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팔랑카라야

위키원
grpia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9월 19일 (목) 14:23 판 (새 문서: {{동남아시아 위치 지도}} 썸네일|300픽셀|'''팔랑카라야''' 파일:팔랑카라야 위치.jpg|썸네일|300픽셀|'''팔랑카라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팔랑카라야
팔랑카라야 위치

팔랑카라야(인도네시아어: Palangka Raya)는 인도네시아 중앙칼리만탄주의 주도로, 인구는 약 30만 명이다. 팔랑카라야의 면적은 2,853.12km²로 인도네시아에서 육지 면적으로 가장 큰 도시이며 자카르타의 약 4배이다.[1]

개요

팔랑카라야는 보르네오섬(Borneo) 남서부에 위치한다.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이고 농업, 어업, 임업, 광업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 등이 채굴된다. 19세기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오늘날 중부칼리만탄에서 유일한 시이다. 주도이자 주 최대 도시로 공항을 갖추고 있어 교통의 중심지이고, 대학교가 소재하고 있다. 도심에서 동쪽으로 약 9km 거리에 칠릭 리윗 공항(Tjilik Riwut Airport)이 위치한다.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을 지낸 수카르노가 자카르타를 대신할 인도네시아의 새 수도로 삼았던 곳이기도 하다.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2019년 4월 29일 오후 각료회의에서 수도 이전 계획을 승인했다. 수도 자카르타의 인구가 과밀한 데다 지구온난화 등으로 연례적으로 침수 피해를 겪어와 사회적 손실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총 330억달러(38조40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수도를 옮길 계획이다. 새 수도 후보지로는 자카르타에서 동북쪽으로 900km쯤 떨어진 보르네오섬의 팔랑카라야 시가 거론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수도 이전 예정지로 보르네오섬 인도네시아령 칼리만탄이 낙점됐다. 밤방 브로조느고로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기획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칼리만탄에 행정수도를 건설하기로 조코 위도도(일명 조코위) 대통령이 결정했다"고 밝혔다고 자카르타포스트 등이 2019년 7월 31일 보도했다. 밤방 장관은 "새로운 수도는 칼리만탄이 될 것이며, (정확한) 지역은 나중에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행정수도 건설 1단계에서는 인구 150만 명을 수용한다는 계획이며, 이 중에는 20만 명의 공무원과 2만5천여 명의 경찰과 군 병력이 포함된다. 신행정수도 건설비용은 대략 330억 달러(40조원)로 추산된다. 도시는 보르네오섬의 원주민인 다야크(Dayak)족과 자바(Java)섬 북동쪽에 위치한 마두라(Madura)섬 출신 이주민인 마두라족 사이에서 2001년 2∼3월 인종폭동이 발생했던 장소이다. 이 폭동으로 다야크족의 학살극이 자행되자, 칼리만탄(보르네오섬 중에서 인도네시아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 일대에 거주하였던 마두라족 수천 명이 다른 섬 지역으로 대피하였다.[2]

팔랑카라야는 2020년 1월 63개의 도시공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공원은 파한두트, 제칸 라야, 세방아우 구에 흩어져 있었다. 카하얀 다리 옆 도시공원에서는 문화행사가 종종 열린다. 세방아우 구에는 2004년 설립된 세방아우 국립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발랑가 박물관에는 다야크 사람들의 역사와 문화에 초점을 맞춘 소장품들이 있다. 1973년에 지어졌고 1990년에 취임했다. 다야크 문화 보존은 도가 매년 5월과 6월에 개최하는 이센물랑 축제 등 문화 행사와 축제를 통해 추진해 왔다. 이후 말레이 문화를 기념하는 축제 등 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2020년 다른 축제가 열렸다.

지리 및 기후

팔랑카라야는 북쪽으로는 구릉 마스 섭시(Gunung Mas Regency), 서쪽으로는 카팅안 섭시(Katingan Regency), 남쪽과 동쪽으로는 풀랑 피사우 섭시(Pulang Pisau Regency)와 접한다. 이 지역의 토양은 남부 지역에서 주로 이탄과 충적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 북부에서는 포드졸 토양이 주를 이룬다. 도시의 지형은 대부분 평탄한 편으로 일반 경사가 40%도 안 된다. 팔랑카라야는 대부분 해발 35m 정도에 위치해 있다. 도시 내 10,722.15ha가 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9,722.15ha가 생산림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밖에 국립공원 6만3816.40ha, 자연보호구역 1771.13ha, 자연보존구역 726.20ha 등도 있다.

팔랑카라야는 열대우림 기후(Af)로 일년 내내 비가 많이 온다. 기상학, 기후학, 지구물리학 에이전시에 따르면 팔랑카 라야의 평균 온도는 27.28°C(81.10°F)이고, 최저 온도는 21.4°C(70.5°F), 최고 온도는 35.2°C(95.4°F)이다. 습기는 65~95%로 연평균 82.89%이다. 바람은 보통 2~22노트 사이로 흐르는데, 연평균은 5.3노트다. 풍속은 8월과 11월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3]

역사

네덜란드령 동인도 문서에 따르면, 파한두트(Pahandut) 마을의 존재는 1823년 카하얀강(Kahayan)과 카푸아스강(Kapuas)을 탐험하던 네덜란드 탐험가 자차리아스 하트만(Zacharias Hartman)이 발견한 것이다. 이는 마을이 이전에 바자르(Banjar) 술탄국에 속해 있었으며, 1787년 술탄 타흐미둘라 2세(Sultan Tahmidullah II)와의 협정에 따라 네덜란드 보호령이 되었다는 주장과 상충된다. 이 지역은 1817년 술탄 술라이먼(Sultan Sulaiman)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임대한 것이며, 1826년 5월 4일 반자르의 술탄 아담가 서명한 계약에 따라 네덜란드에 양도된 것이다.

