

  • 법계도(法界圖)는 신라의 승려 의상(義湘)이 《화엄경(華嚴經)》의 요지(要旨)를 개시(開示)한 책이다. 활자본, 1권 1책이다. 문무왕 때 당(唐)나라에 유학 중 668년(문무왕) 7월 15일에 화엄사상의 요지를 집약한 책으로, 7언(言) 30구(句) 210자(字)의 게문(偈文)을 45각(角) 인도(印圖)로 만든 것이다. 이 인장(印章)은 자증(自證) 내용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직관(直觀)에 의하는 외에는 다른 사람이 알 수 없는 것이며, 제자 등이 수업(修業)을 통하여 성취한 뒤에 각증(覺證)의 인가(印可)로서 수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도인(圖印)의 대의(大義)란, 불타 교법의 3종세간(三種世間)은 해인삼매(海印三昧)에서 더욱 나타나는 것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3세간(三世間)의 일체법(一切法)을 섭진(攝盡)하여 남음이 없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어 인상(印相)을 3단(段)으로 나누어 해석하고 있는데, 1단은 인문상(印文相)을, 2단은 자상(字相)을 밝히고 3단은 문의(文意)를 주석(註釋)하고 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의상(義湘 相, 625~702)〉, 《두산백과》
  2. 의상 (신라)〉, 《위키백과》
  3. 의상(義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의상(신라)〉,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의상 문서는 역사인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