이 지역은 1849년 8월 27일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의 결정에 따라 통합된 것이다. 네덜란드의 통치는 이 지역에서 약했으며, 1849년 라덴 자이자(Raden Djaija)와 팸바칼 술릴(Pambakal Sulil)의 반란과 같은 여러 원주민 통치자의 반란이 발생했다. 이 지역은 반자르마신(Banjarmasin) 전쟁이라고 불리는 네덜란드 통치에 대한 계승 분쟁과 충돌을 겪었다. 1894년 다야크(Dayak) 부족간의 헤드헌팅 관행을 종식시키기 위한 텀빵 아노이 평화만들기 협정에서 파한두트 마을은 8개의 긴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기간 동안, 1946년 1월 17일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TNI/MN 1001 부대)과 네덜란드령 동인도 군대 사이에 이 지역에서 무장 충돌이 발생했다.

중부칼리만탄주는 1957년 5월 23일에 설립된 것이다. 처음에는 중부칼리만탄주의 수도가 어디에 위치해야 할지 합의되지 않았고, 이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중부 칼리만탄의 대행 주지사인 밀라노(Milono)는 이 문제를 지역의 여러 원주민 단체와 문화 인사들과 논의했다. 그러나 이는 각기 자신의 지역이 수도로 선택되기를 원하는 여러 원주민 부족과 단체들 사이에 긴장을 불러일으켰다. 1957년 1월 23일,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이 위원회는 주로 다야크 문화 인사들로 구성되었고, 군사 인사들인 티질리크 리우트(Tjilik Riwut)와 네덜란드 출신의 건축가 반 데르 피일(D.A.W. Van Der Pijl)도 포함되었다. 이 위원회의 회의에서, 부족 간의 문화적 연관성을 피하고 갈등을 피하기 위해 피한두트 마을이 수도로 결정되었다. 당시 마을의 인구는 약 900명 정도였다.

중부칼리만탄주의 수도인 팔랑카라야 시의 개발 첫 기둥은 1957년 7월 17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대통령인 수카르노(Sukarno)에 의해 세워졌으며, 이는 피한두트에 주 수도 기념비를 세운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그 후, 1958년 법률 제21호에 따라 피한두트는 팔랑카라야(Palangka Raya) 시로 개명되었으며, 주 수도의 지위를 유지했다. 도시의 건설은 당시 중부 칼리만탄 주지사가 된 티질리크 리우트(Tjilik Riwut)에 의해 직접 이끌어졌다. 그는 이 도시가 식민지 유산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처음에는 주민들 사이에서 그가 아무것도 없는 곳에 도시를 건설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1960년 1월 1일, 이 도시는 공식적으로 중부 칼리만탄의 수도가 되었으며, 임시 수도였던 반자르마신에서 이전되었다. 1962년 말까지, 도시는 학교, 정부 청사, 도심 도로, 주거 지역과 같은 기본 인프라의 건설을 대부분 완료했으며, 약 500개의 건물이 건설되었다.

1965년 7월 23일, 이 도시는 공식적으로 시의 지위를 얻었고, 자체 시 정부를 구성했다. 이 도시는 특히 지역의 지형이 늪지와 이탄으로 지배되었기 때문에 소련 군대의 도움을 받아 건설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9월 30일 운동, 수카르노에 대한 쿠데타, 그리고 그 뒤 이어진 공산주의 숙청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공산주의자로 몰릴 것을 우려해 많은 지역 노동자들이 사직하고 일을 포기했고 탕클링 마을에 도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숲과 이탄지로 둘러싸인 도시는 건기 동안 특히 2015년과 2019년에 연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2015년에는 연무로 인해 하늘이 노랗게 변하고 도로 교통에 영향을 미쳤다.

2019년에는 연무로 인해 여러 사람들이 도시를 대피해야 했다. 산불과 연무는 매년 도시의 위협이 되었으며, 시 정부는 산불과 연무를 처리하기 위해 특별 기관을 설립했다. 시 정부는 2019년에 산불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 주변에 23개의 운하와 3개의 저수지를 건설했다.

도시는 2019년 페나잠 북파서 리젠시(Penajam North Paser Regency)와 쿠타이 카르타네가라 리젠시(Kutai Kartanegara Regency)가 모두 동칼리만탄(East Kalimantan)에 있다는 발표 전까지 인도네시아의 새로운 수도가 될 후보지였다.[4]

지도

동남아시아 국가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인도네시아 행정 가로 지도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Grayball.png
삼각형 검정.png
삼각형 검정.png

동영상

각주

  1. 팔랑카라야〉, 《위키백과》
  2. 팔랑카라야(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Palangka Raya", Wikipedia
  4. 팔랑카 라야〉, 《요다위키》

참고자료

같이 보기

동남아시아 같이 보기

동남아시아 국가
동남아시아 도시
동남아시아 지리
동남아시아 바다
동남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팔랑카라야 문서는 아시아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